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전체기사

전체기사

충남넷 미디어 > 소통 > 전체기사

연잎주 막걸리 만들기 체험

신평양조장 시간이 익어가는 곳

2023.11.14(화) 08:20:11윤슬(gyengsuk@hanmail.net)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당진 신평양조장 연잎주 막걸리 체험교실 참여해봅니다.
당진 대표적인 농산물 쌀을 활용해 술을 만들어 먹었던 우리 민족의 역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곳이다.
신평막걸리는 3대가 100년의 역사를 이어 막걸리 계승과 발전에 연구를 지속 하고 있다.
막걸리의 뮤지엄, 갤러리, 전시등 그 당시에 사용했던 도구들도 볼 수가 있다.

술빚는 장인 100년의 술 이야기
▲ 술빚는 장인 100년의 술 이야기

술빚는 장인 김용세 명사의 이야기 시작으로 우리 전통문화를 알고 배울 수 있는 곳이다.
신평양조장은 한국관광공사 산업관광지 13선에 선정된 곳으로 대한민국 양조 근현대사의 역사를 기록해 놓았다.

세계전쟁의 격동기, 신평양조장의 시작
▲ 세계전쟁의 격동기, 신평양조장의 시작

당시 사용했던 장부, 도구, 장식품등 옛 선조들의 생활속에 활용했던 필수품들을 볼 수 있다.
막걸리의 역사를 그대로 전시해둔 신평양조장은 막걸리 박물관처럼 볼거리가 있다.

국가 재건과 지역시회의 중심
▲ 국가 재건과 지역시회의 중심

신평양조장 3대 가업계승과 발전
▲ 신평양조장 3대 가업계승과 발전

예전부터 쓰여왔던 막걸리 관련 도구들 설명하고 있다.
▲ 예전부터 쓰여왔던 막걸리 관련 도구들 설명하고 있다.

초장기때부터 최근까지 술 만드는데 사용되었던 도구들을 그대로 전시해 놓았고, 설명과 도표로 역사를 배워보는 시간도 가졌다.

양조장 갤러리 소개
▲ 양조장 갤러리
 
막걸리 제조방법등 술이 익어과는 과정 등을 전시해 술의 모든 것을 알 수 있는 곳이다.
특유한 막걸리의 향이 나고 있다. 

양조장 실내모습
▲ 양조장 실내모습

연잎주 막걸리 만들기 체험 사진
▲ 다양한 막걸리 시식

막걸리 종류도 다양하다. 전통 막걸리부터 새로이 탄생 된 칵테일 막걸리까지 시식 시간을 통해 다양한 막걸리 한잔의 맛과 향을 경험할 수 있다.

막걸리 고두밥 찌기
▲ 막걸리 고두밥 찌기

이제 막걸리의 시작을 배워보는 시간.
체험 시간 3시간전에 쌀 씻기, 불리기, 물 빼기 작업 후 찜기로 약 40분간 고두밥을 찐다.

막걸리 체험 교실
▲ 막걸리 제조 과정 설명

고두밥 말려보기
▲ 고두밥 말려보기

주걱으로 고두밥을 얇고 넓게 편 뒤 일정 시간 뒤 반복해서 뒤집어주어 약 섭씨 28~30도로 고두밥을 식힌다.

재료를 넣고 섞어보기
▲ 재료를 넣고 섞어보기

각자의 용기에 600g의 고두밥을 계량하여 담아 자리에 가져간 후 누룩과 효모 등 원료들을 배합한다.
연잎의 면이 고두밥과 접할 수 있도록 연잎을 단지 안으로 집어 넣는다.
단지 안 벽에 붙은 밥알을 정리한 후 뚜껑을 닫는다. 담근 날자와 시간 등 필요한 정보를 기록한다.

막걸리 만들기 완성
▲ 연잎주 만들어보기 완성

체험을 마친 막걸리는 햇빛이 비치는 곳을 피해 보관하고 뚜껑을 열어 단지 위에 살짝 얹혀놔야 한다.
3일 후 알코올이 가장 많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2~3회정도 3일동안 저어 준다.
그 후는 더 이상 저어주지 않고 그대로 방치한다.
담근 후 6일째 술 거르기와 물타기를 해준다. 이후 2~3일 정도 냉장고에 보관 숙성시키면 연잎주 막걸리가 완성된다.

직판도 가능한 곳
▲ 직판가능

체험 재료
▲ 체험 재료

명인 연잎주 막걸리 체험 예약 방법 
1인 30,000원이고 네이버로 예약하시면, 전화 통화 후 입금까지 하면 예약 완료.

우리 옛 역사로 이어온 막걸리 한잔 가족 지인들과 함께 배워보는 시간으로 신평양조장을 추천합니다.
술의 역사를 찾아 떠나가는 여행 당진신평양조장 어떤가요?
 

신평양조장
충남 당진시 신평면 신평로 813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