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사는이야기

사는이야기

충남넷 미디어 > 사람세상 > 사는이야기

40년 전 '추억의 교실여행'

연기군 동면 대한교과서 추억의 교과서 박물관

2011.01.05(수) 장세문(sjenews@paran.com)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40년 전 '추억의 교실여행' 사진  
40년 전에 우리들이 쓰던 교과서, 이 교과서만 봐도 그 옛날 추억이 기억난다. 

어렸을 적 처음 학교에 가서 알게된 철수와 영이라는 이름은 우리나라 국민들에게 가장 친근한 이름이다. 이 이름은 1948년 국민학교 1학년 교과서에 [바둑이와 철수]라는 책에 처음 등장하기 시작했다.

그 이후 30년간 우리 교과서를 지켜오면서 철수와 영이는 씩씩한 어린이의 상징이며 이웃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아이들처럼 평범하면서도 책임감 강한 어린이였다.

이처럼 우리가 어렸을 적 더하기 빼기를 배우던 시절에 누구든 아련한 추억들이 있을 것이다. 그런 추억의 학교생활과 교과서, 교실 등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곳이 있다.

연기군 동면 내판리 대한교과서 안에 있는 교과서 박물관은 우리나라 교육 문화 발전사를 한눈에 볼수 있는 곳이다.   

  40년 전 '추억의 교실여행' 사진  
아빠 형들이 만들어 줬던 썰매와 방패연, 곤봉도 전시돼 있다

이곳 교과서 박물관은 우리나라 선조들이 서당에서 보던 책에서부터 세계 여러 나라의 교과서를 비롯해 개화기, 광복 직후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교과서가 전시되어 있다.    

날씨가 좋으면 아이들과 도시락을 싸 가서 교과서박물관 잔디밭과 잔디가 깔려 있는 축구장에서 주말을 즐길 수도 있다. 아이들과 가볍게 소풍을 다녀올만 한 곳이다. 

이곳은 그동안 우리나라의 교과서 변천과정을 한 눈에 볼 수 있는데 삼국시대, 고려,조선시대를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교과서가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살펴볼 수 있다.  

  40년 전 '추억의 교실여행' 사진  
국민학교 처음 들어갔을 때 옆 짝꿍과 금을 그어놓고 밀고 당기던 책상과 걸상 

특히 이곳은 우리들이 어렸을 때 초등학교부터 호크 교복을 입고 다니던 중학교, 고등학교까지 추억의 3, 40년전으로 돌아갈 수가 있다.

분필 가루가 날리는 낡은 흑칠판에서 나무 난로에 벤또(도시락)을 구어먹고 칼로 잔뜩 홈을 파던 나무책상, 운동회때 돌리던 곤봉 등 아련한 추억 속에 있는 학교가 펼쳐져 있다.    

  40년 전 '추억의 교실여행' 사진  
이 조형물을 보면 우리들의 중학교 시절이 생각난다.
   
또한 이곳 교과서 박물관에는 우리나라 인쇄 기계들을 전시하고 있어 그동안 변천해온 인쇄의 역사도 알 수가 있다.

교과서 제작과정과 설계 교정본을 전시하고 있고 프랑스,독일,중국 등 다른 나라의 교과서도 비교해 볼수 있다. 교육 이념이 공산주의적 새 인간 육성을 밝히고 있는 북한 교과서도 관람할 수가 있다.    
 
  40년 전 '추억의 교실여행' 사진  
  40년 전 '추억의 교실여행' 사진  

아이들한테 우리도 교련복을 입고 중학교 들어갈 때 가방 메고 다녔다,고 하면 무슨 이야기인지 모른다. 또한 마린보이 그림이 있는 책가방을 메고 책보로 책을 싸서 어깨나 허리에 메고 달렸다고 해도 무슨 이야기인지 모른다. 시간 있을 때 교과서박물관에 가보면 이처럼 우리들이 다녔던 학교 교과서와 학교 생활들이 아주 잘 전시되어 있다.     
 
  40년 전 '추억의 교실여행' 사진  

또한 우리들이 지나온 학창시절, 아련히 사라져 가는 우리들의 과거를 회상해보는 추억의 학교 여행을 할 수 있는 공간이다. 아이들 손잡고 우리의 교과서나 인쇄, 학교의 변천사를 학습할 수 있는 좋은 교육의 산실이기도 하다.

  40년 전 '추억의 교실여행' 사진  

교과서 박물관은 매주 화요일에서 일요일까지 오전 9시 30분에서 오후 5시까지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찾아가는 길은 조치원 터미널에서 부강쪽으로, 청원 IC에서 조치원 방면, 청주 IC에서 부강방면으로 가다보면 연기군 동면 내판리산 25-1에 있다.

홈페이지는 www.textbook museum.com,  전화번호는 861-3141~4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