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지역신문뉴스

한 많은 청년농민들, 우리의 아버지ㆍ삼촌이었네

[이슈&포커스] 2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서산시 갈산동 봉화산 교통호 인근 유해 발굴 현장공개

2023.06.08(목) 08:56:29 | 충남포커스 (이메일주소:csy0875@hanmail.net 
               	csy0875@hanmail.net )

1950년 충남 서산지역은 살인이 난무하는 지옥이나 다름없었다.

10월 초부터 그해 12월 말까지 서산·태안경찰서 소속 경찰과 해군이 최소 30여 곳에서 인민군에게 부역했다는 이유로 적법한 절차 없이 민간인을 학살한 것이다.

‘서산·태안 부역혐의 희생사건’으로 최소 1865명의 민간인이 희생된 것으로 보고 있다. 확인된 희생자는 977명으로 대부분 농사를 지으며 생계를 꾸렸던 20~40대 남성들이며 여성들도 일부 포함돼 있다고 한다.

진실화해위는 서산경찰서의 ‘신원 기록심사 보고’를 참고해 당시 총살 목격자와 주검 수습자 등과 함께 현장 조사를 진행했다. 73년 전 민간인을 대상으로 집단학살이 이루어진 ‘서산 부역혐의 희생사건’의 유해(유골) 60구 이상과 유품 등이 발굴됐다.

2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위원장 김광동, 진실화해위원회)는 충남 서산시 갈산동 176-4번지 봉화산 교통호 인근에 위치한 유해 발굴 현장을 30일 공개했다. 부역혐의 사건 관련 유해 발굴은 아산 유해발굴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이다.

‘서산·태안 부역혐의 희생사건’은 경찰과 해군이 지역을 수복한 뒤 1950년 10월부터 1950년 12월까지 최소 30여 곳에서 적법한 절차 없이 민간인을 집단 학살한 사건이다. 진실화해위원회는 “군경의 임의적 판단과 사적인 감정으로 벌어진 보복 살인”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유해 발굴지인 교통호는 1950년 북한 인민군이 전투를 대비해 파 놓은 곳이다. 유해발굴 지역은 전체 길이 약 60m 정도로 3개 구역으로 나누어져 있다. 발굴된 유해는 총 60구~68구로, 1구역 13구, 2구역 30~35구, 3구역 17~20구이다.

대부분의 유해는 좁은 교통호를 따라 빽빽하게 안치된 상태로 발굴됐다. 한 유해는 양팔이 뒤로 꺾인 채 바닥을 향해 고꾸라져 있었다. 주변에는 M1추정 탄피도 확인됐다. 진실화해위원회는 당시 군·경이 희생자들에게 고개를 숙이게 한 후 머리 뒤를 총으로 쏘아 살해한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일부 구역에서는 유해 다리 사이에 다른 유해가 놓이는 등 위아래로 중첩된 모습으로 드러났다. 진실화해위원회는 “당시 학살이 진행된 후 마을 들개가 시신을 물고 마을까지 내려와 마을 이장이 청년들과 교통호 주변 시신을 교통호 안에 재매장했다는 증언을 뒷받침한다”고 설명했다. 이번 유해 발굴에서는 백색의 4혈 단추와 고무줄 바지 끈, 반지 등의 유품이 발견됐다.

1기 진실화해위원회는 최소 1865명의 민간인이 희생된 것으로 판단한 바 있다. 희생자들은 대부분 농사를 지으며 생계를 꾸려갔던 20~40대의 성인 남성들이었고, 여성들도 일부 포함됐다. 진실화해위원회는 참고인 조사, 신원기록심사보고, 경찰연혁사 등을 토대로 사증거 자료를 수집하고 유해 매장지를 추정했다.
 

충남포커스님의 다른 기사 보기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충남포커스님의 SNS]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