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사는이야기

사는이야기

충남넷 미디어 > 사람세상 > 사는이야기

충남역사박물관과 효심공원이 있는 공주 국고개 문화거리

공주의 역사와 효를 되새길 수 있는 여행

2020.06.28(일) 12:49:29인쵸리(spfe1114@naver.com)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금강이 흐르는 공주는 삼국시대 웅진으로 불렸고, 475년부터 538년까지 백제의 수도였습니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공산성과 송산리 고분군이 위치해 있는 곳입니다. 백제의 유적들이 밀집되어 있는 공주에 위치한 충청남도역사박물관을 방문했습니다. 1972년 준공된 이곳은 2004년 국립공주박물관이 웅진동으로 이전하면서 따로 관리되어 왔습니다. 이번에 부지와 건물 무상사용 기한이 2025년까지 연장되었다는 반가운 소식이 전해집니다.
 
충남역사박물관과 효심공원이 있는 공주 국고개 문화거리 사진▲충청남도역사박물관
 
충청남도역사박물관이 위치한 국고개 문화거리에서 계단을 오르려는데 또 다른 명소가 같이 있습니다. 바로 효심공원인데요, 작은 공원이지만 효의 가치를 알리고자 만든 공원을 보니 공주에는 효심이 가득한 사람들이 많은 듯합니다. 충청남도역사박물관은 충청인의 지혜와 전통을 체험하고, 효심공원을 찾아 가족의 사랑을 되새겨보는 시간을 가져보았습니다.
 
충남역사박물관과 효심공원이 있는 공주 국고개 문화거리 사진
▲효심공원과 충청남도역사박물관
 
그런데 왜 거리 이름이 국고개길일까요? 다른 길은 백제문화와 관련 있는 무령로, 웅진로라고 지었는데 하며 궁금하던 그때 바로 앞에 세워져 있는 설명 게시판을 보고 알 수 있었습니다. 고려시대 이복이라는 효자가 어머니 봉양을 위해 품에 안고 가던 국을 넘어져 쏟는 바람에 국고개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합니다. 국고개는 박물관사거리에서 옥룡동사거리 방면으로 나지막한 고개를 말합니다. 인근에 충청남도역사박물관과 공주중동성당 등 문화유산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충남역사박물관과 효심공원이 있는 공주 국고개 문화거리 사진
▲공주시 국고개 문화거리
 
계단으로 오르는 길에 아이부터 노인을 형상화한 조형물이 서있습니다. 이복의 어머님을 형상화한 걸까요? '우리 엄마 1살부터' '우리 어머니 70세까지' 모습을 눈에 담으며 오르면 공주시 마스코트 '공주'가 활짝 웃으며 반겨줍니다. 계단을 조금 올랐다고 힘들었는데, 뒤를 돌아보니 아름다운 공주중동성당이 내려다보입니다. 높은 종탑과 근대에서 현대로 넘어가는 건축양식의 신비로움이 남아 있어 사진찍기 좋은 명소로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습니다.
 
충남역사박물관과 효심공원이 있는 공주 국고개 문화거리 사진
 
충남역사박물관과 효심공원이 있는 공주 국고개 문화거리 사진
 
충남역사박물관과 효심공원이 있는 공주 국고개 문화거리 사진
▲공주시 마스코트 '공주'
 
충남역사박물관과 효심공원이 있는 공주 국고개 문화거리 사진
▲공주중동성당
 
2006년 개관해 조선시대부터 근현대까지 충남의 역사를 전시, 관리하고 있는 충청남도역사박물관을 둘러보았습니다. 상설전시관에는 효를 실천하고 학문을 닦으며 선비로서 삶을 살다간 전재 임헌회가 어머니가 남긴 유언문을 정리한 필첩과 늦게 얻은 맏아들의 글씨를 모은 필첩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효와 우애를 실천하며 살던 전재 임헌회는 효릉참봉에 임명되었지만 부임하지 않고 오직 학문을 닦는 데에만 온힘을 기울였다고 합니다. 
 
충남역사박물관과 효심공원이 있는 공주 국고개 문화거리 사진▲전재 임헌회 상설전시실
 
충남역사박물관과 효심공원이 있는 공주 국고개 문화거리 사진▲전재 임헌회 '어머니와 아들을 그리다' 전시

박물관이 그리 크지는 않아 잠시 둘러본 후 밖으로 나오면 바로 옆에 효열문, 효원탑, 효행상, 행복가족상 등 조형물이 설치되어 있는 효심공원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효의 가치와 의미를 다지기 위하여 공주지역의 효자로 알려진 향덕과 이복의 이야기를 주제로 조성한 공원입니다.    
 
충남역사박물관과 효심공원이 있는 공주 국고개 문화거리 사진▲효심공원 '효열문'
   
충남역사박물관과 효심공원이 있는 공주 국고개 문화거리 사진
▲효심공원 '효원탑'
   
충남역사박물관과 효심공원이 있는 공주 국고개 문화거리 사진
▲효심공원 '행복가족상'
 
삼국사기에 기록된 최초의 효자 향덕의 효행을 기리는 비석의 모사본도 세워져 있습니다. 원래 위치는 공주 소학동 76-7번지에 있는데 효심공원을 세우면서 모사본을 제작해 놓았습니다. 향덕은 신라 경덕왕 때 병마에 시달리는 부모에게 자신의 살을 베어 봉양을 하였다고 해서 왕이 곡식과 집, 토지를 하사해 효행을 널리 알렸다고 합니다. 또, 국을 들고 가다 국을 엎어 국고개라는 이름을 만들어낸 효자 이복을 형상화한 효행상 조형물이 있습니다. 쏟은 국그릇을 들고 울고 있는 이복의 모습을 보고 있자니 왠지 짠한 마음이 됩니다.
    충남역사박물관과 효심공원이 있는 공주 국고개 문화거리 사진▲효심공원 '공주 소학리 효자 향덕비'
 
충남역사박물관과 효심공원이 있는 공주 국고개 문화거리 사진▲효심공원 '효행상'
 
공주에 오면 가는 곳마다 역사박물관이 따로 있는 게 아니라 볼거리가 많습니다. 여느 박물관처럼 전시물만 구경하는 곳이 아니라 충청남도역사박물관은 목판인쇄체험과 승경도놀이, 쌍륙 등 전통놀이도 체험할 수 있고, 잠시 나무 그늘에서 쉴 수 있는 휴식공간도 충분합니다. 아이들과 여름 여행지로 볼거리, 즐길거리 가득한 공주를 추천합니다.
 
충청남도역사박물관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중동 국고개길 24
-문의: 041-856-8608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