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사람들

전통술만을 고집해온 신평양조장 그리고 백련막걸리

전통의 맛을 배우는 전통주 체험시설 '백련양조문화원'

충남 당진시 신평면 금천리 350-1

2024.06.13(목) 17:31:20 | 메아리 (이메일주소:okaban@naver.com
               	okaban@naver.com)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전통술만을고집해온신평양조장그리고백련막걸리 1

당진 신평면 금천리의 한적한 마을에 위치한 신평양조장에 견학을 간다고 하니 의아하기도 했다.
1933년부터 술을 빚기 시작해 할아버지로부터 아버지로, 아버지로부터 아들로 3대째 이어 내려오고 있는 전통 양조장이자 대한민국 우리술 품평회 대상, 청와대 만찬주, 삼성그룹 신년회 만찬주로 알려진 양조장이라 솔깃해졌다.

한적한 농촌 마을 주변에는 복잡하지 않아 찾아가는 길은 어렵지 않다.
건물은 초라한 편이나 막걸리만 제조하는 곳인 줄 알았는데 간판에는 '신평양조뮤지엄'으로 뭔가 달라 보였다. 
'신평양조뮤지엄'에 들어서면 다양한 막걸리를 전시 및 판매하기도 했다. 

신평양조뮤지엄
▲ 신평양조뮤지엄

전시장에서 작은 문으로 들어서면 미곡창고 건물을 2014년 개조해 2015년부터 전통의 맛을 배우는 전통주 체험시설인 '백련양조문화원'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90여년에 이르는 한국 전통주와 신평양조장의 역사를 보여주는 다양한 자료가 전시되어 있어 관람할 수 있는 공간이었다. 
 
당진 해나루쌀과 연잎의 주원료로 탄생한 ‘백련막걸리’는 신평양조장이 자랑하는 술로 2009년 청와대 만찬주로 선정되었다. 백련은 막걸리 발효 과정에서 하얀 연꽃이 피는 백련 잎을 첨가하기 때문에 깊은 맛은 살리면서 깔끔하고 부드러운 목넘김으로 관심을 끌었다고 한다.

전통술만을고집해온신평양조장그리고백련막걸리 2

백련양조문화원
▲ 신평양조뮤지엄

현재 3대째 양조장을 이어가고 있는 김동교 대표의 안내를 받으며 ‘양조갤러리’ 라 적혀 있는 건물 안으로 들어간다.
쌀(米), 음식(飮食), 술(酒)을 기반으로 한 신평양조장의 100년 역사와 전통을 “시간이 익어가는 양조장” 이란 테마로 해석한 양조 견학장이자 예술 감성 공간이기도 했다.

전통술만을고집해온신평양조장그리고백련막걸리 3

술 빚는 과정은 견학통로를 따라가며 김동교 대표가 창문 너머로 자동으로 막걸리가 제조되는 과정을 함께 상세히 설명해 주었다.
하얀쌀, 하얀꽃, 하얀술이 있는 지하로 내려가니 하얀천이 수놓고 술을 빚는데 필요한 고두밥을 연상시키는 듯한 백련꽃, 그리고 나풀거리듯 천장에서 바닥에 걸쳐져 있는 하얀 천은 막걸리를 연상시키는 듯했다.

전통술만을고집해온신평양조장그리고백련막걸리 4

전통술만을고집해온신평양조장그리고백련막걸리 5

전통술만을고집해온신평양조장그리고백련막걸리 6

전통술만을고집해온신평양조장그리고백련막걸리 7

한쪽 벽면을 가득 채운 스크린에는 장인의 술 빚는 모습이 펼쳐진다. 고두밥이 완성되면 술밥이라 불리는 고두밥을 살살 펴서 식힌다. 그 다음 같은 양의 물에 넣고 효모와 누룩을 넣어 잘 섞어주면 단양주 막걸리, 직접 만든 막걸리 맛이 우러난다고 한다.

‘막 걸러낸 술’이라는 뜻의 막걸리, 그런 이유로 가끔 하찮은 술로 대접 받기도 했으나 서민들의 애환을 달래주던 막걸리가 웰빙 막걸리로 누구나 즐기는 음료가 되었다.

전통술만을고집해온신평양조장그리고백련막걸리 8

전통술만을고집해온신평양조장그리고백련막걸리 9

배고팠던 어린시절에 술을 걸러내고 남은 술지게미로 배를 채우고 술에 취해 부모님께 혼났던 시절도 떠올랐는데, 아마도 이제부터 막걸리를 마실때면 신평막걸리가 떠오르지 않을까 싶다.
전통주 명가의 위상을 지키며 3대째 술을 빚어오고 있는 신평양조장에서는 미리 예약을 하면 막걸리 빚기, 증류주 체험, 누룩전 빚기 등 다양한 체험과 함께 견학도 가능하다. 

신평양조장 양조센터 2층에서 신평양조장의 전통이 술의 맛과 향에 녹아있는 전통주와 건배주 등 세 가지를 시음하고 견학을 마무리했다.


당진 신평양조장
충청남도 당진시 신평면 신평로 813

 

메아리님의 다른 기사 보기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메아리님의 SNS]
  • 페이스북 : https://www.facebook.com/choyoungku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