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정책/칼럼

2030 충남도의 골든 타임

스마트농업을 해야만 하는 이유

2024.06.13(목) 21:18:44 | 슈퍼리포터김세진 (이메일주소:sejin1981@naver.com
               	sejin1981@naver.com)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충남도는 도정 1과제로 '스마트농업 육성‘을 꼽았습니다.

예로부터 우리나라 근간 사업은 농업이었습니다. 과거의 전통적 농법이 아닌 정보통신의 기술을 더한 지속가능한 스마트농업으로 바꿈으로써 지역소멸,인구소멸, 산업소멸을 극복해야는데요
 
지난 30년간 국내농업의 농가수는 지속적으로 줄어들어 4%가 되었습니다.
 
2030충남도의골든타임 1

고령화로 인한 일손부족으로 나타나는 현상들입니다.
일손부족을 무엇으로 대체할 수 있을까요?

그 핵심은 스마트농업에 있습니다.
 
여러분 스마트농업(스마트팜)이라는 말을 처음 들으면 어떤 생각이 떠오르시나요?
‘농장인데 스마트하게 굴러간다?’’농업에 기술에 더해 농작물에 손이 덜간다?‘’ 농업을 똑똑하게 운영 할 수 있다?‘정도가 생각납니다.
사전적 의미로 스마트농업은 정보통신(ICT) 기술을 비닐하우스, 축사에 접목하여 원격 자동으로 작물과 가축의 생육 환경을 적정하게 유지 관리할 수 있게 도와주는 시스템입니다.
많은 일손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노동력을 덜어주는데요. 단점으로는 초기투자비용이 많이 든다겁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팜이 대세가 되어야만 하는 이유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스마트팜으로 바뀌어야만 하는 이유>>

 1. 매년 온난화로 인한 이상기후 현상이 빈번해지고 있는 위험
 이상기후로 인한 피해로 농작물 병충해가 잦아져 전통적인 농업으로는 흉작을 보는 일이 점차 늘어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 예로 ‘금사과’를 들 수 있습니다. 이상기후로 기온이 올라 재배면적이 줄어들었고 그로 인해 생산량은 30%나 줄어들었습니다. 기후변화로 인해 농작물 재배가 어려워지면 식량위기는 자연스럽게 따라옵니다.

 2. 식량안보에 기여
2022년에는 전 세계적인 식량 위기로 인해 식료품 물가가 폭증하면서 스마트농업이 기능이 중요해지고 있는데요. 이코노미스트가 매년 발표하는 ‘세계식량안보지수’에서 지난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32개국중 대한민국은 29위에에 머물렀습니다. 전쟁이나 재해가 발생한다면 어김없이 식료품 물가 폭증으로 인한 어려움은 우리들 몫이됩니다.

3. 농촌의 고령화와 인구 감소로 인한 일손 부족
 지속적인 농촌 고령화 및 인구감소로 일손이 많이 부족해졌습니다. 재래식 농업은 사람의 노동력과 기계를 이용하여 수작업이 이뤄지는 경우가 빈번한데요. 스마트팜으로 바뀌면 자동화된 시스템으로 인력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4. 전통적인 농업방식은 환경에 부정적 영향을 미쳐왔음
화학 비료와 농약사용 및 물 과잉 사용으로 토양오염 및 수질오염의 문제를 초래했는데요.
스마트농업은 친환경적인 농업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지구의 기후변화와 환경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정보기술을 이용하여 농작물 재배시 어떤 이점이 있나요?>>

온도, 습도, 햇볕량, 이산화탄소, 토양 등을 측정하고 분석한 후 분석 결과에 따라서 제어장치를 구동합니다.
정보통신(ICT)기술은 노지, 온실, 식물, 축사 등 모두 적용 가능 하며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통해 원격으로 관리합니다

단어가 어렵게 느껴지시나요?
2G폰에서 스마트폰으로 바뀌는 과정이라고 생각하세요.
처음에는 낯설고 어렵게 느꼈지만, 지금은 국민 모두가 스마트폰의 편리함에 익숙해진것처럼요.
스마트팜도 같은 원리입니다
성공적인 스마트팜 안착을 위해 충남도는 도정 1 과제로 꼽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기술습득 및 시공생산등 안정적 정착을 위해서는 5~10년 소요됩니다
농사지을 젊은 청년들을 확보하고 농업농촌 인력자원으로서 신규농업인, 귀농·귀촌인 및 청년농업인들의 가치는 무엇보다도 중요해졌습니다. 청년 후계농을 육성하여 농업현장에 농업농촌의 재구조화를 이루어야하는 ‘골든타임’입니다. 지금을 지켜야 식량 자급률을 올릴 수 있고 지속가능한 농업을 가능하게 합니다.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앞으로 기후변동이 더 심해지는건 시간문제며 곧 식량위기의 시대로 접어들 것이라고요. 식량위기가 시작되면 가장 큰 타격이 받는건 누구일까요?

바로 우리들 자신입니다.

농업은 우리가 함께 키워나가야 할 가치이자 미래먹거리임을 기억해야합니다.
그리고 스마트팜청년 창업농을 이해를 돕기 위해 포스터 올리니 참고해주세요. 
 
2030충남도의골든타임 2

2030충남도의골든타임 3
 
 

슈퍼리포터김세진님의 다른 기사 보기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슈퍼리포터김세진님의 SNS]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