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지역신문뉴스

지역신문뉴스

충남넷 미디어 > 생생뉴스 > 지역신문뉴스

“교실서 공부 허다니… 원 풀었네”

예산군-초등학교, ‘문해교실 어르신 학교 가는날’ 운영

2013.06.03(월) 16:09:19무한정보신문(jsa7@yesm.kr)

모니터에서 나오는 율동을 따라하고 있는 학생들. 쑥스럽기도 하고 허리도 다리도 맘처럼 안움직여지지만 최선을 다하는 모범학생들이다.

▲ 모니터에서 나오는 율동을 따라하고 있는 학생들. 쑥스럽기도 하고 허리도 다리도 맘처럼 안움직여지지만 최선을 다하는 모범학생들이다.

 

친구들이 학교에 가는 것을 볼 때마다 부럽고 서러웠다. 자식들을 학교에 보낼 때마다 “공부 열심히 하고, 선생님 말씀 잘 들어라”하고 당부하면서 가슴이 뻐근할 때도 있었지만, 먹고살기가 너무 바빠 잊고 있었다.
배우고 싶다, 학교에 다니고 싶다는 그 간절함.
칠십몇년 만에 이뤄지는 꿈인가. 학교에서 오라고 한다. 교실에 앉아 수업을 듣는단다. 잠이 오지 않았다. 아침 일찍 제일 좋은 옷을 골라 입고 학교에 가는 길, 수십년동안 늘 보던 풍경들이 달라보인다. 나는 보성초등학교 학생이다. 그런데, 학교 운동장이 텅 비어 있다.

“9시 40분까지 등교하시라고 했는데, 혹시나 해서 8시쯤 서둘러 나왔더니 세상에, 7시 30분에 도착해 기다리는 어르신이 두분이나 계시더라구요”
5월 27일 ‘문해교실 어르신 초등학교 가는 날’ 첫날 행사가 열린 예산군 삽교읍 보성초등학교, 인정인 교장은 예상을 뛰어넘는 어르신들의 열정에 “놀랍고 죄송하다”고 말했다.
오늘 1일 학생들은 삽교 이리문해교실 수강생들로 64세부터 84세까지 나이의 할머니들이다.
간단한 다과와 함께 수업일정에 대한 설명을 들은 1일 학생들은 1학년 교실로 이동했다. 남학생만 6명이 앉아 공부하던 교실이 오늘 새로 온 여학생 14명 덕분에 꽉 찼다. 오늘만큼은 동네 할머니가 아니라, 같은 반 친구다.
첫째 시간은 국어, 둘째 시간은 가족(통합교과)이다.
문해교실에서 매주 이틀, 두시간씩 수업을 받으며 3년 동안이나 익힌 한글이건만, 할머니들의 얼굴에 긴장감이 흐른다. “칠판에 나와 문장을 완성해보라”는 교사의 주문에 자신있게 손을 드는 학생도 있고, 교사가 지목하고 나서야 어렵게 나오는 학생도 있다. 여느 교실에서나 볼 수 있는 광경이 똑같이 펼쳐진다.
할머니들에게만 기회를 준다며 항의하는 남학생들의 투정에 교사가 진땀을 뺀다.
그렇게 한시간이 끝나 쉬는 시간이 됐지만, 아무도 움직이지 않는다. “화장실에 다녀오시라”고 해도 책상 앞을 떠나지 않는다.
뒤에서 지켜보던 이리문해교실 교사 민혜진씨는 “문해교실 수업 때도 내리 두 시간을 꼼짝않고 집중하세요. 아마 쉬는시간이 아까우실걸요?”라며 빙그레 웃었다.

 

다른 나라 사람들은 어떤 옷을 입을까? 색연필로 색칠을 하는 모습까지 그렇게 진지할 수가 없다. 인정인 교장이 “잘 하고 계시다”면서 1일 학생들에게 아낌없는 칭찬을 하고 있다.

▲ 다른 나라 사람들은 어떤 옷을 입을까? 색연필로 색칠을 하는 모습까지 그렇게 진지할 수가 없다. 인정인 교장이 “잘 하고 계시다”면서 1일 학생들에게 아낌없는 칭찬을 하고 있다.


셋째시간에는 2학년 교실로 이동해 새 담임, 새 친구들과 함께 ‘여러 나라들의 다양한 문화’에 대해 공부했다. 다른 나라의 옷그림에 색칠을 하고, 율동을 통해 다른 나라의 인사법을 익힌 할머니들은 학교공부가 반드시 책상에서 글씨를 쓰면서 하는 게 아니라는 사실에 신기해 했다.
학교는 이 귀한 손님들에게 급식체험의 시간도 선물했다.
식판밥을 처음 먹어본다는 할머니들은 “우리애들은 학교 다닐 때 도시락 먹었는데, 나는 학교에서 해주는 밥을 먹네”라면서 식판을 깨끗이 비웠다.
유일한 지각생인 이순억(69) 할머니는 “하필이면 모심기를 오늘 맞춰놔서 논에 있다가 늦었지. 고맙게도 비가 와주는 바람에 영감더러 ‘내일 심자’고 하고 달려왔어. 아침 내내 비 좀 더 오지 했더니 소원이 들어지대”라며 환하게 웃었다.
이은수(75) 할머니는 “학교에 또 오고 싶지만, 폐가 되면 쓰나. 오늘 한 번 온 것만 해도 원 풀었어. 너무 좋아”라고 말했다.
한편 예산군에는 현재 34개 문해교실에서 수강생 450명이 한글, 산수, 예체능 등을 학습하고 있다. 군은 학교의 협조를 받아 올해 9개 문해교실에서 ‘초등학교 가는 날’프로그램을 분기별로 1회 실시할 예정이다. 참여학교는 예산초, 삽교초, 보성초, 대술초, 신양초, 수덕초다.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