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지역신문뉴스

지역신문뉴스

충남넷 미디어 > 생생뉴스 > 지역신문뉴스

황금들판 한칸씩 지우는 중

2015.10.19(월) 14:57:09무한정보신문(yes@yesm.kr)

ⓒ 무한정보신문

▲ ⓒ 무한정보신문


청명한 가을하늘 아래 가장 소중한 국민의 주곡 벼 바심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예산군에서 가장 넓다는 고덕면 구만뜰, 황금빛으로 일렁이는 들판이 한칸씩 지워지고 있다. 바라만 봐도 넉넉해 지는 저토록 아름다운 풍경이 또 있을까.

13일 구만뜰 초입에는 최종우(56)씨 부부가 벼 바심을 하느라 분주한 하루를 보내고 있다. 낫으로 벼를 베던 몇십년 전만해도 들판에 농민들이 한가득 들어서서 노래가락이 나왔지만, 이제는 콤바인이 순식간에 벼를 베어 알곡을 털고 짚은 썰어서 논바닥에 내고 있다.

기계없이는 농사를 지을 수 없는 세상이 돼버린 것이다. 4조식 콤바인이 하루에 20마지기(4000평)를 바심한다고 하니 수십명 품을 해치우는 셈이다.

올해 작황이 어떠냐는 물음에 최씨는 “마지기당 600㎏ 왔다갔다 한다. 작년 보다는 조금 못하지만, 올해도 풍년이다”고 말한다.

작년에는 1마지기(200평)당 680㎏을 수확했다고 한다. “비가 덜 와서 작년 보다 (수확량이) 조금 떨어진 것 같다. 수리시설이 잘돼 논바닥이 흥건해도 비가 오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고 설명한다.

벼농사만으로 가계 운영을 할 수 있냐고 묻자 “50마지기(1만평)를 짓고 있는데 이것 가지고는 어림도 없다”고 부부가 입을 모은다. 과수원 농사가 본업이고 벼농사는 부업이란다.

예산군 신암면 별2리에서 만난 이동구(79)씨도 13마지기 논에 바심을 하고 있다. 이씨는 교사로 정년 퇴임 뒤, 고향에서 농사로 소일하며 노년을 보내고 있다.

“한마지기에 겨우 70만원(조수익) 나오는데 기계값, 인건비 등등 빼고 나면 남는 게 없어. 논농사야 기계가 다 하니까 그냥 짓는 거여”하며 헛웃음을 짓는다.

올해도 풍년이라고 한다. 하지만 황금나락을 거둬들이는 농민들 가슴엔 헛헛함이 가득하다. 국민의 생명창고를 지키고 있는데 품삯에도 못미치는 농사를 붙들고 있기 때문이다. 해마다 풍년이 들었는데도 정부는 국민이 먹을 밥쌀용 쌀까지 수입하고 있으니, 풍년가가 근심가로 바뀌고 있는 것이 농촌의 실상이다.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