가로림만 해상교량 예타 받는다
-
부제목- 제6차 국도·국지도 건설계획안에 이원∼대산 등 19개 사업 반영 -
-
제공일자20250123
-
담당자양**
-
제공부서충청남도 건설교통국 도로철도항공과
-
전화번호041-635-4674
-
구분보도
-
- 보령 웅천〜주산 확장도 포함…예타 후 최종 반영되면 본격 추진 -
민선8기 힘쎈충남이 역점 추진 중인 국제해양레저관광벨트 구축과 가로림만 국가해양생태공원 조성 사업의 핵심 인프라가 될 ‘가로림만 해상교량’ 건설 사업이 청신호를 밝혔다.
보령 주산〜웅천・천안 병천〜동면・아산 송악 거산〜유곡 등의 국도 확장 사업과 함께 예비 타당성 조사 대상 사업에 선정되며 사업 추진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도는 국토교통부가 수립 중인 ‘제6차 국도・국지도 건설계획안(2026〜2030)’에 태안 이원〜서산 대산 국도 건설(가로림만 해상교량) 등 19개 사업이 반영됐다고 23일 밝혔다.
국토교통부가 5년마다 수립 중인 국도・국지도 건설 계획은 국도나 국지도 건설에 관한 구체적인 사업 대상을 담은 것으로, 이 계획에 일단 포함돼야 사업 추진이 가능하다.
건설계획안에 반영된 사업 중 500억 원 이상은 기획재정부가 일괄 예타를 실시, 통과될 경우 내년 상반기 6차 계획에 최종 확정・고시돼 사업이 본격 시행된다.
6차 건설계획안에 포함된 도내 19개 사업은 총 연장 129.5㎞에 사업비는 2조 6047억 원 규모다.
유형별로는 국도 11개 노선 69.5㎞ 1조 1353억 원, 국도 대체 우회도로 5개 노선 39㎞ 1조 1910억 원, 국지도 3개 노선 21㎞ 2784억 원 등이다.
이 중 예타를 받아야 하는 500억 원 이상 사업은 18개 노선이며, 1개 노선은 500억 원 미만이다.
반영 노선 가운데 태안 이원〜서산 대산 국도는 민선8기 공약사항으로, 가로림만에 막혀 단절된 만대항에서 독곶리까지 2647억원을 투자해 5.3㎞를 연결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이 완료되면 만대항에서 독곶리까지 자동차를 통한 이동 거리는 70㎞에서 2.5㎞로, 시간은 1시간 50분에서 3분 안팎으로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 국제해양레저관광벨트 구축과 가로림만 국가해양생태공원 조성 등을 뒷받침하며 이미 개통한 원산안면대교, 보령해저터널과 함께 충남 서해 관광 활성화를 견인할 핵심 인프라로 자리매김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국도 21호선 보령 웅천〜주산 4차로 확장은 3차 계획에 반영됐으나 타당성 부족으로 사업이 시행되지 못해 2차로로 남아 있는 구간에 대한 사업(11.1km, 1742억원)이다.
이 도로가 확장되면 간선기능이 회복되며 병목 현상이 해소되는 것은 물론, 웅천일반산업단지나 주산농공산단 등과 연계한 산업도로 역할도 병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외에 제6차 건설계획안에 포함된 사업으로는 △서산 영탑〜대산 국도29호 4차로 신설 4.3㎞ 863억 원 △부여 임천〜장암 국도29호 4차로 신설 5.1㎞ 983억 원 △천안 병천〜동면 국도21호 4차로 확장 5.8km 526억 원, △공주 유구 신영〜문금 국도39호 4차로 확장 9km 885억 원, △아산 송악 거산〜유곡 국도39호 4차로 확장 6.9km 715억 원, △아산 둔포〜평택 팽성 국도45호 6차로 확장 3.8km 802억원 △부여 은산 홍산〜나령 국도29호 4차로 확장 7.3km 832억 원 △청양 남양〜청양 국도29호 4차로 확장 5.5km 886억 원 △청양 정산 학암〜서정 국도39호 4차로 확장 5.4km 472억 원△아산 배방〜천안 목천 국도대체우회도로(민선8기 역점사업) 4차로 신설 14.3㎞ 6,180억 원 △보령 남포〜신흑 국도대체우회도로 2차로 신설 5.7km 934억 원 △서산 성연〜인지 국도대체우회도로 4차로 신설 5.6km 1668억 원 △논산 은진〜부적 국도대체우회도로 4차로 신설 6.5km 1866억 원 △당진 정미〜송악 4차로 신설 6.9㎞ 1262억 원 △천안 병천〜북면 국지도57호 2차로 신설 6.8km 972억 원 △아산 염치〜음봉 국지도70호 4차로 신설 4.8km 1301억 원 △홍성 장곡〜청양 운곡 국지도96호 2차로 개량 9.4km 511억 원 등이 있다.
이번 반영 성과는 시・군, 지역 국회의원과 적극적인 공조 체제를 유지하고, 국토부, 국토연구원 등과 지속적인 협의를 통한 공감대 형성 결과로 풀이된다.
최동석 도 건설교통국장은 “건설계획안에 사업이 대거 반영된 것은 고무적이지만, 아직 넘어야 할 산이 많다”며 “앞으로 일괄 예타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을 통해 최대한 많은 사업들이 최종 계획에 이름을 올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는 "공공누리" 제 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