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도정뉴스

충남의 ‘숨은 의병장’ 다수 찾아냈다

충남역사문화연구원, 독립운동가 찾기 사업 3년째

2022.08.11(목) 13:31:09 | 충남역사문화연구원 (이메일주소:https://www.cihc.or.kr/
               	https://www.cihc.or.kr/)

의병 이관도 관련 자료(1909년 6월 충남관찰사가 박제순 내부대신에게 보고한 내용)

▲ 의병 이관도 관련 자료(1909년 6월 충남관찰사가 박제순 내부대신에게 보고한 내용)



충남도의 ‘숨은 독립운동가’ 찾기 사업에서 한말 의병(義兵)들이 다수 발굴되고 있다. 이름없는 의병은 재판 없이 즉결 처분된 경우가 많고, 관련 자료가 많이 남아 있지 않다는 점에서 이름과 활동내역을 확인하기가 쉽지 않다.
 
충남역사문화연구원은 지난해 다른 의병의 재판기록, 의병 관련 자료 등을 활용해 서산·천안에서 서훈받지 못한 의병 다수를 찾아냈다. 현재 서산 9명, 천안 7명 총 16명의 미서훈 의병에 대해 공적조서를 작성하였고, 국가보훈처 서훈심사를 기다리고 있다. 서산의 경우 인근 당진·예산 등에서 활동한 의병이 포함돼 있다.
 
의병 16명 중 대다수가 의병장들로 이들은 부하 20~30명씩 이끌며, 군자금을 모으거나 일본 헌병대 등을 습격했다. 1907년 한말 군대 해산으로 촉발된 정미의병은 1909년 말까지 계속됐다. 『폭도에 관한 편책』의 보고 문건에서는 의병을 폭도로 부르고, 의병장은 수괴(首魁:도적 두목)로 지칭했다.
 
“수괴 이관도(李寬道)가 인솔하는 부하 약 20명이 예산 대흥군 마을을 습격·방화하여 순사 4명이 곧바로 출동했으나 폭도들은 유구 방면으로 도주하였다. 이들 폭도는 군수금을 강요한다는 소문이 있다.” 이는 1909년 6월 충남관찰사가 박제순 내부대신에게 보고한 내용이다.
 
이관도 부대는 청양·홍성·예산 일대를 돌며 군자금을 모았다. 총·칼로 무장한 이들은 주재소 순사들과의 전투도 불사했다. 홍주경찰서와 헌병분견소는 ‘변장순사’까지 투입해 이들 검거에 주력했으나 이들은 보령서 일본군과 접전을 벌이는 등 맹활약을 했다. 그는 이번에 서훈 신청 대상이 되었으나, 부하 3명은 2016년 이미 애국장을 받았다.
 
신기석(申奇石)은 1908년 10월 부대원 30명을 배를 태우고 서산 독곳(대산읍)에서 태안 쪽으로 도주했다. 면천의 헌병분견소는 추적에 실패한 정황을 조선통감부에 보고했다. 신기석 부대는 배를 타고 이동하면서 소난지도 등 서산· 당진의 섬과 내륙을 오가며 의병 활동을 펼쳤다. 탁월한 기동성으로 그들을 잡으려는 일본 헌병들 애를 태웠을 것이다.
 
최종성(崔鐘成)은 당진 농민 출신으로 서산·해미·면천 등에서 활약한 의병장이다. 1909년 조선통감부 자료에 따르면 부하는 약 30명이었다.
 
천안 목천의 박관실(朴寬實)은 1907년부터 2년간 목천·진천·청주·연기 일대에서 의병장으로 활동했다. 일본군 문서인 ‘폭도수괴 명부’에 따르면 그는 육군 참위 출신으로 부하는 16명이었다. 오래전 “박관실 부대에서 군자금 모집 등 의병 활동을 했다”는 공로로 3명이 애국장을 받았으나 정작 그는 제외됐다.
 
천안 원서면(풍세면)의 김무진(金戊辰)은 1908년 12월 대전지검 공주지청으로부터 ‘내란·강도’ 혐의로 징역 10년형을 선고받았다. 김씨와 같은 죄명으로 같은 판결 기관에서 같은 날짜에 판결받은 의병이 확인되고, 당시 시대적인 상황을 판단하여 김무진이 의병활동을 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충남역사문화연구원은 2020년부터 서훈받지 못한 일명 ‘숨은 독립운동가’를 발굴해 서훈받는 사업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다. 부여·예산·서천·서산·천안 등 5개 시·군에 이어 올해 아산·홍성을 대상으로 사업이 진행 중이다. 예산군은 지난해 기초지자체로서 가장 많은 38명의 독립유공자를 배출해 국가보훈처 표창까지 받았다. 독립유공자 수는 7월 현재 충남도가 1608명으로, 경북(2394명)에 이어 두 번째이고 3위는 경기도로 1466명이다. 충남도 독립유공자는 현재 700여명이 서훈 심사 중에 있어 조만간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충남역사문화연구원 조한필 원장은 “2021년 발굴한 천안과 서산출신의 의병 이외에도 예산 출신 의병 2명, 부여 출신 의병 21명, 서천 출신 의병 1명 등 많은 의병들의 활동상을 확인하였다”며서 “올해 진행하고 있는 홍성과 아산에서도 의병뿐 아니라 많은 미서훈 독립운동가들이 발굴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담당부서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백제충청학연구부
전화번호 041-840-5041

 

충남역사문화연구원님의 다른 기사 보기

[충남역사문화연구원님의 SNS]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