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전체기사

전체기사

충남넷 미디어 > 소통 > 전체기사

은진미륵의 천년고찰 논산 관촉사

논산 8경 중 제1경 논산 관촉사

2024.06.08(토) 21:02:40해피플렌티(elencia02@naver.com)

관촉사의 경내 모습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은진미륵의 천년고찰 논산 관촉사 사진

안녕하세요?
해피플렌티입니다.
천년고찰 은진미륵이 유명한 논산 관촉사를 소개합니다.
 
은진미륵의 천년고찰 논산 관촉사 사진

관촉사(灌燭寺)는 고려 광종 19년(968) 혜명이 창건한 사찰로 대한 불교 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의 말사입니다. 관촉사는 특이하게 '반야산관촉사(盤若山灌燭寺)'라는 현판이 걸린 일주문을 지나 민가가 있어요.

은진미륵의 천년고찰 논산 관촉사 사진

일주문으로 들어오기 전에 넉넉한 주차 공간이 있는데, 불법을 수호하는 사천왕들이 모셔져 있는 천왕문(天王門) 앞에 많지는 않지만 주차장이 또 있어요.

은진미륵의 천년고찰 논산 관촉사 사진

민가 가까이 있는 사찰이라서 그런지 가파른 계단을 많이 올라갑니다.

은진미륵의 천년고찰 논산 관촉사 사진

드디어 계단 끝부분에 반야루(盤若樓)가 보이네요.

은진미륵의 천년고찰 논산 관촉사 사진

반야루 아래 벽면에 붙여진 만화로 된 관촉사 미륵불과 혜명스님에 대한 이야기예요.

고려 4대 임금 광종 19년 어느 봄날, 두 여인이 정담을 나누며 고사리를 뜯었는데 갑자기 아기의 울음소리가 들렸고, 땅이 진동하고 커다란 바위가 솟아 나왔어요. 두 여인은 관아에 알렸고, 그리하여 조정에도 알려져 광종은 하늘이 내린 돌로 여기며 금강산의 혜명대사를 모셔 와서 불상을 만들도록 하였다고 해요. 

은진미륵의 천년고찰 논산 관촉사 사진

대웅전 경내로 들어와서 본 반야루 모습이에요.
'불광보조(佛光普照)'라는 현판이 있는데, '부처님의 빛이 널리 온 세상을 비추다'라는 뜻이겠죠~~.

은진미륵의 천년고찰 논산 관촉사 사진

등산로가 지나가는 쪽에 정자가 있어요. 사찰에 정자가~~
관람객들을 위한 배려인 것 같아요. 감사!!
 대광명전(大光明殿)
▲ 대광명전(大光明殿)

대웅전인 대광명전(大光明殿)이에요.
이 대광명전은 외관상으로는 2층 건물로 보이나 내부로 들어가면 통층(通層)으로 한 층의 건물이에요. 경복궁의 근정전과 비슷한 형태에요.
 대광명전 내부
▲ 대광명전 내부

사찰의 주요 전각인 대웅전과 대광명전의 차이는 내부에 모신 부처님으로 보면 돼요.
대웅전은 석가모니불을 주불(主佛)로 모신 반면, 대광명전의 경우는 법신불(法身佛)인 비로자나불을 봉안한 곳이에요.
가운데 모신 부처님의 수인(手印)을 보시면 비로자나불임을 알 수 있는데, 화엄종의 맥을 잇는 사찰에서는 비로자나불을 주불(主佛)로 모시고 있어요.

은진미륵의 천년고찰 논산 관촉사 사진

수인은 지권인(智拳印)으로 손가락을 꼬거나, 한 손의 검지를 다른 손바닥으로 움켜쥐는 형상입니다. 이것은 너와 나, 부처와 중생이 둘이 아닌 하나라는 것을 뜻한다고 해요.

윤장대輪藏臺)
▲ 윤장대輪藏臺)

다른 사찰에서는 볼 수 없었던 이색적인 관촉사 윤장대(輪藏臺)에요.
윤장대란 불교 불경을 넣어 두는 책장으로, 축을 달아 돌릴 수 있게 만든 것으로, 윤장대를 한 바퀴 돌리면 불경을 한 번 읽은 것과 같은 의미라고 해요.
라마교 사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이 윤장대는 글을 모르는 신도들이 경전을 읽을 수 없음을 배려하여 만든 것이라고 하네요.

은진미륵의 천년고찰 논산 관촉사 사진

관촉사는 사찰 이름보다 은진미륵이 있는 절로 더 잘 알려진 곳이에요. 높이가 18m에 이르는 은진미륵은 고려시대에 세워진 국내 최대 석불로 정식 명칭은 ‘관음보살입상’입니다.
국보 제323호의 이 거대한 석조미륵보살입상의 발 부분은 암반에 직접 조각하였고, 하체 부분과 상체 부분은 조각하여 연결하였습니다.

은진미륵의 천년고찰 논산 관촉사 사진

석조미륵보살입상은 몸에 비해 머리와 손발이 상당히 큰 편이고, 전체적인 비례도 잘 맞지 않아요.
석조미륵보살입상에 보이는 얼굴과 손이 강조된 표현은 고려시대 977년에 조성된 고령 개포동(開浦洞) 마애보살좌상과 981년의 이천 장암리 마애보살좌상 등 10세기 후반에 조성된 보살상의 전형적인 특징입니다.

은진미륵의 천년고찰 논산 관촉사 사진

얼굴에 꽉 차게 표현된 이목구비(耳目口鼻), 부풀어 오른 듯한 양 볼과 이중 턱, 눈썹에 비해 지나치게 길게 표현된 후리부리한 눈, 두터운 입술과 큰 입, 원통형의 짧은 목, 얼굴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어깨 등 어딘지 모르게 미숙하게 처리된 모습입니다.
자비로운 보살이라기보다는 토속적인 신의 모습을 보는 듯 위압적이며, 강한 이미지와 신비감을 느낍니다.

은진미륵의 천년고찰 논산 관촉사 사진

이 불상은 이상적인 우아함을 추구한 신라 불상과 전혀 다른 파격적이고 대범한 미적 감각을 보아는 새로운 양식입니다.

은진미륵 앞의 석등
▲ 은진미륵 앞의 석등

석등(石燈:보물 제232호)은 어두운 중생의 마음을 부처님의 깨달은 진리로 비추어 불성(佛性)을 밝혀주는 등입니다.

삼성각
▲ 삼성각

은진미륵 왼쪽으로 계단을 올라가면 삼성각이 있어요.
삼성각은 사찰에서 산신·칠성·독성을 함께 봉안하는 불교 건축물로 삼성은 각각 재물과 수명과 복을 관장하는 존재로서, 전통 신앙인 삼신신앙(三神信仰)과의 습합현상을 살필 수 있습니다.

은진미륵의 천년고찰 논산 관촉사 사진

석탑과 배례단
▲ 석탑과 배례단

은진미륵불 앞에는 석탑이 있는데 보수 중인지 가림막이 쳐져 있네요.
석탑 앞에는 흔치 않은 '배례단'이 있는데요.
이 배례단은 부처님께 합장하고 예를 갖추는 곳으로, 연꽃 문양이 아름답게 조각되어 있습니다.

관촉사 명부전
▲ 관촉사 명부전

명부전은 지장보살을 모시고 죽은 이의 넋을 인도하여 극락왕생하도록 기원하는 전각으로, 지장보살을 주불로 모신 곳이므로 지장전이라고도 합니다.

은진미륵의 천년고찰 논산 관촉사 사진

종루에는 범종(梵鐘)만이 있어요.

석문(해탈문)
▲ 석문(해탈문)

반야루 옆에는 석문이 있어 경내로 드나들 수 있는데요.
석문은 다른 사찰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특이한 형태의 문으로, 사찰에 들어가기 위한 문이라는 뜻의 ‘해탈문’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습니다.
석문은 관촉사 건립 후 동·서·남·북 4곳에 두었는데, 그중 동쪽에 세운 이 석문만이 유일하게 남아 있습니다.

은진미륵의 천년고찰 논산 관촉사 사진

옛날 중국의 지안(智安)이라는 명승(名僧)이 석조미륵보살입상(石造彌勒菩薩立像), 은진미륵을 보고 ‘미간의 옥호에서 발생한 빛이 마치 촛불(燭)을 보는 것(灌)같이 미륵이 빛난다,’라고 한 연유에서 관촉사(灌燭寺)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전해집니다.

은진미륵의 천년고찰 논산 관촉사 사진

‘논산 8경 중 제1경’ 천년고찰 은진미륵의 논산 관촉사를 소개해 드렸는데요. 봄철에는 벚꽃이 활짝 피어 벚꽃 터널로 장관을 이룬다고 해요.
관촉사의 유물 중 석조미륵보살입상은 국보, 석등은 보물, 석문은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대광명전의 석조비로자나불입상은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어서 방문해 볼만 한 사찰입니다.


관촉사
충남 논산시 관촉로1번길 25
- 문의 : 041-736-5700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