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지역신문뉴스

이종민, “계룡산철화분청사기 지역특성 살려야”

한국도자문화와 공주 특강서 밝혀

2016.03.21(월) 18:50:01 | 금강뉴스 (이메일주소:s-yh50@hanmail.net
               	s-yh50@hanmail.net)

우리나라가 자랑하는 고려청자의 비색(翡色)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또 중부지역을 중심으로 제작된 분청사기의 확산과 쇠퇴는?

우리나라 도자역사의 흐름을 한자리에서 살펴보는 특강에 공주시민들의 높은 관심이 쏠렸다.

318일 오후 2시부터 4시까지 공주대 공주학연구원에서 한국도자문화와 공주주제로 개최된 특강에서 이종태(이삼평연구회)회장은 계룡산철화분청시기는 공주가 자랑하는 브랜드로 개발해야할 아이템이라며 공주가 고향인 이종민 교수의 부친인 이화영 전 공주사범대학장도 공주사랑이 남다른 분으로 오늘 특강이 공주 분청사기 개발산업에 시너지 효과를 낼 것이라고 인사말에서 밝혔다

이종민 교수의 '한국도자기와 공주'  특강

▲ 이종민 교수의 '한국도자기와 공주' 특강

 

 

이종민(충북대)교수는 1. 청자의 발생과 차문화 2. 품질의 다양화와 청자제작의지의 확산 3. 다양한 청자기술의 발전 4. 고려 도자공예의 정수, 상감청자 5. 고려의 국운과 함께 청자도 시들다 6. 조선 초 분청사기의 확산과 쇠퇴 7. 려말선초의 요업상황과 관요의 성립 8. 관요설치 이전의 조선전기 백자 9. 관요설치 이후의 조선전기 백자 10. 전란으로 인한 도자생산 경향과 철화백자의 유행 11. 분원의 복구와 청화백자의 재 유행 등으로 한국도자사의 흐름을 새대별로 나누어 설명했다.

이종민 교수는 중국에서 시작한 청자를 통일신라 후반 경에 일부 상류층이 수입한 것으로 중국의 장인집단이 국내로 이주해 제작기술을 전수했다며 청자 생산지가 중부권으로 이동한 원인으로 고려 초 현종이 거란의 침입으로 공주를 거쳐 나주로 피난한 역사적 사실에 기인한 것으로 공주 유구 문금리, 사곡 신영리 등지에서 청자가 제작됐다며 도자기 제작이 왕족과 지배층과의 관계가 무관하지 않음을 밝혔다.

이후 12~13세기 청자의 소비층이 증가하면서 다양한 청자기술의 발달하면서 고려적 특성을 보여주는 유색(釉色)의 개발은 고려 청자의 비색(翡色)을 창조하기에 이르러 17대 인종 왕릉에서 발굴된 청자소문과형병(靑磁素文瓜形甁)에서 청자 비색의 격조를 보여준다.

조선 전기 도자의 한 주류로 인식된 분청사기는 상감, 인화, 음각, 귀얄, 철화 기법이 구사되었고 공주 계룡산록 일대에서 생산된 도자는 대부분 철화가 적용되고 있다고 밝혔다.

 

     - 인터뷰 -

공주 분청사기 개발 방안에 대한 제언을 해 준다면?

- 먼저 공주시민들의 도자문화에 대한 열강에 부담될 정도로 놀랐다. 공주는 학봉리 분청사기요(사적 333)를 소유한 호조건을 갖고 있다. 원칙적인 얘기지만 이 지역 특성의 계룡산분청사기의 전문가들의 지속적인 연구로 성과물 제시, 공주시의 행정적 지원, 시민들의 분청사기의 생활자기 활용 등에 관심을 갖고 개발해야 한다. 학봉리 도요지 12개 중 3개만 발굴이 이뤄졌는데 나머지 도요지도 발굴해야 한다.

또 일본 아리타에서 도자의 꽃을 피운 이삼평 인물을 재조명하여 이삼평연구회를 중심으로 시민들의 자발적인 도자문화 활동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고흥군수와 정치인들이 덤벙분청을 특화시켜 고흥분청문화관을 세워 관광객들을 유치시킨 전남 고흥과 전국 4대 도자기로 자리매김한 청송도자기는 20년간 도자기를 특화시킨 한 공무원의 집념으로 도자기전시관을 세운 경북 청송의 성공한 사례를 살펴보아야 한다.

 

이종민 교수는

2003.2 홍익대학교 대학원 문학박사(미술사 전공)

1992.8 홍익대학교 대학원 문학석사(미술사 전공)

1988.2 충남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 문학사(한국사 전공)

전 해강도자미술관 학예연구사와 학예과장, 학예실장을 역임하고 현 문화재청 문화재 전문위원, 서울특별시 문화재 위원, 대전광역시 문화재 위원, 경상북도 문화재 전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KOREAN ART BOOK(토기, 청자 편 공저), 한반도의 흙, 도자기로 태어나다(공저), 한국도자사전(공저), 고려 초기 청자 연구와 약 40여 편의 논문이 있다

특강을 마치고 기념촬영

▲ 특강을 마치고 기념촬영


 

 

 


 

금강뉴스님의 다른 기사 보기

[금강뉴스님의 SNS]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