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전체기사

전체기사

충남넷 미디어 > 소통 > 전체기사

청양 모덕사 옆 최익현 선생이 살았던 면암 고택 충청남도 문화재 지정

충청남도 문화재로 지정된 면암 고택을 찾다

2023.06.21(수) 09:54:04걷는 여행자(dayee0@naver.com)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청양 모덕사 옆 최익현 선생이 살았던 면암 고택 충청남도 문화재 지정 사진

충남 청양에는 조선 후기 대학자이자 마지막 선비 정신을 보여주었던 면암 최익현 선생의 고택과 사당이 있습니다. 고택의 경우 최익현 선생이 1900년부터 6년간 거주했던 집으로 조선 후기 을사늑약에 맞서 독립운동을 펼치고 문인을 양성하였습니다. 5월 말 그곳에 반가운 소식이 들려 청양을 찾았습니다. 사당 모덕사가 1984년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된데 이어 면암 고택도 충청남도 문화재로 지정되었네요.

충남 청양 면암고택
▲ 충남 청양 면암고택

청양 모덕사 옆 최익현 선생이 살았던 면암 고택 충청남도 문화재 지정 사진

모덕사는 청양군 목면 송암리 창양의 끝자락으로 공주와 인접하였습니다,
우목 저수지 끝자락으로 관리사무소를 시작으로 동상, 유물전시관인 대의당, 영당, 중화당, 면암 고택으로 구성되었습니다. 관리사무소와 맞닿아 우목 저수지의 탁 트인 풍경이 펼쳐지고 뒤편으로 옛 고택과 함께 유물전시관이 있습니다. 그에 앞서 면암 선생님의 동상부터 둘러보게 됩니다.

모덕사 앞 우목저수지
▲ 모덕사 앞 우목저수지

청양 모덕사 옆 최익현 선생이 살았던 면암 고택 충청남도 문화재 지정 사진

면암 최익현 선생은 경기도 포천에서 탄생하여 6세 때 글을 익히고 14세 때 한말 성리학의 대가인 화서 이항노 선생 문하에서 사사하였습니다. 23세 되던 해에 과거에 급제한 후 여러 관직을 거치면서는 선정을 베풀어 백성의 숭앙을 받았습니다. 외세에 의항 개항을 반대하는 위정척사론을 펼쳤으며 1900년 청양으로 이주하여 6년간 거주하였습니다.

면암 최익현선생
▲ 면암 최익현선생

유물전시관 실내모습
▲ 유물전시관 실내모습

고택 탐방은 다양한 유물이 전신된 유물전시관 대의관부터 둘러봐야 합니다.
아는 만큼 보인다고 영정과 연보 생전에 사용했던 유물을 통해 면암 선생을 알아갑니다. 일본군에 체포되어 서울로 압송될 당시 촬영된 사진, 고종이 일본군 몰래 최익현 선생에게 보냈던 밀지, 상소문 등이 전시되었습니다

청양 모덕사 옆 최익현 선생이 살았던 면암 고택 충청남도 문화재 지정 사진

청양 모덕사 옆 최익현 선생이 살았던 면암 고택 충청남도 문화재 지정 사진

유물전시관에는 면암 선생이 조정에 나갈 때 입었던 조복, 스승인 화서 이항로 선생으로부터 받은 호인 면암 현판, 소품과 교지. 피혁류 등이 전시되었습니다. 대마도 감옥에서 단식으로 순국 전에 오직 나라를 걱정하며 고종 황제께 마지막으로 올린 유소도 소개됩니다. 그 밖에 놋식기, 사모, 선, 문서가방 초갑, 휴대용 벼루와 벼루 상자, 향합, 사모 등 대략 100여 년 전 실제 사용했던 물품들이 있습니다.

청양 모덕사 옆 최익현 선생이 살았던 면암 고택 충청남도 문화재 지정 사진

지난달 말 충청남도 문화재로 지정된 면암 고택입니다. 안채와 사랑채인 중화당이 'ㅁ'자 구조이며 오른쪽으로 사당 춘추각이 위치하였습니다. 은행나무를 경계로 오른쪽으로 고택보다 39년 앞서 문화재로 지정된 사당 모덕사가 있습니다. 춘추각의 경우 7월 16일까지 두 달간 해체 보수공사가 진행되네요

면암고택 중화당
▲ 면암고택 중화당

청양 모덕사 옆 최익현 선생이 살았던 면암 고택 충청남도 문화재 지정 사진

면암고택 춘추각
▲ 면암고택 춘추각

최익현 선생은 68세였던 1900년 출생지인 경기도 포천에서 이곳 청양으로 이사하여 6년간 거주하였습니다. 사랑채인 중화당은 1906년 의병을 일으키게 된 산실로 많은 애국지사를 모아 강의하고 독립운동을 논의하였던 역사적 장소입니다. 거주 당시 선생은 1905년에는 을사늑약 파기와 을사 5적의 처단을 주장하는 상소를 1906년에는 태인에서 의병을 일으켰습니다. 결국 관군에 붙잡혀 대마도에 감금되었는데 단식 투쟁을 전개하다가는 11월 17일 순국하셨습니다. 선생의 제자였던 곽한일 송병직은 홍주의병을 백관령과 유준근 등도 파리장서운동을 전개하였습니다. 고택은 선생이 순국한 후에도 후손들이 계속 머물렀다 합니다

청양 모덕사 옆 최익현 선생이 살았던 면암 고택 충청남도 문화재 지정 사진

면암고택 안채
▲ 면암고택 안채

청양 모덕사 옆 최익현 선생이 살았던 면암 고택 충청남도 문화재 지정 사진

면암 고택은 1893년 건립되었으며 안채와 사랑채인 중화당 사당인 영모재 3개의 별동이 튼 'ㅁ'자 형태입니다. 안채는 'ㄱ'자의 평면구성으로 대청을 중앙에 두고 좌측에 안방 윗방 부엌 우측에는 건넌방과 고상 마루가 있습니다. 사랑채는 서로 마주하여 감싸 안은 형태로 중문간으로 한번 꺾어 안채로 진입하게 됩니다. 조선 후기 양반 가옥의 기본적인 형태로 건축학적 민속학적 가치가 높았습니다.

청양 모덕사 옆 최익현 선생이 살았던 면암 고택 충청남도 문화재 지정 사진

청양 모덕사 옆 최익현 선생이 살았던 면암 고택 충청남도 문화재 지정 사진

청양 모덕사 옆 최익현 선생이 살았던 면암 고택 충청남도 문화재 지정 사진

담장을 사이에 두고 사당 구간인 모덕사와 맞닿았으며 그 옆에 위치한 춘추각 역시나 무척 큰 규모입니다.
2022년 초에는 사랑채인 중화당에서 약 2만여 점의 고문헌이 발견되기도 하였습니다. 최익현의 일기, 제주 흑산도 유배 시절의 편지, 고종이 최익현에게 내린 칙명 12폭 병풍 등이었습니다. 약 3만여 점의 유물이 중화당과 춘추관에 보관되어 있다 하네요. 하지만 내부는 굳게 닫혀서는 확인할 수는 없었습니다. 옛 모습이 그대로 보존된 옛 전통가옥의 외관만으로도 볼거리는 충분하였습니다.

청양 모덕사 옆 최익현 선생이 살았던 면암 고택 충청남도 문화재 지정 사진

청양 모덕사 옆 최익현 선생이 살았던 면암 고택 충청남도 문화재 지정 사진

고택 왼편으로 홍살문 너머로 영당과 모덕사도 둘러봅니다.
성충대의라는 현판이 걸린 영당에는 면암 최익현 선생의 영정이 사당인 모덕사에는 위패가 모셔졌습니다. 영정은 73세였던 1905년에 정산 현감으로 있던 채용신이 그린 모습으로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영당에는 모사한 그림이 봉안되었습니다. 위패가 모셔진 모덕사는 고택보다 한참 후인 1914년 건립되었는데 고종황제가 내린 글 가운데 면암의 덕을 흠모한다는 구절에서 모자와 덕자를 취한 것이라고 합니다.

모덕사 홍살문
▲ 모덕사 홍살문

면암고택 사당 모덕사
▲ 면암고택 사당 모덕사

청양 모덕사 옆 최익현 선생이 살았던 면암 고택 충청남도 문화재 지정 사진

그 옆으로는 1953년 정치인이자 독립운동가인 해공 신익희 선생이 심었다는 잣나무가 자랍니다.

청양 모덕사는 영정과 사당에 이어 고택까지 충청남도 문화재로 지정되어 조선 후기 대학자이자 의병대장으로 항일투쟁과 독립정신을 실천했던 면암 최익현의 순국정신을 기립니다. 고요한 분위기로 호젓하게 걷기에도 좋았습니다. 청양에서 조선 후기 의병활동을 펼쳤던 면암 선생님도 알아가고 전통건축의 아름다움도 즐겨보세요.

해공 신익희 선생이 식재한 모덕사 잣나무
▲ 해공 신익희 선생이 식재한 모덕사 잣나무


청양 면암 고택 모덕사
충청남도 청양군 목면 나분동길 12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