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시군뉴스

최초 개신교 선교지 고대도, 기독교 순례지로 개발 탄력

칼 귀츨라프 선교 180주년 세미나 개최

2012.08.24(금) 16:04:40 | 보령시청 (이메일주소:voicecolor@korea.kr
               	voicecolor@korea.kr)

국보 제8호인 보령성주사지낭혜화상탑비를 비롯해 사적 제501호 충청수영성, 김좌진 장군묘 등 다양한 문화적 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충남 보령시가 또 하나의 역사적 자원으로 관광자원화를 시도하는 등 문화콘텐츠를 넓혀가고 있다.
 
우리나라 최초로 개신교가 선교됐던 곳이 충남 보령의 외딴섬 ‘고대도’다. 시는 국립공원으로 지정될 만큼 맑고 깨끗한 ‘고대도’를 기독교 순례지로 개발, 관광자원으로 활용할 방침이다.
 
지난 23일 보령시(시장 이시우)와 충남문화산업진흥원(원장 설기환)에서는 보령문화예술회관에서 칼 귀츨라프(Karl Friedrich August Gutzlaff 1803~1851) 선교 180주년을 기념한 세미나를 개최하고 선교사의 업적발굴과 재조명을 통해 관광개발의 주요 콘텐츠를 활용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개신교를 전해야 한다는 확신으로 선교여행을 떠난 독일인 칼 귀츨라프는 뱃길을 따라 외연도-녹도-불모도-고대도 순으로 항해를 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고대도는 귀츨라프가 8월 12일 그곳을 떠날 때까지 고대도를 기점으로 근처 도서와 내륙까지 선교활동을 벌인 곳으로 한국 선교사적으로 큰 의미를 지닌 섬이다.
 
귀츨라프가 고대도를 중심으로 펼친 선교 활동은 문화적 중개활동으로 이어졌다. 귀츨라프가 조선 선교 후 배운 한글을 1832년 11월에 ‘중국의 보고(The Chinese Repository)’라는 잡지에 소논문 형태로 발표하면서 한글을 세계에 첫 번째로 소개한 문화적 중개자 역할도 수행했다.
 
이날 세미나에서 이상규(고신대) 교수는 “귀츨라프 내한하기 8년 전인 1816년 9월 5일, 영국의 해안 탐사선 알레스트호와 리라호가 충남 서천군 서면 마량진(갈곶)에 상륙, 조선인 첨사 조대복에게 영어성경을 전달한 일이 있지만 이는 한국개신교 선교의 기원으로 보기 어렵다”고 말했다.
 
또 “귀츨라프가 고대도에서 체류하면서 한문으로 번역된 두 권의 성경과 전도책자로 추정되는 26종의 도리서를 순조에서 전달했으며, 이때 주기도문을 한글로 번역, 선교했던 것이 한국과 개신교와의 최초의 접촉이었다”고 말했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김영준 연구원은 섬 관광의 현재와 활성화 방안이란 주제 발표에서 “섬 관광자원화 과정 초기에 섬의 특성을 살리면서 관광시장의 특성과 요구에 맞는 적정 계획 및 관리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며, “종교 문화의 창의적 콘텐트와 테마를 발굴, 유인력 있는 체험 관광상품화를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밖에 오현기(백석대) 교수의 '한국 선교적 관점서 본 귀츨라프', 최종고(서울대) 교수의 '문화교류적 관점에서 본 칼 귀츨라프', 박동진(목원대) 교수의 '보령 고대도 향토자원산업화'에 대한 주제발표에 이어 김동주(호서대) 교수, 유재룡(충남도 농업정책과) 팀장, 최인호(청운대) 교수가 패널로 참여해 열띤 토론을 벌였다.
 
한편 칼 귀츨라프는 1832년 2월 27일 중국 광동을 출발, 타이완(4월 11일), 복주, 영파(5월26일), 상하이(6월19일) 및 산둥반도(7월14일)를 거쳐 황해도를 가로질러 7월 17일 오전 10시 경 황해도의 서해안 장산곶에 도착하였고, 22일 녹도와 인근의 불모도를 거쳐 7월 25일 충남 보령시 오천면 고대도에 정박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고대도에서 8월 11일까지 머물면서 주민들에게 한문성경과 전도 문서를 배포했으며, 감자를 심은 뒤 재배법을 전수하고 포도주를 담그는 법을 가르쳐줬다.
 

보령시청님의 다른 기사 보기

[보령시청님의 SNS]
  • 페이스북 : http://www.facebook.com/echungnam
  • 트위터 : asd
  • 미투 : asd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