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사는이야기

신독재(愼獨齋) 선생의 일화가 담긴 나무

이야기가 있는 충남의 나무⑫ 논산 벌곡면 한삼천 느티나무

2014.06.01(일) 22:40:23 | 탈론 (이메일주소:malgmywoo@naver.com
               	malgmywoo@naver.com)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논산시 벌곡면 한삼천리는 벌곡면의 면 소재지로 북쪽으로는 대전, 서쪽으로는 논산, 남쪽으로는 연산으로 가는 삼거리를 끼고 있는 마을이다. 이곳에서 논산 방면으로 약 600m쯤 올라가면 오른쪽에 거대한 느티나무 한 그루가 서있다. 신독재(愼獨齋) 김집(金集) 선생의 일화가 담긴 한삼천 느티나무이다.

신독재 김집 선생의 일화가 담긴 한삼천 느티나무의 우람한 모습

▲ 신독재 김집 선생의 일화가 담긴 한삼천 느티나무의 우람한 모습


신독재 선생의 고향은 연산(連山)으로 그는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의 아들이다. 본관은 광산(光山)이며 선조 7년(1574)에 한양 정릉에서 태어나 18세에 진사에 합격, 재랑(齋郞)에 이르렀으나 광해군의 어지러운 정국을 보고 고향에 내려와 은거했다. 이 때 송시열과 송준길이 멀리 회덕에서 그를 찾아와 수학했다고 한다.

undefined

▲ 나무 근처에 신독재 김집선생의 신도비가 세워져 있다.


이 나무의 수령은 약 420년 정도이다. 높이 약 15m, 가슴 높이 둘레가 5m에 이른다. 논산문화원이 1991년 펴낸 ‘놀뫼의 전설’을 보면 이 나무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해온다.

수령 400여년에 가슴높이 둘레가 5m에 이른다.

▲ 수령 400여 년에 가슴 높이 둘레가 5m에 이른다.


고향으로 내려온 신독재 선생은 한삼천리의 북쪽 양산리 고운사(孤雲寺)에 정희당이라는 학교를 세웠다. 김집 선생이 어진 인품과 학식으로 학문을 베풀자 인근 고을의 유생들이 속속 모여들어 수학하였다. 어느 여름날 학동들이 글을 읽고 있는데 폭우가 쏟아졌다. 선생은 먼 길 오가는 학동들이 염려되어, 일찍 집으로 돌려보냈다.

그런데 한삼천을 건너던 한 학동이 중간에서 급류에 휘말렸다. “사람 살려요, 사람 살려요.” 하고 고함을 질렀으나 큰 비 때문에 밖에 나와 있는 사람이 없어 구조 받을 길이 없었다. 게다가 물살이 어찌나 센지 안간힘을 다하여 헤엄쳐 보았지만 도저히 나갈 수가 없었다. 학동은 “이제 꼼짝없이 죽는구나”하고 기진맥진하여 눈을 감았다.

이 때 어디선가, “얘야! 정신 차려라, 정신을 잃으면 죽는다. 얘야! 어서 눈을 뜨거라” 하는 우렁찬 목소리가 들리더니 스승의 얼굴이 나타나는 것이었다. “아차!”하며 정신을 차린 학동이 둘러보니 느티나무 한 그루가 자기 옆으로 떠내려 오고 있었다. 학동은 그 나무를 가까스로 잡아타고 물속에서 빠져나와 목숨을 건질 수 있었다.

이 나무가 물에 떠내려가던 학동의 목숨을 구해주었다는 일화가 전해져 온다.

▲ 이 나무가 물에 떠내려가던 학동의 목숨을 구해주었다는 일화가 전해져 온다.

학동은 틀림없이 스승이 나무를 보내 준 것이라 생각하고 학교 가는 길 입구에 이 나무를 심고 스승을 모시듯 정성스럽게 가꾸었다. 학동이 자라서 훌륭한 청년이 되었을 무렵, 어느 날 원님이 새로 부임해 왔다. 원님의 행렬이 마을 어귀에 있는 느티나무 그늘 아래에서 멈추었다. “이곳에서 잠시 쉬어가자” 황룡재의 험준한 길을 넘어오느라 땀이 흐르고 힘이 들었기 때문이다. 원님이 그늘에 자리를 잡고 시원한 물 한사발을 들이켜려는 순간 나뭇잎 하나가 물사발에 떨어졌다.

성미가 급한 원님은 벌컥 화를 내면서, “이놈의 나무가 사람을 몰라보는구나. 베어 버리겠다” 하고는 칼을 뽑아 힘껏 내려쳤다. 그러나 웬일인지 나무는 상처 하나 나지 않고 칼만 두 동강이 났다. 재차 칼을 바꾸어 내려쳤지만 마찬가지였다. 화가 난 원은 군졸들에게 나무를 베라고 호령하였다.

이때 한 군졸이 “이 나무는 신독재 선생의 문하생이 심었으며, 유생들이 끔찍이 보살피고 있는 나무입니다.”라고 고했다. 그러자 원님은 고개를 끄덕이며 말했다. “과연 신비한 나무로다. 신독재 선생은 참으로 훌륭하신 분이시다.”

원님은 김집 선생을 찾아가 인사하고, 정희당을 잘 보수해 주고 보살펴 주었다. 그 후 청년은 이 느티나무를 더욱 열심히 보살폈으며, 선생이 돌아가시자 아예 나무 근처로 이사하여 매월 정월 열나흘이면 스승을 추모하는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이 마을 사람들은 이 느티나무의 잎이 무성하면 물이 흔하고 그렇지 못하면 물이 귀할 것이라고 점치고 있으며 지금도 나무 아래는 많은 오가는 이들의 휴식처가 되고 있다. 현재 나무 이파리들은 회춘을 하는 듯 무성하게 푸르름을 자랑해 400여 년의 세월을 무상하게 하고 있다.

나무의 잎이 무성하면 물이 흔하고 그렇지 못하면 물이 귀하다고 마을 사람들은 점을 친다.

▲ 나무의 잎이 무성하면 물이 흔하고 그렇지 못하면 물이 귀하다고 마을 사람들은 점을 친다.


나무 아래에는 신독재 선생과는 별 관계없는 반공의열전적비가 세워져 있다. 한국전쟁 당시 대둔산에서 활동하고 있던 빨치산들을 소탕하기 위해 벌곡면 내 의용소방대가 토벌작전에 참가했는데, 31명이 전사했다. 이를 기리기 위해 대전 지역의 한 신문사가 면사무소 내에 세웠다가 1979년 이곳으로 옮겼다고 한다.

나무 아래에는 반공의열전적비가 세워져 있다.

▲ 나무 아래에는 반공의열전적비가 세워져 있다. 
 

 

탈론님의 다른 기사 보기

[탈론님의 SNS]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