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전체기사

전체기사

충남넷 미디어 > 소통 > 전체기사

의좋은 형제의 고장 예산군 대흥초등학교

2015.01.18(일) 17:39:30찌삐소녀(tpfpsk1379@naver.com)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의좋은 형제의 고장 예산군 대흥초등학교 사진

 
 "형님 먼저 아우 먼저". 예산군 의형제 효제 비를 아세요? 2015년 1월 18일 한겨울에 예산군 대흥면에 있는 의형제마을을 방문했습니다. 200년이 넘는 아름드리 느티나무 옆에 있는 비가 의형제 효제 비에 얽힌 이야기를 듣고 큰 감동을 받았습니다. 공부만 잘하면 칭찬받는 이 시대에 오래전에 한마을에 효성이 지극하고 형제의 우애가 돈득한 의형제가 살았다는 우리 고장이 자랑스럽기까지 합니다. 자, 의형제 효제 비에 얽힌 이야기를 들어볼까요?
 

의좋은 형제의 고장 예산군 대흥초등학교 사진

 
의형제 효제비는 원래 가망교 옆에 서 있었는데, 예당저수지가 생겨 물에 잠길 위기에 놓여 현재의 위치로 옮겼습니다. 신중 동국여지승람에 "대홍호장 이성만 순" 형제가 모두 지극한 효자로서, 부모가 돌아가신 후에도 성만은 어머니의 묘소를 지키고 순 온 아버지의 묘소를 지켰습니다. 3년의 복제를 마치고도 아침에는 형이 아우 집으로 가고 저녁에는 아우가 형의 집을 찾았으며, 한 가지 음식이 생겨도 서로 만나지 않으면 먹지 않았다"고 합니다. 이에 1497년(연산군 3년)에 후세 사람들의 모범이 되게 하려고 조정에서 이 비를 건립하였습니다.
의좋은 형제의 고장 예산군 대흥초등학교 사진

 한 사람은 볏단을 들고 한사람은 지게에 벼을 지고있는 의형제 동상입니다. 옛날, 이 고장에서 각자 농사를 지으며 사는 형제가 살고 있었습니다. 형제는 가을이 되자 추수를 하고 각자 논에 볏가리를 쌓아 두었습니다. 그러자 형이 생각하기를, 동생은 결혼해 살림이 났기에 자신보다 더 많은 쌀이 필요할 거라고 여겨 밤중에 동생 몰래 논으로 나가 자신의 볏가리를 덜어 동생 볏가리에 쌓아 놓았습니다.

그날 밤 동생은 형은 식솔도 많으니 쌀이 더 필요할 거로 생각하고는 밤중에 나가 자기 볏가리를 덜어 형의 볏가리에 쌓아 놓았습니다. 이튿날 밤에도 형제는 같은 행동을 했고, 셋째 날이 되어서야 서로 밤중에 볏가리를 옮겼던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아름다운 이 이야기는 실화이며, 의좋은 형제로 인해 오늘도 마음이 훈훈해짐을 느낍니다. 많은 사람이
이 이야기를 듣고 저와 같은 마음을 느꼈으면 좋겠습니다. 또한, 의좋은 형제의 고장에 살고 있는 것이 뿌듯하고 의좋은 형제의 우애와 효심을 본받으며 살아가야겠습니다.
 

의좋은 형제의 고장 예산군 대흥초등학교 사진
 

218년 된 늠름한 이 느티나무는 보호수로 지정되어 추운 겨울바람을 맞으며 의형제 효제비를 지키고 있습니다. 굵직하고 커다란 나뭇가지는 그동안 보호수가 살아온 오랜 세월의 증표입니다. 물질문명이 발달한 요즘에 이곳을 방문하면 형제의 의리를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하고 오랜 세월 속에서도 굳건하게 서 있는 큰 느티나무 아래에 서면 지구의 생명력을 느끼게 합니다.
 

의좋은 형제의 고장 예산군 대흥초등학교 사진

1982년에 보호수로 지정된 이 나무는 저보다 훨씬 먼저 세상의 빛을 보았고 해마다 여름에는 무성한 그늘로 나그네들에게 쉼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무수한 세월 속에서도 꿋꿋하게 살아온 거대한 나무가 존경스럽습니다.

의좋은 형제의 고장 예산군 대흥초등학교 사진

의형제 효제 비 근처에 있는 대흥초등학교는 예산군 효 시범학교로 선정된 이래 학교 교장 선생님께서 학생들의 정서교육함양을 위해 도예체험 및 핸드페인팅 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다고 합니다. 임존성과 슬로시티 그리고 예당호수가 펼쳐진 곳에 있는 이 학교에 다니는 아이들은 심성이 고운 사람으로 자랄 것으로 기대됩니다. 우리나라 학교는 아이들 정서교육보다 공부 위주로 학생들이 과도한 스트레스에 시달리는것에 비해 이 아름다운 고장에 위치한 이 학교는 학생 수가 적은 것이 조금 아쉽습니다. 도시학생들이 많이 들어와서 의좋은 형제 마을에서 우애와 어른을 섬기는 착한 사람으로 자랄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