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카페인 없는 커피 만들기

아산 흰민들레농장에서 만드는 화이트카노

2020.12.25(금) 08:20:45아산지기(isknet@hanmail.net)

카페인 없는 커피
흰민들레 뿌리 차 만들기

해설//정군자(아산 농부의 장터)

흰민들레는 포공영이라고도 하며
뿌리부터 잎사귀나 꽃까지 먹을 수 있다.
건위작용이 뛰어나 위와 장 기능 회복효과, 소염작용이 뛰어나다.
그리고 간세포를 보호하고 간세포 재생에 효과가 있다.

하나하나 다듬어 가지고 뿌리를 좋은 것만 골라야지 돼요.
뿌리하고 이것 자르고 나서
이것 더러운것만 자르고 뿌리 중에서도
차를 만드려면 또 여길 자르고 지저분한 것을 자르고 나서
선별을 또 해야 돼요.
선별과정이 또 있어요.
이렇게 지저분한 것, 잎하고 분리된 곳
여기는 이걸 또 씻고 해야 되잖아요.

힘드니까 잔뿌리는 씻으면서 다 떨어져 나가요.
좀 더 큰 부분만 쓰려고 이 씻기가 나쁘잖아요.
이렇게 되면 흙이 사이사이 박혀 있어 씻으려면 되게 털고
씻기 좋으라고 씻으면서 잔뿌리들은 다 씻겨 나가요.

그리고 이런 데는 흙이 많아서 지저분하니까 좀 잘라주고
머리 자르고 그리고 나서 너무 작은 뿌리는 안 쓰고
사실 물에다가 담가두면 뿌리에 있는 흙들이 잘 떨어지죠.

물에다가 담가 놨다가 씻으면 훨씬 더 잘 떨어지고
면역력 증진에 정말 좋은 것 같아요.
엄마가 매년 감기를 좀 앓으셨어요.
그런데 이거를 동생이 마당에 흰민들레가 나길래
뿌리채 다 캐서 다 갈아서 써도
그런데 그때부터 감기에 안 드셨대.
봄에 그렇게 했는데,
겨울에도 감기 한 번 안 드시고 좋다고
너무 좋다고 엄마가 처음 해주셨어요.
염증예방에 좋은 식품으로 알려졌거든요.

이것을 굵은 거는 굵은 거대로 그 다음에
가는 건 가는 거대로 했었는데
살짝 물기 빼고 그 다음 말려서 잘라요.

말랐을 때 이게 이렇게 까맣게 된 것을 자르면
하얗게 민들레 진액이 나오거든요.
그게 마르면서 까맣게 변한 거예요.
처음에 물기를 말린 다음에
다시 이것을 지금처럼 덖어서 식혔다가
지금 뜨거워서물기가 밖으로 나오고 있거든요

뜨뜻한 것들을 식혀서 다시 덖어주면서 계속 말리는 거예요.
시간이 오래 걸려요
지금은 양이 작은데 양이 많으면 시간이 되게 오래 걸려요.
뭐든지 정성이 들어가야 돼요.
그러면 훨씬 더 깊은 맛도 나고
아무래도 영양이 파괴가 안 되니까 좋죠.

불을 조금 줄였어요. 잘못하면 타버려요.
큰것만 해서 덖으면 전체적으로 노래져요
노래지면서 원두커피처럼 커피 알갱이처럼 되거든요.
그러면 이것을 갈아서 커피추출기처럼 내려서 먹는 거죠.
커피원두처럼 콩알처럼 되죠.
갈아서 먹어도 되고 그냥 끓여서 먹어도 돼요.
이것을 덖었다 식혔다 덖었다 식혔다를 아홉 번 한 거예요.
아홉 번 해서 그걸 간 거예요.
이걸 갈아서 드립커피식으로 만들고 그러거든요.
레시피를 정해서 넣어 가지고 원래는 밀봉이 돼요.
여기를 딱 압축을 해서 여기에다 넣어서
세트로 해서 판매를 해요.
아산에 있는 카페 같은 곳에 납품도 하고
개인에게도 팔기도 하고 크리스마스 같은 날
선물할 수 있게 화이트카노라고 이름을 지었어요.

‘흰민들레 뿌리차, 이것을 먼저 적셔 놓고 스며들면 추가로 부어줘요.
향이 나죠?’
‘네. 커피처럼 이렇게 아메리카노색이 나요.’
계속 마실 수 있어요. 우려내면서 재사용이 가능하니까.
그리고 또 차 선생님이 팁을 주셨는데,
이거 남은 거 있잖아요.
커피도 찌꺼기 남은 걸로 화장실 같은 곳에 냄새 제거제로 쓰잖아요.
근데 이거는 뿌리를 깨끗이 씻어서 덖은 거니까
밥에다 놔서 먹어도 괜찮아요.
‘향이 둥글레차처럼 구수하네요.
약간 쌉쌀하고 쌉쌀한 맛인데도 쓰지 않고
커피보다는 훨씬 덜 쓴 것 같은데요.
색깔도 블랙커피 같은 색이 나네요.
’화이트카노라고 이름을 지었어요.
흰민들레 뿌리차의 White와 아메리카노의 Cano를 뜻해요
쓴맛이 없고 구수한 맛이 많이 납니다.‘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댓글 쓰기
댓글 작성

*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최종 수정일 : 2022-04-25
  • 게재된 내용 및 운영에 대한 개선사항이 있으시면 정보관리 담당부서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 이 페이지에 대한 저작권은 충청남도가 소유하고 있습니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