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덕산 도립공원
  • 강수량
  • 풍속
  • 습도
충청의 역사와 기상을 품은 곳 덕산 도립공원
변산바람꽃

변산바람꽃

  • 높이는 10㎝이다. 산지의 햇볕이 잘 드는 습윤한 지역에서 잘 자란다. 땅속 덩이뿌리 맨 위에서 줄기와 꽃받침이 나오고, 꽃잎은 꽃받침 안쪽의 수술과 섞여서 깔때기 모양으로 솟아오른다. 꽃받침 길이는 3~5㎝, 너비는 1~3㎝이다.
  • 꽃받침이 꽃잎처럼 보이는데, 보통 우산처럼 생긴 꽃받침 5장이 꽃잎과 수술을 떠받들 듯 받치고 있다. 처음에는 꽃받침 끝이 위로 향하다가, 차츰 밑으로 처지면서 느슨하게 허리를 뒤로 젖히는 듯한 모습으로 바뀐다. 꽃받침은 6~7장이다.
  • 2월에서 3월 사이에 꽃망울을 터뜨리기 때문에 쉽게 보기 어렵다. 꽃받침 위에서 수술들 속에 섞여 위로 치솟은 깔때기 모양의 꽃잎은 노랑 또는 녹색으로, 적게는 4개에서 많게는 10개가 넘게 달린다. 수술 수가 많고, 열매는 4월에 익는다.
  • 한국 특산종으로, 학술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1993년부터이다. 같은 해 전북대학교 교수 선병윤(宣炳崙)이 변산반도에서 채집해 한국 특산종으로 발표하였기 때문에, 학명도 발견지인 변산과 그의 이름이 그대로 채택되었다. 변산반도·마이산·지리산·한라산·설악산 등지에 자생한다.
  • 꽃이 매우 앙증맞고 예쁘장해 관상용으로 심기도 하는데, 개체 수가 많지 않아 보존이 필요한 식물종이다.
털중나리

털중나리

  • 산지에서 흔히 자란다. 높이 50∼100cm이다. 줄기는 곧추서고 윗부분이 약간갈라지며 전체에 잿빛의 잔털이 난다. 비늘줄기는 길이 2∼4cm, 지름 15∼25mm로달걀 모양 타원형이다. 잎은 어긋나고 줄 모양이거나 바소꼴이며 길이 3∼7cm, 나비 3∼8mm이다. 둔한 녹색이고 끝이 뭉뚝하거나 뾰족하며 양면에 잔털이 빽빽이 난다.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잎자루가 없으며 위쪽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진다.
  • 꽃은 6∼8월에 피는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1∼5개씩 밑을 향하여 달린다. 화피갈래조각은 바소꼴이고 6개이며 길이 4∼7cm, 나비 10∼15mm이다. 뒤쪽으로젖혀지고, 안쪽에는 검은빛 또는 자줏빛 반점이 있다.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은모두 꽃 밖으로 길게 나온다. 꽃밥은 노란빛을 띤 빨간색이며, 길이 10∼13mm이다.
  • 열매는 삭과로서 달걀 모양의 넓은 타원형이고 9∼10월에 익는다. 종자는 갈색이다. 관상용으로 심으며, 이른봄 비늘줄기를 식용하고 참나리와 함께 약재로도 쓴다. 한국, 중국 북동부에 분포한다.
붉노랑상사화

붉노랑상사화

  • 개상사화라고도 한다. 산과 들의 따뜻한 곳에서 자란다. 나무껍질은 검은빛을 띤 갈색이다. 비늘줄기는 둥근 모양이고 지름 5∼6cm이다. 잎은 뭉쳐나고 넓은 줄 모양이며 끝이 뭉뚝하고 잿빛을 띤 푸른빛이다. 잎 길이 30∼60cm, 나비 12∼18mm이고 두꺼우며 앞면은 윤이 난다.
  • 꽃은 잎이 진 뒤인 7∼8월에 꽃줄기가 나와 핀다. 빛깔은 황금색이고 산형꽃차례로서 잎 사이에서 나온 높이 60cm 정도의 꽃줄기 끝에 5∼10송이가 한쪽을 향해 핀다. 총포조각은 달걀 모양 바소꼴로 길이 12∼45mm이다. 꽃자루는 짧고 작으며 밑에 바소꼴의 포가 있다. 화피조각은 6개로서 넓은 줄 모양이며 끝이 둔하고 길이 4.5∼6cm이다.
  • 수술은 6개이고 약간 길게 나오며 암술은 1개이다. 씨방은 하위(下位)로서 3실이고 녹색이다. 열매는 삭과로서 원기둥 모양이며 9월에 익는다. 관상용으로 정원에 심는다. 한국(제주·전남·충남)·일본·타이완·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비오리 무리(옥계저수지)

비오리 무리(옥계저수지)

  • 몸길이 약 66cm이다. 수컷의 몸 빛깔은 등의 중앙부만 검고 나머지 몸통은 흰색이다. 머리는 광택이 나는 짙은 녹색이며 부리는 붉은색으로 가늘고 길다. 암컷은 등은 회색, 아랫면은 흰색이고 머리는 갈색에 댕기가 있다. 날 때에는 날개의 흰색 얼룩무늬가 돋보인다. 한국에는 내륙의 큰 하천과 호수, 드물게는 해안에 찾아오는데, 대개 얕은 물에서 먹이를 찾지만 약 9m 깊이까지 잠수하기도 한다. 개울가에 둥우리를 틀고, 더러는 나무구멍이나 인공새집도 이용하며 땅위와 강가의 구멍, 심지어는 건물에도 둥우리를 튼다. 둥우리는 출입구 지름 약 12cm, 안지름 약 25cm이며 인공 새집의 경우는 높이 85∼100cm, 출입구 지름 50∼60cm가 알맞다.
  • 한배에 9∼10개의 알을 낳아 암컷이 32∼35일 동안 품으며, 새끼의 성장 기간은 60∼70일이다. 주로 물고기를 잡아먹고 새끼들은 수생곤충을 잡아먹는다. 유럽과 아시아에 걸쳐 번식하며 겨울에는 남쪽으로 이동하나 기후에 따라 불규칙적으로 이동한다.
황조롱이

황조롱이

  • 토르 지형은 차별풍화의 결과로 지표에 노출되어 있는 독립암괴로 가야산지구의 봉우리 주변에서 쉽게 관찰되고 있음
  • 토르 지형은 지속적인 침식작용으로 인하여 독특하고 다양한 형태의 모양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지형경관은 탐방객에게 신선한 이미지를 보여주고 있어 다양한 해설판을 설치하여 탐방 객에게 색다른 재미를 선사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됨
솔부엉이

솔부엉이

  • 몸길이 30∼33cm이다. 매류에 속하는데, 수컷은 밤색 등면에 갈색 반점이 있으며 황갈색의 아랫면에는 큰 흑색 반점이 흩어져 있다. 머리는 회색, 꽁지는 회색에 넓은 흑색 띠가 있고 끝은 백색이다. 암컷의 등면은 짙은 회갈색에 암갈색의 세로얼룩무늬가 있다. 꽁지에는 갈색에 암색띠가 있다.
  • 날개를 몹시 퍼덕이며 직선 비상한다. 때로는 꽁지깃을 부채처럼 펴고 지상에서 6∼15m 상공의 한곳에 떠서 연 모양으로 정비 범상(停飛帆翔)을 하며 지상의 먹이를 노린다. 단독 또는 암수가 함께 생활한다. 전선·전주·나무 위·건물 위 등에 앉기도 한다.
  • 먹이가 되는 작은 새는 나는 것보다 앉았다 날아오르는 것을 잡으며, 삼킨 먹이 중 소화가 되지 않은 것만 펠릿으로 토해 낸다. 4월 하순에서 7월 초순에 걸쳐 4∼6개의 알을 낳는다. 포란기간 27∼29일이며 27∼30일이 지나면 독립시킨다. 설치류(들쥐)·두더지·작은 새·곤충류·파충류 등을 먹는다. 도시의 건물에서도 번식하는 텃새이다. 산지에서 번식한 무리가 겨울에는 평지로 내려와 흔히 눈에 띄나 여름에는 평지에서 보기 어렵다.
  • 천연기념물 제323-8호로 지정되어 보호된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일본, 중국, 티베트, 미얀마, 타이완, 히말라야, 인도, 필리핀, 말레이시아 등 세계 여러 지역에서 관찰된다. 겨울철 북부의 집단은 적도까지 이동할 수 있으며 남부의 집단은 정주한다.
  • 담당부서덕산관리팀
  • 문의전화041-635-7491, 7493

최종 수정일 : 2022-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