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사는이야기

전통숲마을 청양 기덕리 마을 여행

청양 기덕리 전통 숲을 찾아서

2019.02.19(화) 14:23:17 | 희망 (이메일주소:du2cb@hanmail.net
               	du2cb@hanmail.net)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고목이 된 탱자나무 본연의 아름다운 모습
▲ 고목이 된 탱자나무 본연의 아름다운 모습

봄이 겨울 앞에서 기지개를 펴기 시작했다. 남쪽에는 어느새 매화꽃이 얼굴을 내밀기 시작했고 산색도 봄 내음이 묻어난다. 바야흐로 들로 산으로 소풍가기 좋은 날들이다. 차를 타고 청양으로 향했다. 마을여행을 떠나는 길이다. 오늘은 어떤 마을을 만나서 무엇을 담고 들을지 사뭇 기대가 된다. 이것이 진정한 마을여행이 아닐까 싶다.
 
탱자나무와 기와지붕
▲ 탱자나무와 기와지붕

기와 무늬와 탱자나무의 어울림
▲ 기와 무늬와 탱자나무의 어울림
 
청양 기덕리 전통숲이 우거진 곳에서 멈춰섰다. 길 양쪽으로 아름드리 소나무가 숲을 이루고 산속의 산책로도 눈길을 끈다. 차를 세우고 주변을 둘러보았다. 사진의 소재가 될 만한 것들을 찾기 위해서다. 제일 먼저 눈길을 끈 건 기와집 옆에 고목으로 서 있는 탱자나무다. 나무 줄기를 보아하니 꽤 오리된 나무 같다,
 
잎이 전혀 붙어있지 않은 나무 본연의 모습을 제대로 볼 수 있어 좋았다. 아주 작은 탱자가 가냘프게 나무에 매달려 있다. 사진으로 담으며 기와지붕과 탱자나무가 참 잘 어울린다고 생각했다. 곧 봄이 오면 하얀 탱자꽃이 피어나 또 다른 아름다움을 표현하리라, 이 탱자나무 한그루를 발견한 것만으로도 오늘 여행길은 아주 흡족하다.
 
다시 둘러보니 이번에는 약 300년가량 된 소태나무가 눈에 띈다. 기둥의 반 이상이 인공으로 채워져 있고 가지 두 개가 간신히 버티고 서 있다. 소태나무라는 이름도 낯설다.

약 300년 가량된 소태나무
▲ 약 300년 가량된 소태나무

고목으로 서 있는 소태나무
▲ 고목으로 서 있는 소태나무
 
고목으로 서있는 탱자나무와 소태나무를 사진으로 담고 이번에는 소나무를 담기 위해 숲속으로 들어섰다. 빼곡히 서 있는 소나무들이 아직 못 다한 겨울 이야기를 들려줄 것만 같다.
소나무와 마을을 함께 넣어 마을여행의 묘미를 장식하고 숲길을 걷는다. 곳곳에 쉴 수 있는 평상이 놓여져 있어 무리 없이 숲길을 걸을 수 있다. 
  아름드리 소나무와 기덕리 마을
 ▲ 아름드리 소나무와 기덕리 마을

소나무와 정자
 ▲ 소나무와 정자

소나무로 가꾸어진 전통 숲길
 ▲ 소나무로 가꾸어진 전통 숲길

정자가 있는 소나무 숲
 ▲ 정자가 있는 소나무 숲 

다시 발길을 돌린다.  마을 여행을 돌아보니 하루가 꽉 찬 느낌이다.

  고목으로 서 있는 탱자나무의 고운 자태
▲ 고목으로 서 있는 탱자나무의 고운 자태

 
 

희망님의 다른 기사 보기

[희망님의 SNS]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