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매화가 피어나 더 아름다운 신원사(新元寺)의 고즈넉한 봄

신원사의 아름다운 봄

2021.03.06(토) 09:13:58이병헌(ichmount@naver.com)

신원사
▲신원사
      
경칩이 지나니 이제 봄이 완현하게 다가오고 있다. 여기저기에서 봄꽃이 피었다는 소식이 전해오는 날, 예로부터 신령스런 산으로 여긴 계룡산 자락에 있는 신원사에 다녀왔다. 신원사는 동학사·갑사와 함께 계룡산 3대 사찰로 공주시 계룡면 양화리에 위치해 있다.
      
신원사
▲신원사
                
신원사는 계룡산에 있는 갑사나 동학사보다 규모는 작지만 아담해서 더 좋다. 계룡산 주봉 천황봉을 배산(背山)하여 천황봉과 연천봉 사이를 흐르는 계곡 옆에 자리한 신원사는 백제시대 고찰이다. 매표소를 지나면 바로 계룡산 신원사의 일주문이 기다리고 있다. 천천히 5분 정도 올라가 계단을 오르면 사천왕문이 있다.
       
신원사
▲신원사
      
신원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의 말사로 백제 말기인 651년(의자왕 11) 보덕이 창건하였다. 고려충렬왕 때(1298) 무기에 의해 중건이 되었고, 1876년(고종 13) 보연이 중수하였다. 그 후에 1946년 만허화상이 보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신원사
▲신원사
   
이 절은 계룡산 동서남북 4대 사찰 중 남사(南寺)에 속하는데, 경내에는 석탑부도가 있고 백제시대의 연화문와당이 발견되었다. 신원사의 건물들은 임진왜란 때 소실된 후 현재의 위치로 옮긴 것으로 전해지며 원래의 건물지는 신원사와 중악단 남쪽에 전개된 넓은 밭으로 추정되고 있다.
         
신원사매화
▲신원사매화
      
신원사에도 봄을 맞아 매화가 피어나고 있다. 대웅전 우측에는 아름다운 홍매화가 피어나고 있고, 신원사 곳곳에 하얀 매화가 꽃을 피워 봄을 노래해주고 있다. 매화가 피워낸 은은한 향기가 산사에 흘러 봄을 느낄 수 있다. 봄이 깊어가 4월이 되면 노거수에서 벚꽃이 피어나 아름다움을 전해주고. 가을이 깊어가면 은행나무의 노란 은행잎이 정취를 더해준다.
     
신원사매화
▲신원사매화
                
대웅전은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80호로 지정되어 있고. 아미타여래, 관음보살, 대세지보살이 모셔져 있다.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이며 기단은 자연석을 쌓아 만들었다. 대웅전은 정면 3칸은 같은 간격으로 나눠져 있고 옆면과 뒷면에는 문이 없다.
        
신원사5 층석탑
▲신원사
    
신라 말 고려 초기의 석탑양식인 5층석탑은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31호이다. 전체적으로 중후한 감을 주는 석탑으로 고려 초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여겨진다. 석탑의 높이는 3.1m로 중악단(中嶽壇) 남쪽에 위치했다. 신원사 5층석탑은 현재 4층 옥개석까지만 남아 있으나 원래는 오층석탑인 것으로 추정된다.
    
신원사매화
▲신원사매화  
      
신원사 대웅전에서 오른쪽으로 약 50여m 거리에 한국산악신앙의 제단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는 '계룡산중악단'이 있는데, 보물 제1293호다. 주변의 암자로는 고왕암, 등운암, 선광원, 소림원, 불이암, 금용암 등이 있다.
      
신원사중악당
▲신원사중악단 
      
중악단은 신원사를 상징하고 대표한다. 신원사는 매년 고종황제와 명성황후 추모제를 지내며 애국정신을 기리고 호국영령을 추모하고 있다. 추모제는 나라의 안위를 지키다 희생된 고종황제와 명성황후를 추모하기 위해 신원사 중악단에서 열린다.
     
신원사중악단
▲신원사중악단 
 
명성황후는 조선조의 국운이 쇠퇴해 계룡산에서 정씨 성을 가진 위인이 나라를 일으킨다는 도참설을 잠재우려 신원사 위에 암자를 짓고 효종 때 철폐됐던 중악단을 다시 세웠다. 궁궐 양식을 그대로 본 따 만들었다. 이곳 신원사에 중악단뿐 아니라 묘향산에 상악단, 지리산에 하악단을 설치했는데, 현재까지 남아 있는 곳은 바로 신원사 중악단뿐이고, 보존가치가 높은 문화재로 꼽힌다.
      
신원사5층석탑
▲신원사5층석탑
 
계룡산신원사
-소재: 충남공주시 계룡면 신원사동길 1
-문의: 041-852-4230
-홈페이지: http://www.sinwonsa.org/index.html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댓글 쓰기
댓글 작성

*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최종 수정일 : 2023-12-15
  • 게재된 내용 및 운영에 대한 개선사항이 있으시면 정보관리 담당부서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 이 페이지에 대한 저작권은 충청남도가 소유하고 있습니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