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문화·역사

가슴아픈 공주우금치 전투

잊혀져가는 동학농민군의 흔적들

2022.08.09(화) 18:50:08 | 상록수 (이메일주소:chulhwan01@naver.com
               	chulhwan01@naver.com)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8월 첫 주, 켄타우로스 코로나와 찌는 듯한 여름 더위를 피해서 공주 <우금치 전적지>를 찾았다. 중고등학교 역사 시간에는 "동학", "녹두장군 전봉준"이란 단어가 자주 나왔는데, 막상 그들이 주로 활동했다고 하는 <공주>에서는 그 흔적을 접하기 어려웠다.

우금치 전적지 도로표지판

▲ 우금치 전적지 도로표지판


인터넷과 내비게이션의 도움을 받아서
, 공주 시내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우금치전적지>가 있다는 것을 알았다. 

<우금치(牛禁峙)>는 예전 공주시와 <이인면>을 연결하던 <주미산>의 고개인데, 이 일대의 <이인면>이 공주시로 편입되면서 지금은 공주시 외곽이 되었다.

 

우금티전적 알림터

▲ 우금티전적 알림터


공주사찰
<원효사>를 보면서 왼편 도로를 따라 올라가니까, 주차장과 <우금티전적 알림터>가 나왔다. 공주시가 백제유적만을 강조해서 인지, 도심에서 떨어진 외곽에 위치해서 인지 몰라도 주차장은 무척 한산했다.
 

알림터 안쪽의 우금치전투 설명도

▲ 알림터 안쪽의 우금치전투 설명도


<
우금티알림터> 안쪽으로 들어서면 <전시관><영상실>이 있다. <전시관>에는 동학운동의 개요, 공주 우금치 전투의 배경, 1894년 당시의 전투상황을 날짜 순으로 전시하고 있고, 오른편에 있는 <영상실>에서는 당시의 긴박했던 상황을 개략적으로 보여주었다.

 
공주에서는 <우금치><우금티>라고 발음하는 분들이 많아서, 전적지 곳곳에 두 단어가 혼재되어 있었다.


동학혁명군 위령탑

▲ 동학혁명군 위령탑


<
우금티알림터> 앞쪽 길로 쭉 올라가면 <동학혁명군 위령탑>이 보인다. 어린 시절에 서울 수유리에서 본 <4·19 학생의거 위령탑>과 비슷한 형태로 보였다.
 

동학혁명 위령탑 안내문

▲ 동학혁명 위령탑 안내문


위령탑 옆에는
<동학혁명위령탑 안내문>이 있었는데, 1985년 어떤 사회단체가 이념 갈등 소지가 있다는 이유로 일부 문구(5.16혁명, 10월 유신, 박정희 대통령 등)를 훼손하는 사건이 있었음이 적혀있다.

비문 훼손사건에 놀라 기억을 더듬어 보니, 내가 역사시간에 배울 때도 <동학난>, <동학혁명>, <동학농민전쟁> 등등으로 민주화 되면서 그 이름이 계속 바뀌었던 것이 떠올랐다.


무심한 우금치터널 위

▲ 무심한 우금치터널 위


<동학혁명군 
위령탑> 옆으로 난 길을 따라 현재의 <우금치터널> 위로 올라 가봤다. 이곳을 찾는 사람들이 많지 않아서 인지 온갖 산 벌레들이 얼굴과 팔에 달려들었다.

이곳이 바로 총에 맞아도 안 죽는다는 동학부적을 저고리 안쪽에 넣고선, 기관총과 대포로 무장한 관군과 일본군을 향해 수 천, 수 만의 농민들이 고함치며 죽창을 들고 뛰어 오르던 우금치 고개였다.

그때 내가 그 현장에 있었다면?” 하는 상상을 하니, 마치 그때의 함성이 귀에 들리는 듯 했다.
 

우금치터널 장승들

▲ 우금치터널 장승들


<
우금치터널> 위쪽의 공터에는 농민단체, 학교, 노동조합 등 여러 사회단체들이 세운 <장승>들이 있다. 구한말 우리의 할아버지들이 구별 없이 죽었건만, <장승>에 새겨진 글들을 살펴보면,  주로 진보이념의 모임들이 이곳에 장승을 세운 듯 보였고, 어떤 행사를 치르고 나서는 잘 관리가 되지 않아 수풀이 무성하고 새긴 글자는 흐릿해져 있었다.
 

공주 둘레길 표지판

▲ 공주 둘레길 표지판


<
우금치전적지><주미산 생태공원>에서 둘레 길로 연결되어 있어서, 맘만 먹으면 쉽게 접근이 가능하고 표지판도 곳곳에 잘 설치되어 있어 찾기도 쉽다.

 

우금치 전적지 안내도

▲ 우금치 전적지 안내도

 


동학농민전쟁(예전 내가 중고등학교 시절 때는 <동학 난(東學亂)>으로 배웠음)을 들으면서 외세에 우리나라가 망해가는 안타까움도 있었고, 동학군이 같은 조선 사람인 관군과 힘을 합쳐 일본군과 싸워야지 왜 동학군과 관군이 싸우는 지 이해를 못했었다

(
백과에 의하면 당시 동학군은 4만명, 관군은 2,500, 일본군은 280명 정도로 추정하는 걸 보면, 거의 동학군과 관군이 싸운 셈이었다).

하지만 북부 월맹군의 승리 후 베트남 상황, 아프가니스탄 함락 후 탈레반에 의한 정부군과 그 가족들 처형소식을 들으니, 이제는 안타까움은 있지만 그때 상황이 이해는 갔다. 관군과 동학군은 글자 그대로 서로를 인정할 수 없는 적()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그런 일이 일어나서는 안 되겠지만, 만약 남북한 간에 전쟁이 발발하면, 본인들 가족과 지인이 남한과 북한에 있기에, 많은 경우 비슷한 일이 벌어질 것이 예상되고 또한 그게 자연스러울 것이다.


 

상록수님의 다른 기사 보기

[상록수님의 SNS]
  • 페이스북 : @chulhwan01
  • 트위터 : @chulhwankim01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