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사는이야기

남편의 귀농을 망설이게 하는 이유

경제적인 이유와 농촌과 도시의 문화 차이

2014.04.27(일) 04:58:22 | 모과 (이메일주소:moga52@hanmail.net
               	moga52@hanmail.net)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이번 토요일에도 남편은 아버님을 모시고 덕산 시골집으로 갔다.  지난 주에 심은 상추 치커리 호박 고추  케일의 싹이 났는 지 궁금해서이다.  남편의 마음은   당장  고향집 옆에 우리의 작은 집을 짓고  가서 살고 싶어한다. 그러나 그럴 수 없는  이유가 있다.

남편의귀농을망설이게하는이유 1
 

1. 농사가 안정적일 때까지의 경제력이 문제다.
 
시골에 넉넉한 밭과 집을 지을 땅도 있는데도 가서 정착 할 동안의 경제력과  여유자금이 없어서이다.  퇴직한 공무원 같으면  그런 걱정이 없겠으나  남편의 대도시에서  서점을 하고 있다. 서점운영으로는  빚을 지지 않고 우리 부부가  그냥저냥 살아 갈 정도이다. 농사만으로 살아가기에는  남편은 농사 경험도 없고 나이도 너무 많다.

 앞으로 10년 정도 도시생활을 해야  남편의 소원인 고향으로 가서 살게 될 것이다. 그때면 우리는 70대가 되는데 참 딱한 일이다. 감사한 것은 시골집이 우리 집에서 한시간 30분이면 갈 수 있는 가까운 곳에 있는 것이다.  남편은 거의 매주 덕산 외라2리에 주말농장을 하는 심정으로 열심히 다니고 있다.

남편의귀농을망설이게하는이유 2

 2. 농촌문화에 적응 못할 아내가 걱정이다.   

나는 서울에서 성장했고 남편의 직장을 따라서 부산에서 근 30년을 살다가 남편의 고향 대전으로 이사를 왔다.  계속 대도시에만 살았다.  농촌 생활은 전혀 모르고 자기 표현이 솔직하고 활발한 성격이다. 이런 내가 20 가구가 안되는  시골에 가서  주민들과 잘 적응하며 살 수 있을지 걱정이긴 하다.

남편의귀농을망설이게하는이유 3

남편은 그집에서 태어났고  마을입구의 수덕초등학교 5,6학년과 예산 중학교 2학년까지 다녀서 친구들도 많다. 마을 사람들도 대부분 다 알고 홍성이나 예산 덕산 갈산 서산 지방에 대해서도 잘 알고 있다.   

다행히 나는 오랜 투병생활을   했던 적이 있어서 돌아다니기를 좋아하지 않는다.  일 주일에 한 두번 꼭 필요한 외출만 하고 늘 집에 있는 편이다.  도시에 사나 시골에 사나 집에 있는 것은  같으니까 남편을 따라서 시골집에 가서 살아도 괜찮다고 생각하고 있다.

남편의귀농을망설이게하는이유 4

남편은 기관지가 약한 나를 위해서라도 공기좋은 시골집에 가서 살고 싶다고 한다. 우리 부부는 모두 상대방을 위해서 시골에 들어간다고 생각하는  셈이다.
 
다른 사람들은 정착 할 농촌을 선정하는 문제가  제일 고심하겠으나 우리는 할아버지께서 논과 밭, 큰 시골집까지 공동으로  물려주셨으니 얼마나 큰 축복인가? 

남편의귀농을망설이게하는이유 5

남편이  매주 고향집에만 다녀오면 행복해 하니 나도 좋다. 땅을 파고 고랑을 만들고 씨를 뿌리며 검게 그을은 얼굴로 덕산 막걸리로 모두 건배를 하는 그순간이 바로 행복이다. 어쩌면 남편은 행복을 만들러 매주 고향집으로 가는지 모르겠다. 나도 남편에게 점점 전염이 돼서  고향집에 가면 마음이 편해지고 기분이 좋아진다.

나는  남편의 귀농 준비기간은  안전하고 행복한 귀농을 위한 필수조건이라고 생각이 들기도 한다. 내가 덕산 시골동네에 서서히 적응하는 기간이 필요해서 당분간 도시 생활을 해야하는 여건이 좋다는 생각을  가끔 한다.
 

 

모과님의 다른 기사 보기

[모과님의 SNS]
  • 페이스북 : http://facebook.com/moga52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