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전체기사

전체기사

충남넷 미디어 > 소통 > 전체기사

소중한 백제 역사를 간직한 공주무령왕릉과 왕릉원(송산리고분군)

공주 가볼만한 곳, 무령왕릉과 왕릉원에서 백제의 숨결을 느끼다

2022.09.16(금) 14:33:09해피플렌티(elencia02@naver.com)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소중한 백제 역사를 간직한 공주무령왕릉과 왕릉원(송산리고분군) 사진


안녕하세요
.
이른 가을하늘을 보며 백제의 소중한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송산리고분군)에 다녀왔습니다. 이곳은 근처에 있는 공산성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어 있어요. 무령왕릉은 삼국시대 왕릉 가운데 유일하게 무덤 주인이 알려졌는데요, 무령왕릉의 발굴은 참으로 기적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먼저 발굴된 고분군의 장마철 피해를 막기 위해 배수로 공사를 하던 중 벽돌무덤의 입구(무령왕릉)가 발견되었으니, 이를 기적이라고밖에 말할 수 없지요. 도굴꾼들의 손을 피해 후세에 백제의 발자취를 남기려는 무령왕의 돌보심이 있었을까요?
 

공주관광안내소

▲ 공주관광안내소


주차장 왼쪽에 관광안내소가 있어요
. 관광 안내를 받으려면 이곳에서 친절한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
 

휠체어, 유모차, 양산 빌리는 곳

▲ 휠체어, 유모차, 양산 빌리는 곳


주차장 옆에서 휠체어와 유모차
, 양산이 비치된 함이 있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요. 주차장에서 오른쪽 길을 따라 돌아가면 고분군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
 

공주무령왕릉과 왕릉원과 백제역사유적지구 안내도

▲ 공주무령왕릉과 왕릉원과 백제역사유적지구 안내도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사적 제123)의 안내도를 잘 보고 들어가심이 좋아요. 웅진백제역사관, 놓치기 쉬운 백제 연못, 고분군 전시관을 관람 후, 7, 8번까지 쭈욱 올라갔다가 빙 돌아 나와 9번의 연잎이 가득한 연못과 백제오감체험관까지 들려서 나오면 관람점수 100점입니다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어 있는데요. 백제역사유적지구(공주의 무령왕릉과 왕릉원, 공산성, 부여의 정림사지, 관북리 유적과 부소산성, 능산리고분군, 나성, 익산의 미륵사지, 왕궁리유적)201578, 독일의 본에서 개최된 제39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전 인류의 소중한 유산이 되었습니다.


매표소 가는 길

▲ 매표소 가는 길


매표소가 보이지 않아서 어리둥절하는 사람도 보였어요
. 예전에 와 봤지만, 매표소가 어딘지 생각이 잘 나지 않아서 잠깐 당황했어요. 돔 모양의 웅진백제역사관을 지나 조금만 걸어가면 저 멀리 매표소가 보여요.
 

소중한 백제 역사를 간직한 공주무령왕릉과 왕릉원(송산리고분군) 사진


멋진 모습의 화장실도 보이고요
. 주차장에도 화장실이 있었는데 매표소 입구에도 있네요. 이제 화장실이 없으니 비우실 분은 이곳에서 화장을 잘~~하고 가셔야 합니다.


몸집이 커진 진묘수(묘 속에 놓아 두는 신상) 역할을 하는 석수(石獸)

▲ 몸집이 커진 진묘수(묘 속에 놓아 두는 신상) 역할을 하는 석수(石獸)


진묘수는 고분 입구에서 무덤을 지키는 수호신으로 상상 속의 동물입니다
. 머리에 사슴뿔이 달려있고, 높이 약 32cm, 길이 약 48cm의 크기로 우리나라 국보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왕릉을 지켰던 진묘수가 고분군 전체를 수호하듯 입구에 서 있었어요. 사실 커다랗게 확대한 모습입니다.
 

매표소

▲ 매표소


임시 무료입장입니다
. 코로나로 인해 현재로는 930일까지 무료입장이라고 하네요.
* 관람안내 : 송산리 고분군 내부에 습기 및 결로현상이 발생하여 19971110일 문화재청의 영구 비공개 결정에 따라 내부 관람이 중지되었습니다. 따라서, 관람객의 이해를 돕기 위해 모형전시관에 출토 유품과 함께 모조 전시를 하고 있으니 양해를 바란다는 내용입니다.
* 공주직거래장터 : 매주 금. 토요일 오전 11오후 6, 금강신관공원
* 공주시티투어 : 가을 투어코스(89, 09:0017:00, 어른 5,000), 반일 코스(311, 14:0017:40, 어른 3,000) 문의 041-840-8098
매표소 한쪽에 직거래장터와 시티투어에 대한 안내도 함께 되어 있었어요. 날 잡아서 직거래장터에 가서 신선한 먹거리로 건강한 밥상을 차려봐야 하겠습니다.
 

고분군 쉼터

▲ 고분군 쉼터


매표소를 지나면 훤
~~한 도로와 함께 왼쪽에는 고분군 쉼터라는 쉬어가는 곳이 있습니다.


공주무령왕릉과 왕릉원 전시관

▲ 공주무령왕릉과 왕릉원 전시관


무령왕릉과 왕릉원 전시관은 백제의 한성기
, 웅진기, 사비기의 고분의 구조와 양식의 변화를 볼 수 있어요. 이 전시관은 5, 6호분과 무령왕릉을 실물과 동일한 크기로 재현해 놓은 곳입니다. 송산리고분군은 웅진기 백제 왕실 무덤군으로 13기의 고분이 밀집되어 있습니다. 대표적인 무덤으로는 전형적인 백제의 굴식 돌방무덤인 5호분과 중국 남조 지배계층의 무덤 양식인 벽돌무덤의 6호분과 무령왕릉 등이 있습니다.
일제강점기에 처음 발견되어 14호분은 1927년에 조사되었고, 5, 6호분은 1933년 일본인 가루베 지온(일제강점기 충청남도 공주에서 활동한 일본인 교사이자 고고학자, 도굴꾼)에 의해 조사되었습니다.
 

송산리고분군의 발견과 세계유산 추진과정

▲ 송산리고분군의 발견과 세계유산 추진과정


*
송산리고분군의 발견 연보
19271~4호분 조사실시
1933년 조선총독부에서 6호분, 29호분 발굴조사
19525~8호분 조사 실시
1971년 고분군 배수로 공사 중 무령왕릉 입구 발견, 조사
1985년 무령왕릉 공개
1997년 송산리고분군 내부관람 중단, 무령왕릉 폐쇄
2003년 송산리고분군 모형 전시관 개관
2015년 백제역사 유적지구 세계유산 등재
 

5호분 굴식 돌방무덤

▲ 5호분 굴식 돌방무덤


1
5호분까지는 굴식 돌방무덤입니다. 입구의 높이가 낮고 굴식이라서 머리 조심하고 많이 숙이고 드나들어야 합니다. 굴식 돌방무덤으로 백제시대에 유행했던 무덤 양식이에요.
 

6호분 벽돌무덤

▲ 6호분 벽돌무덤


무령왕릉과
6호분은 벽돌무덤으로 되어 있습니다. 벽돌무덤은 중국 남조 지배계층의 무덤 양식으로 가장 큰 특징은 일회성 매장이 아닌 추가장(追加葬)을 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 때문에 돌방무덤은 무덤방을 만들고, 사람이 출입할 수 있도록 진입로와 입구를 만든 개방된 구조를 지니고 있습니다.
 

무덤을 지키는 사신도

▲ 무덤을 지키는 사신도


6
호분 벽에 그려져 있는 사신도는 중국 고대 사상에서 나온 방위도로 음양오행설에서 비롯되었다고 합니다.
동쪽을 지키는 화염을 뿜고 있는 청룡,
서쪽을 지키는 호랑이 같으나 몸은 용과 흡사한 백호,
남쪽을 지키는 주작은 신조(神鳥)인 봉황에서 기원하였으며, 무덤의 입구를 지킨다고 합니다.
북쪽을 지키는 현무는 북방 7별자리를 상징하고, 거북과 뱀의 혀를 길게 빼고 얼굴을 마주하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습니다. 6호분의 사신도는 공산성 성곽을 따라 걷다 보면 펄럭이며 인사하는 깃발로 재현되어 있습니다.
 

우연히 발견된 무령왕릉

▲ 우연히 발견된 무령왕릉


무령왕릉은
19717, 5호분과 6호분의 장마철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배수로 공사를 하던 중 6호분 옆에서 벽돌무덤 입구가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송산리고분군 중에서 유일하게 도굴이 되지 않은 무덤이라고 합니다. 무덤의 크기가 작아서 도굴꾼들의 손을 피해 갔다고 해요. 그래서 온전하게 유물과 내부가 보존되어져 있었다고 합니다. 참 다행이지요. 그 덕에 많은 유적과 진묘수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진묘수는 무덤마다 자리하고 있었는데 모두 도굴되었고 무령왕릉에서만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무령왕릉의 출토유물(껴묻거리, 副葬品)

▲ 무령왕릉의 출토유물(껴묻거리, 副葬品)


무덤의 입구에 진묘수와 묘지석이 놓여 있었는데 묘지석에는
백제의 사마왕이라고 적혀 있었다고 합니다. 사마왕은 무령왕을 말하는 것으로 무령왕과 무령왕비의 관과 1084,600여 점의 유물이 부장되어 있었습니다. 이러한 유물들은 껴묻거리(장사를 지낼 때, 시체와 함께 묻는 물건을 통틀어 이르는 말)로 무덤 시설과 의례, 사후세계 안식을 위한 것과 생존 시 사용했거나 사망 시 장착했던 물건이라고 해요.
왕과 왕비의 목관 내부에서는 나무로 만든 머리 받침(잠잘 때 사용하는 베개인 줄 알고 딱딱해서 머리가 아프겠다고 생각했는데 그게 아니었어요), 발 받침, 관 꾸미개, 금동신발, 귀걸이, 목걸이, 각종 옥 등의 장신구가 보였는데, 이는 무덤 주인의 권위를 상징하는 것들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최고의 지배자를 상징하는 둥근고리큰칼도 출토되었습니다. 무령왕릉 출토 유물 중 일부는 국보로 지정되어 국립공주박물관에 보관되어 있습니다.
 

무령왕의 멋진 모습과 무령왕릉

▲ 무령왕의 멋진 모습과 무령왕릉

 
무령왕릉은 연화무늬 벽돌을
4단으로 쌓고 배수설치가 되어 물 빠짐도 좋게 설계되었다고 합니다. 5호분에 비하여 입구가 높아 드나들기 어렵지 않아서 좋았습니다.
 

무령왕릉 내부 모습

▲ 무령왕릉 내부 모습


내부의 모습은 연화무늬 벽돌로 화려하고 예쁘기까지 하였습니다
. 벽면의 가운데에 불꽃모양의 구멍도 있어요. 정교하게 만들어진 무덤은 선조들의 뛰어난 기술과 감각이 돋보여서 놀라웠고 자랑스럽기까지 하였습니다.
 

고분군 가는 길

▲ 고분군 가는 길


밖으로 나와 길을 따라 조금만 올라가면 고분군이 나와요
.
 

공주 송산리고분군

▲ 공주 송산리고분군

길을 따라 걸으면 5, 6호분과 무령왕릉 입구가 먼저 나오고 1, 2, 3, 4호분이 나와요. 길바닥에는 수호신의 길이라는 글자와 함께, 백제 제25대 무령왕릉의 진묘수 역할을 하는 석수(국보 제162)를 형상화한 탐방로라고 쓰여 있습니다. 이 길을 따라 쭈욱 올라갑니다. 길바닥에 석수를 형상화한 그림이 계속 보여요.
 

굳게 닫힌 무덤 입구

▲ 굳게 닫힌 무덤 입구


고분군의 보존상의 문제로 영구 비공개 결정을 하여 내부 관람이 중지되었다는 아쉬운 안내입니다
. 소중한 문화재의 영구 보존을 위해 아쉬운 마음을 접고 위로 올라갔습니다. 예전에는 여기에서 돌아갔지만, 이번에는 위까지 계속 올라가 보았습니다.
 

정지산 유적 가는 길

▲ 정지산 유적 가는 길


위까지 올라가니 정지산 유적 가는 길이 나오네요
. 소나무 군락도 멋지고, 공기도 좋고, 송산리 고분군이 내려다 보이는 멋진 곳입니다.
 

송산리고분군 발자취

▲ 송산리고분군 발자취


*
백제웅진기-왕실묘역으로 조성
1927년 일제강점기 조사(1)
19321933년 일제강점기 조사(2)
1963년 사적 등재
1971년 무령왕릉 발굴조사
1988년 방단형 적석유구 확인
2015년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2018A.D지구 재발굴조사
20192020년 송산리 고분군 정밀탐사
 

숭덕전

▲ 숭덕전


고분군을 둘러보고 나오는 길에 숭덕전이라는 건물이 있는데요
. 이곳은 백제궁의 시조 온조왕과 웅진 백제의 문주왕, 삼근왕, 동성왕, 무령왕의 위패를 모신 곳이에요. 매년 백제문화제가 열리는 첫날에 추모제를 올리고 있다고 합니다. 

* 2022년 제68회 백제문화제
기간 : 2022.10.01.() ~ 2022.10.10.() 10:00 ~ 22:00
장소 : 부여군 구드래, 공주시 금강신관공원 일원

  

나오는 길의 홍살문

▲ 나오는 길의 홍살문


무령왕릉과 왕릉원
(송산리고분군) 관람으로 융성했?? 백제문화의 위상을 마음에 가득 품고 홍살문을 뒤로한 채 주차장으로 향했습니다. 매표소로 들어가서 한 바퀴를 돌고 이곳으로 나오면 주차장과 만나게 됩니다.


정비가 잘된 송산리고분군은 백제 웅진기의 대표적인 왕릉이 있는 곳으로 대부분 일제강점기 때 도굴과 발굴조사에 의해 존재가 알려졌습니다. 무령왕릉 근처에는 가볼 만한 곳이 여러 곳 있습니다. 국립공주 박물관, 출구 쪽에 아이와 함께 가면 좋은 백제오감체험관, 공주한옥마을(웅진캠프장). 그리고 공산성도 있어서 나들이하기에 좋습니다
특히, 2022. 10. 01.()~2022. 10. 10.()에 열리는 백제문화제는 공주 금강신관공원과 공산성, 무령왕릉, 제민천 일원을 비롯해 부여군 일원에서 동시에 열립니다. 드높은 가을 하늘을 만끽하며 가족과 연인과 이웃과 함께 볼거리, 먹을거리, 체험거리가 가득한 여행을 즐???야 할 멋진 기회라고 생각합니다.


*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송산리고분군)
- 소재지 :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 산5-1번지
- 람시간 : 09:0018:00(17:30 입장마감)
- 입장료 : 성인 1500/ 청소년 1000/ 어린이 700
- 주차료 : 무료
- 휴관일 : 설날과 추석 당일
- 전시해설 : 매일 6회 정시(10, 11, 13, 14, 15, 16)
*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에 있는 백제 웅진 도읍기에 재위하였던 왕과 왕족들의 무덤으로 1963121일 사적 13호로 지정되었다.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