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지역신문뉴스

지역신문뉴스

충남넷 미디어 > 생생뉴스 > 지역신문뉴스

할머니 미륵이 있는 어경마을 “삽교천에서 고기잡네”

농촌마을 희망스토리 - 홍북면 내덕리 어경마을

2017.06.14(수) 16:25:41홍주신문(hjn@hjn24.com)

할머니 미륵이 있는 어경마을 “삽교천에서 고기잡네” 사진

 

어르신들이 마을회관에서 건강백세 체조를 하고있는 모습.

□어경마을 가는 길
대중교통으로 대전지방법원 홍성지원 앞 홍주신문사에서 910번 버스로 출발하면 9개 정류장(홍주고-경찰서-동진아파트 등)을 지나 홍북면 내덕리 어경마을 입구까지 약 27분정도 소요된다. 자가용으로 이동하면 약15분 5.85km의 거리다. 어경마을 입구에 도착하면 가장 먼저 마을회관과 할머니 미륵 불상이 보인다. 

할머니 미륵이 있는 어경마을 “삽교천에서 고기잡네” 사진
어경마을 우물터의 수백년 된 향나무.


□역사 속의 어경마을
어경마을의 주요 지명 유래는 내덕리 ‘의경’은 ‘위경’에서 ‘어경(漁耕)’으로 변천해 일제시대부터 부르기 시작했다. 어경마을은 주민들이 하천에서 고기잡이를 해서 어죽을 많이 먹기도 했다고 한다. 또한 어경마을이 자리한 터는 풍수상 삼태기 형국을 하고 있다고 한다. 동녘은 요덕 남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동녘골’이라고 부른다. 옛날부터 삽교천에서 고기잡이하는 사람들이 많이 사는 마을이라 어경들이라고 부르던 것이 변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마을의 뿌리가 되는 성씨
내덕리의 오래된 성씨로는 온양 방씨, 전주 이씨와 남양 홍씨가 있다. 온양 방씨의 내덕리 입향조(入鄕祖)는 훈련판관을 지낸 방진으로 부인은 파평 윤씨이다. 방진은 영흥부사를 지낸 방승경과 진주 류씨 사이에서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무과로 훈련판관을 지냈으며 부인은 윤능보의 딸 파평 윤씨이다. 족보에 의하면 온양 방씨는 1580년 경에 경기도 평택에서 홍성으로 이주했다. 온양 방씨는 원래 구항면 내항리 일대에 일가를 이루고 있다가 큰 아들은 구항면에 둘째는 은하면에 그리고 방진은 살기 좋은 곳을 찾아 홍북면 내덕리 어경 일대로 이거했다고 한다. 

할머니 미륵이 있는 어경마을 “삽교천에서 고기잡네” 사진 

어경마을에 있는 고려 초기 불상(할머니 미륵) 모습.

□마을 유적과 민속
<할머니 미륵과 절터> 어경마을 입구에는 ‘할머니미륵’이라 부르는 고려 초기 불상(높이 190cm)이 있는데, 미륵 바로 옆집(김봉철씨 댁, 내덕리 562)이 절터로 추정되는 곳이다. 지금도 이 집에는 오래된 우물과 수령이 수백 년 됐다고 전해오는 향나무가 심어져 있다. 원래 불상 옆에는 애기미륵이라고 불렀던 미륵불 2기가 더 있었다고 전해지는데 현재는 찾아 볼 수가 없으며, 마을 앞 수로 보수공사 중에는 고려시대 것으로 여겨지는 청자편이 다량 출토됐다고 전해진다.
 

<어경마을 미륵제> 어경마을 ‘미륵제’는 매년 음력 2월 1일에 지내고 있다. 현재 어경마을 주민의 80% 정도가 마을에 교회에 나가기 때문에 미륵을 위하는 집은 3~4집에 불과하다. 일부 주민들이 미륵제에 대해 비난의 여론이 있지만 마을 주민의 건강과 안녕을 기원하고 마을의 구심적 역할을 지속해 나가자는 의견에 따라 현재는 마을 행사의 하나로 이어지고 있다.
 

<의경굴 느티나무> 의경굴에는 수령이 약 500여 년 정도 되는 느티나무(내덕리 592-2, 높이 22m, 둘레 4.3m)가 있어 마을의 역사를 알려주고 있었으나 안타깝게도 최근 풍수해로 인근 주택에 위협을 주는 위험수로 고목이 돼 사라지게 됐다.
 

□마을의 구성
어경마을은 현재 45가구에 84명(남 40, 여 44명)으로 살기 좋은 마을이다. 주민들의 주요 소득원은 쌀농사와 밭농사가 대부분이다. 그리고 축산업을 하는 농가도 있는데 소를 기르는 농가는 6가구로 7~8마리 부터 300여 마리를 기르는 농가까지 다양하다.


돼지를 사육하는 1가구는 대규모 돈사를 운영하며 약 1000여 마리의 돼지를 기르고 있다. 마을의 공동시설로는 마을회관이 있는데 2001년 준공한 부지면적 80평에 35평의 아담한 규모의 건물이 마을 입구에 있다.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