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전체기사

전체기사

충남넷 미디어 > 소통 > 전체기사

금산 북스테이 '금산 지구별 그림책마을'

2018.08.06(월) 17:06:51서영love(hush7704@naver.com)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음식은 먹는 것이고 책은 읽는 것 이지만 책을 소화한다는 의미로 볼 때는 책을 먹을 수도 있습니다. 책이라고 하는 것은 마음의 양식이며 몸을 잘 구동하기 위한 설명서와 다양한 에너지가 담겨 있기 때문이죠. 금산의 한적한 곳에 있는 지구별 마을이라는 곳은 책을 소재로 한 특화 공간으로 동심이 가득한 곳입니다. 책이라는 알찬 먹을거리를 마음껏 탐할 수 있는 곳이어서 좋습니다. 

금산 북스테이 '금산 지구별 그림책마을' 사진

금산 지구별 그림책 마을은 그림책을 소재로 한 최초의 마을이라고 합니다. 0세에서 100세까지 함께 하는 공간을 지향하지만 누가 말했던 것처럼 이제는 120세라고 표현하게 될 그날이 올지도 모르겠네요. 

금산 북스테이 '금산 지구별 그림책마을' 사진

금산 지구별 그림책 마을 입구의 한옥은 전북 고창군에 소재한 재실의 대문을 그대로 옮겨 왔다고 합니다. 입구를 의미하는 '살림 대문'은 이곳에 방문하는 사람들에게 살리는 기운을 크게 얻고 가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하는데요. 조금 특이한 것은 도서관이 있는 건물 앞쪽에는 오래된 한옥인 서유당이 있고 현대와 오래된 것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는 점입니다. 

금산 북스테이 '금산 지구별 그림책마을' 사진

건물 안쪽으로 들어오자마자 모든 것이 그림으로 연결되고 표현이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림이라는 것은 말하지 않아도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어서 좋습니다. 시계조차도 그림책으로 표현이 되어 있습니다. 시침이 가리키는 자리에는 각각 인생의 한 장면을 상징하는 12권의 책을 붙여 놓았는데 각기 임신과 출산, 성장, 죽음 등이 표현이 되어 있다고 하네요. 

금산 북스테이 '금산 지구별 그림책마을' 사진

이곳은 금산 지구별 그림책마을에서 선정한 그림책 100권이 전시되어 있는데 가족이 함께하기에 좋은 곳이입니다. 

금산 북스테이 '금산 지구별 그림책마을' 사진

수천 권은 될 것 같은 책들이 한쪽 벽면을 채우고 있습니다. 우리 집이 이렇게 천장고가 높았다면 이렇게 책장을 꾸며놓고 싶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곳을 방문한 누구나 책을 빼서 읽어볼 수 있습니다.

금산 북스테이 '금산 지구별 그림책마을' 사진

2층에는 식당도 함께 하는데 이곳에도 역시 책이 있습니다. 밥을 먹으면서 책 읽는 것이 일상인 필자는 어릴 때는 부모님에게 여러 번 소리를 들었던 기억이 남아 있습니다. 

금산 북스테이 '금산 지구별 그림책마을' 사진

이곳에서는 음식을 읽고 책을 먹으면 됩니다.
설마 진짜로 책을 뜯어서 먹는 사람은 없겠지요.

금산 북스테이 '금산 지구별 그림책마을' 사진

조선시대에 왕들 중 세종은 관리들에게 특별한 휴가를 내렸는데요. 궁에서 떨어진 산속에서 휴식하면서 책에 집중하는 ‘사가독서(賜暇讀書)’가 바로 그것인데 바쁜 일상에 지친 자신에게 독서 휴가를 주는 것은 꽤나 의미 있는 일입니다. 

금산 북스테이 '금산 지구별 그림책마을' 사진

주말에만 열린 공간으로 활용되는 선유당으로 나와봅니다. 이곳에 앉아 있으면 봄이 되면 산수유와 철쭉을 만날 수 있고 여름이 되면 짙은 녹음을 만날 수 있으며 가을이 되면 새 옷으로 갈아입은 붉은 낙엽들을 볼 수 있습니다. 가족이 함께하고 같이 읽어보고 음식도 먹을 수 있는 금산 지구별 그림책마을은 아이가 읽기에 좋은 그림책들이 많이 구비되어 있고 공간 구성이 창의성을 극대화할만하게 조성이 되어 있습니다. 


금산 지구별 그림책마을 : 충남 금산군 진산면 장대 울길 52
이글은 함께하는 매거진 https://brunch.co.kr/@hitchwill/1511에도 게시되어 있습니다.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