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사는이야기

사는이야기

충남넷 미디어 > 사람세상 > 사는이야기

2024년 부처님 오신 날을 맞이하여 체험한 여러 행사

행사에는 날씨가 중요하다.

2024.05.17(금) 02:20:23황소크라테스(hwang820530@naver.com)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1. 2024년 5월 15일, 부처님 오신 날을 맞이하여 한국 전역에서 다채로운 축제와 행사가 펼쳐졌습니다. 부처님 오신 날은 석가모니의 탄생을 기념하는 불교 최대의 축일로, 매년 음력 4월 8일에 맞춰 기념했습니다. 올해는 수요일에 해당하여 많은 사람이 휴일을 맞아 꼭 절에 가지 않더라도 야외에 나가 휴식을 만끽하였습니다. 저도 부처님 오신 날을 맞이하여 개심사를 다녀왔습니다.
충남 서산군에 위치한 개심사는 고려시대에 창건된 불교사찰입니다. 금동여래좌상과 석가탑 등 국가 유형문화재 2점을 비롯하여 다양한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는 곳으로 유명합니다. 

2024년 부처님 오신 날을 맞이하여 체험한 여러 행사 사진
 
"부처님 오신날"이라 등으로 사찰을 멋지게 꾸며 놓았습니다. 사람이 많아 사찰 전체에 활기가 넘쳤어요.

2024년 부처님 오신 날을 맞이하여 체험한 여러 행사 사진

산불이 일어나기 좋게 바람이 너무 불어서 사찰에 소방차와 소방관이 출동을 하여 미리 예방하고 있었습니다. 이런 날씨에 예전 강릉의 고찰이 불탄적이 있어 미리미리 예방하네요. 

2024년 부처님 오신 날을 맞이하여 체험한 여러 행사 사진

밥은 비빔밥으로 먹었습니다. 싱싱한 야채에 미여국과 채소 반찬이면 건강이 좋아지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앞으로 자주 비빔밥을 먹으며 건강을 관리해야 할 것 같아요.
 

 2. 지난 5월 11일, 충청남도 홍성군에서 [2024 연등회]가 열렸습니다. 이날 행사는 대한불교조계종 홍성주지협의회가 주최하고, 덕숭총림 수덕사와 내포연등회, 홍주골연등회가 주관하였으며, 충청남도, 홍성군, 충청남도의회, 홍성군의회의 후원으로 성대하게 진행되었습니다. 비가 내리는 궂은 날씨 때문에 행사장에는 평소보다 사람들이 적었습니다. 오전에 근처에서 열린 내포마라톤 행사에는 약 만명이상이 참여했는데 비가 와서 그런것 같았습니다.

행사에 있어 날씨의 영향은 성공을 좌우할 정도로 중요하다는 것을 느끼게 되네요. !!

참가자들은 비옷과 우산을 준비해 전통등 전시와 봉축법요식을 즐겼습니다. 다양한 전통 등불이 아름답게 빛을 발하며 행사장을 환하게 밝혔습니다. 등불은 비닐로 덮여 있어 빗물로부터 보호되었으며, 각 등불마다 특색 있는 디자인이 돋보였습니다. 특히, 한국 전통 문양과 형상을 한 등불들은 많은 이들의 시선을 사로잡았습니다.

행사장은 전통등 전시 외에도 다양한 체험부스가 마련되어 있었습니다. 참가자들은 직접 등불을 만들고, 빵과 꼬마김밥 그리고 어묵 등을 맛보며, 다양한 체험 활동에 참여했습니다. 체험부스에는 커피와 차를 제공하는 코너도 있어 방문객들이 비가 와서 추운 날씨에 따뜻한 차를 마시며 몸을 녹일 수 있었습니다.

봉축법요식은 오후 5시 30분에 시작되었습니다. 법요식 무대는 다양한 꽃 장식과 함께 꾸며져 있었습니다. 이 날 행사는 비가 많이와서 날씨가 좋지 않았지만 불기 2568년 부처님 오신 날을 기념하는 자리로, 불자들이 모여 부처님의 가르침을 되새기고 기도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2024년 부처님 오신 날을 맞이하여 체험한 여러 행사 사진 
비가 와서 행사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까지 많은 자리가 비었고 천막에 신자들과 스님들이 대기하고 있었습니다. 다행히 등에는 비닐을 씌어서 빗에 젖지 않았습니다. 

2024년 부처님 오신 날을 맞이하여 체험한 여러 행사 사진

비닐 천막 아래 여러 체험 부스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참가자들은 번호가 매겨진 좌석에 앉아 체험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2024년 부처님 오신 날을 맞이하여 체험한 여러 행사 사진

참가자들이 체험 부스에서 따뜻한 빵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따뜻한 커피와 차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물론 드시려면 보시함에 시주를 하고 드시는 예의는 갖춰야 겠죠.

2024년 부처님 오신 날을 맞이하여 체험한 여러 행사 사진

참가자들이 비옷을 입고 체험 부스에 모여 있습니다. 행사전이라 다들 대기하느라 지루해 보였습니다.

2024년 부처님 오신 날을 맞이하여 체험한 여러 행사 사진

전문가가 테이블에 앉아 보살님들의 캐리커처 그림을 그려 주셨습니다. 이 체험부스는 인기가 많아 대기가 많았습니다. 다들 자신의 캐리커처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2024년 부처님 오신 날을 맞이하여 체험한 여러 행사 사진

살짝 캐리커처 그린 것을 보았는데 인물의 특징을 잘 포착하여 멋지게 그리셨습니다.
괜히 전문가가 아니더군요.

2024년 부처님 오신 날을 맞이하여 체험한 여러 행사 사진
 
여기는 캐릭터 체험이었습니다. 어린 아이들의 인기가 많았어요.

2024년 부처님 오신 날을 맞이하여 체험한 여러 행사 사진
 
시간이 저녁에 가까운지라 꼬마김밥과 어묵 국물로 요기를 하셨습니다. 행사측에서 꼬마김밥과 어묵을 넉넉히 준비해서 모두 배불리 먹을 수 있었네요.

2024년 부처님 오신 날을 맞이하여 체험한 여러 행사 사진
 
홍성군에서 세금으로 하는 어르신들의 디지털 교육 관련한 인프라를 소개하는 홍보물도 설치가 되었습니다. 요즘 키오스크와 로봇 등 세상이 아주 빨리 변화하고 있어 저도 적응하기 힘든데 다행히 군에서 디지털 적응 교육을 어르신들에게 하고 있어서 아주 좋은 정책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2024년 부처님 오신 날을 맞이하여 체험한 여러 행사 사진
 
저 나무 함은 무엇일까요? 저 함은 사진기입니다. 인생네컷처럼 즉석사진을 찍어 주는 체험부스였습니다. 

2024년 부처님 오신 날을 맞이하여 체험한 여러 행사 사진
 
여기는 맛있는 빵을 생지로 구워내는 곳입니다. 세상이 좋아져서 갓 구운 맛있는 빵을 먹을 수 있게 되었네요. 빵집에 가지 않아도 되어 좋네요. 가격도 원재료만 있으면 되니 빵집보다 저렴하겠죠?

2024년 부처님 오신 날을 맞이하여 체험한 여러 행사 사진

참가자들이 뜨거운 어묵 국물을 나눠 먹고 있었습니다. 비옷을 입은 사람들이 서로 따뜻한 음식을 즐기며 추위를 달래고 있네.

2024년 부처님 오신 날을 맞이하여 체험한 여러 행사 사진

여기 부스는 꼬마 김밥을 나누워 주었습니다. 큰 사이즈 김밥은 먹기 부담스러울 수 있는데 센스있게 작은 꼬마김밥을 주어서 먹기가 편했습니다.

2024년 부처님 오신 날을 맞이하여 체험한 여러 행사 사진

빨간 전통 등이 여러 개 준비되어 자원봉사자들이 전통 등을 정리하고 배치하고 있었습니다. 비가 와서 이곳에 적재하였습니다.

2024년 부처님 오신 날을 맞이하여 체험한 여러 행사 사진

행사에 참여한 분들의 물품도 한 곳에 보관해 주었습니다. 도난사고가 일어나지는 않겠지만 만사불여튼튼이잖아요.
 
2024년 부처님 오신 날을 맞이하여 체험한 여러 행사 사진
 
비가 와서 아직 설치를 다 못하고 대기하고 있는 설치물이 차에 쌓여 있었습니다. 

2024년 부처님 오신 날을 맞이하여 체험한 여러 행사 사진
 
행사가 시작이 되니 다들 부스에서 나와서 적극적으로 참여해 주고 계십니다. 등도 날씨가 어두워지니 존재감을 발휘하고 있네요.

2024년 부처님 오신 날을 맞이하여 체험한 여러 행사 사진

이번 행사를 축하하기 위해 여러 축하행사도 하였습니다. 불교행사라 전통과 관련된 가수 및 음악 행사가 많았습니다. 비가 와서 가까운 거리에서 즐기지 못해 아쉬웠습니다.

2024년 부처님 오신 날을 맞이하여 체험한 여러 행사 사진
 
비가 와서 정면 보다는 옆자리가 인기가 많았습니다. 부스가 있어 비를 피할 수 있기 때문이겠죠.

2024년 부처님 오신 날을 맞이하여 체험한 여러 행사 사진
 
곱게 차려 입은 여성 퍼포먼스분들도 많았지만 초상권 때문에 뒷모습만 살짝 보여드리겠습니다. 

2024년 부처님 오신 날을 맞이하여 체험한 여러 행사 사진
 
그래도 행사가 시작되니 자리가 어느정도 찼네요. 내년에는 비가 오지 않았으면 하는 바램이었습니다. 
내포에 교회가 많아 기독교의 고장이라고 생각했는데 수덕사가 있어서인지 불교 신자들도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연등회는 비가 내리는 중에도 스님들과 신자들의 참여와 열기로 무사하게 마무리되었습니다. 전통등의 아름다움과 함께 다양한 체험을 통해 참가자들은 전통 문화의 소중함을 다시 한번 느낄 수 있는 뜻깊은 시간이 되었습니다.

이번 행사인 2024 연등회는 전통문화의 가치를 알리고, 지역사회의 화합과 소통을 도모하는 중요한 행사로 자리매김하였습니다.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