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사는이야기

이광임 고택서 조선후기 양반들의 삶 엿보다

2015.08.19(수) 17:19:50 | 지민이의 식객 (이메일주소:chdspeed@daum.net
               	chdspeed@daum.net)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한적한 국도변에 위치해 있으며 앞으로는 저수지가 보이는 곳에 있는 이광임 고택은 휙 지나가버리면 누구의 집인지 알지 못할 수 있는 곳이다. 목은 이색의 16대손 이면서 이산해의 9대손인 이광임이 1820년에 지은 집이라고 한다. 한옥의 대부분이 그렇듯이 지형을 그대로 이용하여 집을 지었다. 예산 이광임 고택은 충남 유형문화재 83호로 지정되어 있다.

 

효자 정려

▲ 효자 정려


이광임 고택보다 먼저 눈에 띈 것은 바로 이 효자 정려 현판이다. 보호각 안에 보존되어 있는 이 효자 정려 현판은 바로 이광임의 아들에게 내려진 것이라고 한다.
 

조용하게 읽어보는 이광임 선생 고택 안내

▲ 조용하게 읽어보는 이광임 선생 고택 안내


고관대작은 아니더라도 조선 양반 중류층의 삶을 엿볼 수 있는 이광임 고택은 전면에 보이는 사랑채, 뒷편으로 중문이 있고 안채가 지라하는 형태다. 많은 이들이 그냥 들어갔다 나오면서 고택을 훼손하는 지라 문을 닫아놓고 있다고 한다.
 

이광임고택의 사랑채

▲ 이광임고택의 사랑채


사랑채를 전면에서 보면 자연석 기단위에 덤범주 초석을 놓고 네모 기둥을 세웠다. 지붕은 홑처마 팔작지붕을 올렸다. 정면 7칸, 측면 3칸의 ㅡ 자형 평면으로 된 건물이다.

 

직선으로 이어진 사랑채의 전경

▲ 직선으로 이어진 사랑채의 전경


이곳에서 시작하여 평면으로 지나가는데 왼쪽의 끝은 사랑방 앞의 툇마루로 연결된 누마루를 설치하였다.
 

고택은 ㅁ 튼자형 고택

▲ 고택은 ㅁ 튼자형 고택


이곳 건물은 크게 두동으로 충남 예산군 대술면 방산리 344에 위치해 있다.
 

지형을 이용해 심어놓은 나무

▲ 지형을 이용해 심어놓은 나무


뒷편에는 지형을 그대로 이용한 곳에 나무를 심어 놓았는데 덕분에 시원한 그늘을 제공한다.

좌측으로 조금만 올라가면 두기의 묘가 자리하고 있는데 한산이씨 가족 납골묘이고 다른 한기는 한산이공 충복지묘가 있다.
 

슬며시 담장 안으로 본 고택의 뒷편

▲ 슬며시 담장 안으로 본 고택의 뒷편


한옥은 이렇게 담너머로 살짝 엿보는 느낌도 좋다.


낚시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이광임 고택 만큼 좋은 위치의 집도 없다. 이광임 고택 바로 앞에 위치한 방산저수지는 수질이 맑아 낚시터로 유명한 곳이다.
 

한편, 고려말 유학자 목은 이색의 16대손으로 조선 말기에 고택을 짓고 이곳에서 살아왔을 이광임 (1784 ~ 1857)은 선조들처럼 큰 공적으로 세운 것은 아니나 조선 중류층의 삶을 엿볼 수 있는 고택을 남겨놓았다
 

지민이의 식객님의 다른 기사 보기

[지민이의 식객님의 SNS]
  • 페이스북 : www.facebook.com/hongdae
  • 트위터 : www.twitter.com/chdspeed
  • 미투 : chdspeed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