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여행

여행

충남넷 미디어 > 통통충남 > 여행

천안 성거1경 성거산 만일사

2021.01.10(일) 20:00:29마패(faron@hanmail.net)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충남 천안시 북부 천안IC에서 북천안IC 가는 1번국도 길목에서 성거읍 소재지로 접어들어 천흥계곡 천흥저수지를 지나 성거산을 올라가다 보면 성거산 정상 인근에 자리잡은 천안시 성거1경으로 손꼽히는 만일사가 나온다.
  
천안 성거1경 성거산 만일사 사진
        
성거읍행정복지센터를 지나 SKC 하이테크 마케팅 건물을 끼고 돌아서면 SKC 건물 벽면에 그려진 성거1경 만일사, 성거2경 성거거봉포도, 성거3경 천흥사지오층석탑 당간지주, 성거4경 청흥저수지둘레길, 성거5경 성거산 해맞이, 성거6경 성거산 천흥계곡, 성거6경 벽화가 나와서 길을 인도한다.
      천안 성거1경 성거산 만일사 사진
   
성거읍 천흥리 천흥사지 오층석탑과 당간지주 사이로 이어지는 천흥천변 옆으로 연결되는 길을 따라 언덕을 올라서면 성거산에서 흘러내리는 천흥천을 가로막아 세워진 천흥저수지가 눈앞에 시원하게 펼쳐진다.
      천안 성거1경 성거산 만일사 사진
   
천흥저수지는 천안시 성거읍민들과 성거산과 만일사를 찾는 관광객들의 친근한 산책지로 청흥저수지변을 따라 나무데크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어서 성거산을 바라보면서 천흥호수의 정기를 받아들여 호연지기를 기를 수 있는 공간으로 인기가 있다.
 
천안 성거1경 성거산 만일사 사진
       
성거산은 충청남도 천안시 성거읍 입장면 동남구 북면에 걸쳐져 있는 해발 579m의 산으로 성거산 정상에는 삼국시대에 축성한 군사기지인 충남문화재자료 제263호로 지정된 성거산성의 흔적이 남아 전해온다.
 
천안 성거1경 성거산 만일사 사진
       
성거산은 고려 태조 왕건이 삼국통일을 완수하기 위해 분주히 동서남북을 돌아다닐 때 직산 수헐원을 지나다 동쪽의 산을 보고 신령이 살 것 같은 산이라 하여 제사를 지내게 하고 '성거산'이라 부르게 하였다는 전설이 전해오는 산이다.
 
천안 성거1경 성거산 만일사 사진
       
천흥저수지를 지나 만일사로 올라가는 길목에 언양김씨 세천기 표지판이 나오는데, 정산현감을 지낸 언양김씨 15세손인 정산공이 백제고도읍지의 수려한 산세에 이끌려 서기1450년 경에 정착하였다는 사적기가 눈길을 끈다.
     천안 성거1경 성거산 만일사 사진
   
천흥저수지를 중심으로 15세 정산공(경번)정산현감, 16세 영년 수군검절제사 강진김씨 상주김씨, 17세 종택 계공량 순창설씨, 18세 덕윤 신창현감 창원황씨, 19세 응상 승정원좌승지 풍양조씨 무덤, 18세 권씨 무덤과 말무덤이 자리잡고 있다.
 
천안 성거1경 성거산 만일사 사진
     
언양김씨 세천기 표지판을 지나 성거산 자락을 올라가다 보면 성거산 테마임도 안내도가 나오는데, 천주교 성거산성지로 이어지는 3.9km의 구간이며 산행로는 천흥저수지에서 시작하여 만일사와 만일고개로 내려오는 3.3km 구간으로 이어진다.
 
천안 성거1경 성거산 만일사 사진
       
성거산 테마임도 안내도를 지나 성거산 자락으로 계속해서 직진해서 올라가면 성거산 중봉 인근에 자리잡은 동국여지승람의 기록에 의해 고려시대(목종 5)에 세워진 사찰로 추정되는 석탑, 마애불, 금동석불입상이 있는 만일사가 나온다.
 
천안 성거1경 성거산 만일사 사진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공주 마곡사의 말사로 921년(태조 4) 도선국사가 전국 3800개의 비보사찰중의 하나로 창건하였다고 전해지나 도선은 898년(효공왕 2)에 죽었으므로 창건 연대는 신빙성이 없으나 도선의 비보사찰설에 따라 창건되었다고 볼 수는 있다.
 
천안 성거1경 성거산 만일사 사진
       
고려 혜종 때 만일스님이 석굴 안에 석가모니불의 석상을 조성하여 봉안하고 오층석탑을 건립한 뒤로 만일사라 칭하였다는 설이 유력하며 조선 정조대 이후 한때 폐사되었다가 1876년(고종 13) 관음전이 신축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천안 성거1경 성거산 만일사 사진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 영산전 관음전 요사채 등이 자리잡고 있고 1970년에 새로 지은 만일사 법당은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50호로 지정되었는데, 앞면 4칸·옆면 2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자 모양으로 보이는 팔작지붕이다.

천안 성거1경 성거산 만일사 사진
       
만일사 법당은 법당안에 모시고 있는 동제관음보살상에 새긴 글로 보아 고려 목종 5년(1002)에 세운 것으로 추정되는데 지금 있는 법당은 1970년에 새로 지은 것이고 1982년에 법당 앞마당에서 삼국시대에 제작한 것으로 보이는 금동보살입상을 발견하여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보관하고 있다.
 
천안 성거1경 성거산 만일사 사진
       
만일사 영산전 앞에 자리잡고 있는 문화재자료 제254호로 지정된 만일사 오층석탑은 원래는 법당 앞에 있었으나 법당을 새로 보수하면서 이곳으로 옮겨놓았는데, 널찍한 바닥돌 위로 1층의 기단을 쌓고 5층의 탑신을 차례로 올려놓은 모습이다.
 
천안 성거1경 성거산 만일사 사진
       
오층석탑 탑신부의 1층 몸돌은 옮길 때 잘못 놓았는지 거꾸로 놓여 있으며 기단은 4면마다 모서리에 기둥 모양을 새겨놓은 후, 안상을 얕게 새겼고, 맨 윗돌의 밑면에 연꽃무늬를 두어 장식하였으며 5층의 몸돌은 4면에 부처의 모습을 도드라지게 조각해 놓았다.
     천안 성거1경 성거산 만일사 사진
   
오층석탑 지붕돌은 밑면에 2단씩의 받침을 두고 처마의 선은 느린 곡선을 그리고 있으며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을 받치던 네모난 받침돌만이 남아 있다. 기단이나 지붕돌의 조각양식이나 전체적인 구성으로 보아 고려 전기에 세운 탑으로 추정된다.
 
천안 성거1경 성거산 만일사 사진
       
오층석탑 뒤편에 자리잡은 영산전은 팔상전이라고도 불리는 전각으로 영산은 석가모니가 설법했던 영산불국인 영축산의 준말로 영축산정은 부처님이 법화경을 설법하던 곳으로 불교의 성지를 영산전을 통하여 재현한 전각이다.
 
천안 성거1경 성거산 만일사 사진
       
만일사 영산전 안에 모셔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68호로 지정된 천안 성거산 천성사명 금동보살입상은 불상 뒷부분에 '통화 20년 천성사란 글이 새겨져 있어 고려 목종 6년(1002년)에 조성된 불상으로 보인다.
     천안 성거1경 성거산 만일사 사진
   
법당 뒤 바위에 조각된 만일사 마애불은 문화재자료 제255호로 지정된 미완성의 불상이며 마멸이 심해 윤곽을 알아보기 어려운데, 머리 부분이 직사각형이고 얼굴의 윤곽은 거의 알아볼 수 없다. 양 어깨는 거의 수평으로 당당하게 보이며, 양발을 무릎 위에 올리고 발바닥이 하늘을 향한 자세로 앉아 있는데, 보호각을 설치했던 흔적이 남아 있다.
 
천안 성거1경 성거산 만일사 사진
       
만일사 법당 뒤편 하늘을 향해 솟아오르듯 서 있는 암벽 아래 월동문 형태의 문이 조성된 뒤편 자연동굴 속 암벽에 조각된 문화재자료 제256호 만일사 석불좌상이 자리잡고 있어서 만일사의 원조 불상처럼 보인다.
 
천안 성거1경 성거산 만일사 사진
      
자연동굴에 모셔진 만일사 석불좌상은 높이 164㎝의 불상으로 머리를 잃어버려서 시멘트로 새로 만들었고 깊게 새겨진 옷은 왼쪽 어깨를 감싸고 있으며, 오른손은 무릎 위에 내려 땅을 향하고 왼손은 왼발 위에 올려 놓았다.
 
천안 성거1경 성거산 만일사 사진
       
석불좌상이 모셔진 자연동굴 바로 옆에는 바위절벽으로 형성된 삼각형 모양의 작은 동굴이 자리잡고 있는데, 이곳에도 작은 석불이 모셔져 두 개의 동굴에 각각 두 분 크고 작은 부처님이 모셔져 있는 모습이 눈길을 끈다.
     천안 성거1경 성거산 만일사 사진
   
성거산 만일사
-충남 천안시 서북구 성거읍 천흥4길 503

천안 성거1경 성거산 만일사 사진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