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문화·역사

홍성문화재 야행 (8.12~13) 화려한 여름 홍주성 야경

2023.08.15(화) 23:07:54 | 사과 (이메일주소:noteapple1@naver.com
               	noteapple1@naver.com)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홍성문화재야행81213화려한여름홍주성야경 1
▲홍화문 미디어파사드

홍주읍성 일원에서 열린 홍성문화재 야행(23.8.12~13)을 다녀왔다.
여러가지 행사들로 올해는 다른 해보다 홍주성을 자주 방분하는 듯 한데 이번은 19시~24시라는 홍성군에서는 자주 보기 힘들었던 야심찬 밤 행사이다. 길고 긴 장마도 끝나고 태풍도 끝나고, 더위도 한 풀 꺾여 저녁 시간에 걸으며 아이들, 어른들 모두 오랜만에 즐겁게 놀기 좋지 않았을까?

홍성문화재야행81213화려한여름홍주성야경 2
▲ 홍주아문

홍주아문, 홍화문, 조양문, 안회당 등이 있는 홍주읍성은 평소에도 조명이 꽤 괜찮은 곳인데, 야행을 맞아 더욱 화려함을 빛내었다.

홍성문화재야행81213화려한여름홍주성야경 3

홍주아문에서 언덕쪽으로 걸어 올라가자 정자에서는 결성농요를 준비 중인 어르신들이 보였다.
홍성 결성농요는 1914년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사라진지 50여 년이 지난 1988년 문화재 전문의원 이소라 박사께서 채록을 시작하여 결성노인회를 중심으로 농요를 복원하여 91년 6월 26일 현장실습 하였으며 그해 10월 6일 문화부 초청으로 대학로에서 공연한 바 있다.
이를 계기로 1993년 충청남도 대표작으로 민속예술경연대회에 참가하여 대통령상인 대상을 수상 후 1996년 11월 30일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20호로 지정받았다.
 
홍성문화재야행81213화려한여름홍주성야경 4

이날은 미디어 파사드 활용 시각예술과 홍주의병 재연극 ‘1895 홍주의병 달빛에 스민 붉은 꽃’, 홍주천년 이야기 ‘그날을 기억한 천년의 나무’, 홍주읍성을 하늘에서 보는 ‘열기구 체험’, 체험하며 배우는 ‘조선시대 홍주’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되었다.
볼게 너무 많아 어디부터 돌면 좋을지 모르겠더라.

홍성문화재야행81213화려한여름홍주성야경 5

홍성문화재야행81213화려한여름홍주성야경 6
▲ 열기구체험

'홍성에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있었나?' 싶을 정도로 북적였던 행사였다.
특히 열기구 체험은 다른 지역에서도 보지 못한 이벤트였는데 가장 인기가 많았다.
함께 흐르는 사극 BGM까지 분위기 너무 좋았던 홍성문화재 야행.
어떤 볼거리들이 있었는지 기억해보고자 한다.

홍성문화재야행81213화려한여름홍주성야경 7
홍주읍성을 불 밝히는 청사초롱.

홍성문화재야행81213화려한여름홍주성야경 8

홍성문화재야행81213화려한여름홍주성야경 9
홍주성역사관 뒤쪽 언덕 달포토존과 전시

홍성문화재야행81213화려한여름홍주성야경 10

홍성문화재야행81213화려한여름홍주성야경 11

하고 싶어도 자리가 안나던 홍주의병 홍주읍성 탈환 샌드아트 체험.

홍성문화재야행81213화려한여름홍주성야경 12
흥나는 충남 무형문화재 홍성 결성농요

홍성문화재야행81213화려한여름홍주성야경 13

홍성문화재야행81213화려한여름홍주성야경 14

이곳 저곳에서의 열정적인 공연들은 쉴 틈 없었다!

홍성문화재야행81213화려한여름홍주성야경 15

홍성문화재야행81213화려한여름홍주성야경 16

홍성문화재야행81213화려한여름홍주성야경 17

축제장은 먹거리도 빼놓을 수 없지!
다양한 나라의 현지인이 만드는 그 나라 음식과 홍성 지역 내 로컬음식점들이 부스로 참여하여 푸짐한 먹거리도 자랑하였다. 늦은 저녁으로 먹은 짜조와 떡볶이, 정말 맛있었음 :)

짜조

이번 홍성문화재 야행은 홍성의 대표 문화재인 ‘홍주읍성’ 복원 사업과 더불어 야간경제·야간관광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시작된 행사라 한다. 다음에는 어떤 것들이 기다리고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이대로라면 성공적...?

전국적인 항일 의병을 선도한 충남 항일 의병의 성지 홍성군. 홍주의병을 중심으로 한 전국의 의병봉기와 1910년 독립전쟁, 나아가 3.1운동으로 이어지는 조국을 위해 헌신하고 희생한 역사적 의의를 시대의 흐름에 맞게 앞으로도 잘 전달해주면 좋겠다.


홍주읍성
충남 홍성군 홍성읍 아문길 20-1

 

사과님의 다른 기사 보기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사과님의 SNS]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