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여행

여행

충남넷 미디어 > 통통충남 > 여행

옛 철교가 생태를 관찰할 수 있는 공간으로 탄생한 보령인도교

2021.04.15(목) 20:19:15서영love(hush7704@naver.com)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장항선 대천천 폐선 철도교량 주변 생태계 복원사업으로 8억 원을 투입 폐선철도 교량에 폭 3m 길이 120m의 생태 관찰로에 조류 관찰 망원경(6개소), 어류 관찰소(3개소), 어소방틀과 녹지를 등을 조성한 것이 벌써 12년 전이네요.

옛 철교가 생태를 관찰할 수 있는 공간으로 탄생한 보령인도교 사진

요즘에는 여러 곳에 우연성을 가정하여 안 가본 다른 도로도 가보고 구석구석을 살펴보려고 하는 편입니다. 대천천 생태관찰로가 조성되어 있는 곳도 그 과정에서 만난 곳 이기도 합니다.

옛 철교가 생태를 관찰할 수 있는 공간으로 탄생한 보령인도교 사진

대천천의 구 장항선 철도교량은 그 역사가 80년으로 문화재적 가치가 있는 철도시설물로서 장항선 개량으로 폐선됨에 따라 철거가 불가피했던 곳이었지만 지금은 생태관찰로로 만들어져 있었습니다.

옛 철교가 생태를 관찰할 수 있는 공간으로 탄생한 보령인도교 사진

장항선 대천천 철도교량은 1929년 12월 광천에서 남포 구간이 개통되면서 이용돼 오다가 2009년 12월 장항선 개량사업으로 대천역이 궁촌동으로 이전하면서 80년 만에 퇴역하게 됩니다. 

옛 철교가 생태를 관찰할 수 있는 공간으로 탄생한 보령인도교 사진

보령시내로 들어가는 입구에 자리하고 있는곳, 자연생태를 살펴볼 수 있는 공간입니다. 

옛 철교가 생태를 관찰할 수 있는 공간으로 탄생한 보령인도교 사진

대천이라는 옛지명이 보령시로 바뀌면서 해수욕장외에는 남겨져 있지 않아 어색하지만 대천의 시발 지역은 대천동으로 원동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던 곳입니다. 지금은 보령시로 바뀌면서 대천동이 사라졌지만 다시 원동에서 대천1동으로 변경되어 20년이 넘었다고 합니다. 

옛 철교가 생태를 관찰할 수 있는 공간으로 탄생한 보령인도교 사진

대천이라는 지명은 충남을 어우르며 서해만을 따라 인접한 바다로 큰 물이 흐른다 하여 '대천'이라 칭했다고 합니다. 금강권역인 서해권 수계의 대천시내 하천은 민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곳이어서 어류가 다양합니다. 그래서 자연생태를 관찰할 수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옛 철교가 생태를 관찰할 수 있는 공간으로 탄생한 보령인도교 사진

장항선 철도로 사용됐던 대천천 舊철교가 80년 만에 친환경 인도교로 새롭게 단장된 것은 거의 처음이라고 합니다. 그동안 열차가 오가던 철교가 이제 시민들이 통행할 수 있는 친환경 교육시설로 탈바꿈하게 된 것으로 직접 와서 보면 철교였던 것이 전혀 연상되지 않는 곳입니다.

옛 철교가 생태를 관찰할 수 있는 공간으로 탄생한 보령인도교 사진

보령시에서는  옥마 근린공원, 대천천 산책로 등에 건강정보안내판 5개소를 설치하고, 특정 지점을 걸으면 스마트폰 앱 ‘걷죠’를 통해 알림을 제공하는 비콘도 8개소를 설치해두었다고 합니다.


옛 철교가 생태를 관찰할 수 있는 공간으로 탄생한 보령인도교 사진

요즘 트렌드인 걷기운동을 위한 ‘걷죠’ 앱은 전국 스탬프 투어 연계를 할 수 있다고 합니다. 보령시에서는 커뮤니티 개설, 매월 걷기 챌린지 운영 및 평일 일만 보 걷기 달성자 50명, 걷기 왕 달성자 5명 등 다양한 이벤트를 통해 추첨, 모바일 쿠폰을 지급하고 있다고 하니 도전해보아도 괜찮지 않을까요.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