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문화·역사

유관순 열사의 흔적이 담긴 아우내 독립 만세 운동 기념 공원

잊지 말아 주기를 바라는 마음이 느껴지는 아우내 만세 운동 발생지

충남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병천리 320-2

2024.05.26(일) 20:17:18 | 따뜻한 발자국 (이메일주소:piglet_soo@naver.com
               	piglet_soo@naver.com)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주말을 맞아 들른 병천시장은 궂은 날씨에도 북적북적 사람들이 가득합니다.
장이 서는 날이 아니면 볼 수 없는 다양한 상품들이 정겹게 길목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유관순열사의흔적이담긴아우내독립만세운동기념공원 1

병천시장은 매달 각 끝나는 날짜가 1일, 6일인(1일, 11일, 21일, 6일, 16일, 26일) 날에 열린다고 합니다.
장이 서는 걸 생각지 못하고 들른 탓에 우리도 긴 차량 행렬 뒤에 줄을 서 병천 순대 거리로 들어섰습니다. 맛있는 순대국으로 배를 채운 후 근처의 아우내 독립 만세 운동 기념 공원을 찾아갑니다.

유관순열사의흔적이담긴아우내독립만세운동기념공원 2

병천 순대 거리 입구에서 아파트가 위치한 골목 쪽으로 갈색 안내판이 보입니다.
이 공원은 거주지 사이에 자리잡고 있는데요. 호서지방 최대의 만세운동이 펼쳐진 이 곳은 실제로 1919년 4월 1일 아우내 독립 만세 운동을 전개한 현장으로 수없이 많은 선조들이 피를 흘린 헌병주재소가 있던 역사적인 장소라고 합니다.

유관순열사의흔적이담긴아우내독립만세운동기념공원 3

공원입구에 세워진 기념비가 비에 젖어갑니다.

유관순열사의흔적이담긴아우내독립만세운동기념공원 4

아우내 독립 만세 운동 기념 공원은 3.1운동 90주년을 맞아 조성하여 2009년 10월 9일에 준공되었다고 합니다. 규모가 아담한 이 공원에는 독립 만세 운동 전개 모습을 형상화 한 환조 및 부조 조형물들이 전시되어 있었습니다.

유관순열사의흔적이담긴아우내독립만세운동기념공원 5

공원에 들어서면 정면에 보이는 조형물입니다. 유관순과 3.1운동을 형상화 한 '그날의 함성'(박민석 作)이라는 조형물인데요. 정면에 횟불을 들고 있는 여인이 유관순임을 쉽게 알아볼 수 있었습니다.

유관순열사의흔적이담긴아우내독립만세운동기념공원 6

흘러 내린 빗물이 마치 핏물마냥 그 날의 긴장감이 느껴지는 듯 했습니다.

유관순열사의흔적이담긴아우내독립만세운동기념공원 7

죽은 시신을 부여잡고 있는 여인의 얼굴에서 허망함이 느껴지는 듯 합니다. 수수한 서민의 복장을 한 모든 사람들이 한 곳을 바라보며 태극기를 흔드는 모습에 그날의 치열함이 담겨있습니다.

유관순열사의흔적이담긴아우내독립만세운동기념공원 8

조형물의 뒷편에는 태극기가 바람에 휘날리듯 바위에 조각이 되어있습니다.
시간이 흘러 색이 바래고 빗물에 얼룩이 진 태극기가 오히려 3.1운동의 현장에서 흩날릴 법한 모습으로 변화한 듯 합니다. 이 공원을 대표하는 조형물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유관순열사의흔적이담긴아우내독립만세운동기념공원 9

뒷편으로는 같은 제목의 다른 작가의 작품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그날의 함성'(문병식 作)이라는 작품으로 독립운동 당일 이 장소에서 벌어진 선조들의 독립운동과 일제의 억압을 역동적으로 재현해 두었습니다.

유관순열사의흔적이담긴아우내독립만세운동기념공원 10

유관순 열사로 짐작되는 여인의 뒤에 아버지의 바지춤을 잡고 나온 것 같은 어린 아이가 눈에 들어옵니다. 얼마나 두렵고 얼마나 겁이 났을까요. 뒤를 휙 돌아보는 사람은 일제의 총 끝에 생명을 빼앗긴 가족 또는 동료를 허겁지겁 돌아보고 있습니다.

유관순열사의흔적이담긴아우내독립만세운동기념공원 11

바닥에 총을 맞아 목숨을 잃은 이웃과 가족이 쓰러져 있어도 다시 마음을 추스려 두팔을 들어 만세를 외치는 선조들의 모습이 가슴을 뜨겁게 합니다. 언제 죽음을 당할지 모르는 상황에서도 한 목소리 보태기 위해 이 곳을 향했을 그들의 마음을 떠올려 봅니다.

유관순열사의흔적이담긴아우내독립만세운동기념공원 12
 
3천여명이라는 엄청난 인파가 아우내장터에 모여 유관순 열사의 비장한 연설을 듣고 일제히 독립만세를 불렀을 군중들을 떠올려 봅니다. 이어서 일본 헌병들의 무차별 총격에 무고한 시민들이 죽고 다치켜 유관순 열사도 체포되어 끌려갔다고 합니다. 이 자리에서 숨진 19명의 순국자 명단을 비석에 세워두었습니다.

김인태 作 '평화의 바람'
▲ 김인태 作 '평화의 바람' 

김성희 作 '아우내의 태극기'
▲ 김성희 作 '아우내의 태극기'

임정혁 作 '하나되어'
▲ 임정혁 作 '하나되어'

아담한 크기의 기념 공원이지만 그날의 선조들의 모습을 잊지 않고 기념하고자 했던 마음이 전해지는 공원이었습니다. 선조들이 보인 독립에 대한 열망과 의지, 하나 된 대한민국이 펼칠 밝은 미래와 비전을 보여주는 조형물들로 저 또한 둘러보는 내내 수 많은 억압 속에서도 굴하지 않은 우리 민족의 독립의지를 느낄 수 있었습니다.

병천에 들르시게 되면 가족과 함께 의미있는 이 기념 공원에도 들러보시기 바랍니다.


아우내독립만세기념공원
주소 : 충남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아우내장터 1길 12-23
연중 무휴, 무료 관람

네이버 지도상의 위치 첨부
▲ 네이버 지도상의 위치 첨부

 

따뜻한 발자국님의 다른 기사 보기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따뜻한 발자국님의 SNS]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