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지역신문뉴스

‘홍성을 매력 있는 살기 좋은 삶 터’로 만들자

홍성, 주민-자치단체 협력의 지역개발 모델이 절실하다

2022.01.18(화) 07:34:35 | 홍주신문 (이메일주소:uytn24@hanmail.net
               	uytn24@hanmail.net)

홍성을매력있는살기좋은삶터로만들자 1

지금, 홍성의 최대 현안 중 하나로 홍성읍 원도심의 공동화문제가 많은 사람들이 우려하고 있는 최대 이슈 중 하나다
이제 지역개발은 지역의 정체성조차도 제대로 확립하지 못한 채 자치단체 단독으로, 행정이 일방적으로 추진하는 관 주도의 일방적인 개발시대는 지났다. 지역 주민과 자치단체가 협력해 지역개발을 선도해 나가는 합의의 전형적인 모델이 중요한 이유다.

 

살기 좋은 지역이란 소득기반이 마련되고, 삶에 대한 기초적인 욕구가 충족되면서 이웃과 정을 나누며 함께 꿈을 이룰 수 있는 삶의 공간을 창조하는 일이다. 중요한 문제는 주민들의 참여의지에 따라서 이 사업의 성공 여부가 결정된다는 것이다.

 

낙후된 농산어촌과 소도읍을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지역 주민들의 참여를 전제로 지역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혁신프로그램이 필수적이다. 주민들을 하나로 묶을 수 있는 지역공동체는 지역별로 특화된 자원과 구성원들의 참여를 전제로 지역주도, 주민주도의 추진체계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지역에 삶의 뿌리를 두고 있는 주민이 주도하고 자치단체, 주민사회단체, 기업 등이 서로 협력하는 지역의 거버넌스 체계의 구축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주민들이 스스로 삶의 터를 변화시키는 계획을 세우고 자율적으로 추진하는 제2의 새마을 운동인 셈이다. 살기 좋은 지역을 만드는 일에는 반드시 올바른 리더가 필요하다. 조직의 성패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는 지도자들이 주민 개개인을 하나로 묶어 개인의 발전뿐만 아니라 지역의 발전으로 이끌고 있다는 점이다.

 

일본을 비롯한 세계 각국에서도 지역개발 운동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마을과 지역 전체를 주민들이 느끼는 삶의 질과 쾌적성, 편의성, 주거환경을 높이고, 지자체의 통치시스템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일에는 탁월한 단체장이나 리더가 필수적이라는 점이다.

 

지방자치단체들이 스타공단과 스타기업을 발굴하고 육성하는데도 총력전을 펴고 있다. 지역이 발전하고 지역 주민들이 잘살고 못사느냐의 여부가 이들에게 달려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최근까지도 우리는 주택 200만호니, 300만호 건설이니, 신도시 건설이니 하면서 물량적 목표에 돌진하는 시대를 살아왔다.

 

그러나 최근의 도시개발 패턴은 지방자치단체와 주민들이 스스로 문화도시, 예술도시, 과학도시 등 맞춤형 도시를 만드는 일에 지방정부가 기획하고 조정하는 역할과 기능이 분화하는 방식으로 변화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지방화시대, 중앙정부의 부처에서는 경쟁적으로 살기 좋은 마을을 만드는 일에 경쟁적으로 재원을 지원하고 있다.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 등 이름도 다양하게 경쟁적으로 추진되고 있다이제 홍성군도 충남도청소재지, 충남혁신도시에 걸맞게 기업유치, 공공기관 이전 등을 통해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각종 사업과 지역발전에 적극적으로 대처해 홍성을 매력 있는 삶터로 만드는 주민자치를 실현할 때이다.


 

홍주신문님의 다른 기사 보기

[홍주신문님의 SNS]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