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문화·역사

문화·역사

충남넷 미디어 > 통통충남 > 문화·역사

충남 아이들과 함께하기 좋은 공주 석장리박물관

공주 석장리박물관에서 구석기유적과 즐겁고 의미있는 하루

2023.10.04(수) 14:41:19해피플렌티(elencia02@naver.com)

도구없이 앉아서 타는 롤라이더인데요. 아이?이 매우 즐거워했어요.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충남 아이들과 함께하기 좋은 공주 석장리박물관 사진

안녕하세요?
구석기시대의 생활상을 만나며 즐거운 추억을 더할 수 있는 공주 석장리박물관을 소개합니다.

충남 아이들과 함께하기 좋은 공주 석장리박물관 사진

충남 아이들과 함께하기 좋은 공주 석장리박물관 사진

공주석장리박물관 무료입장(2023. 9. 23 ~ 2024. 1. 31.)
- 2023. 9. 23. ~ 10. 9. 대백제전 기간으로 무료입장
- 2023. 10. 10. ~ 2024. 1. 31. 상설전시실 리모델링공사로 인한 무료입장
- 공주석장리박물관 야외 유적공원, 특별전시실, 체험학습관은 정상 운영합니다.

충남 아이들과 함께하기 좋은 공주 석장리박물관 사진

입구에서 왼쪽은 강의, 회의, 전시동으로 매표소와 석장리박물관에 대한 영상이 나오는 공간이고, 오른쪽은 복합문화동입니다.

충남 아이들과 함께하기 좋은 공주 석장리박물관 사진

오른쪽의 복합문화동에는 수유실과 쉼터가 있는데요. 금강의 멋진 뷰와 함께 신발을 벗고 편하게 쉴 수 있는 공간과 탁자 공간이 있어서 너무 좋았어요.

충남 아이들과 함께하기 좋은 공주 석장리박물관 사진

한국의 구석기인의 존재가 밝혀진 것은 1964년 공주석장리유적 발굴이 계기가 되었는데요.
한국 구석기 연구의 시작은 공주석장리 유적이라고 합니다.
구석기유적을 발굴하는 데에는 석장리 마을 주민들의 도움이 컸다고 해요.

충남 아이들과 함께하기 좋은 공주 석장리박물관 사진

강에서 잡아 온 물고기를 굽고 있어요. 아이가 맛있게 먹고 있네요.
구석기인들은 자연에서 얻은 음식으로 살아갔어요.

충남 아이들과 함께하기 좋은 공주 석장리박물관 사진

특별기획전 ‘선사예술가’ 전시를 하고 있는 파른 손보기 선생 기념관 지붕에는 구석기인들의 삶의 현장이 보입니다.
멧돼지를 잡으려다 도리어 이빨을 드러낸 멧돼지의 공격을 받을 것 같은 아찔함이 그대로~~~
* 특별기획전 ‘선사예술가’ 전시 : 2023. 05. 05. ~ 2024. 02. 28.

충남 아이들과 함께하기 좋은 공주 석장리박물관 사진

유럽 후기구석기 시대는 가장 이른 시기의 오리냐시안 문화, 선사시대 예술이 가장 넓게 분포하는 시기의 그라베티안 문화,, 가장 추웠던 시기의 솔뤼트레안 문화, 빙하기가 끝나고 기후가 점점 상승하는 말기의 막달레니아 문화로 나뉘어집니다. 따뜻해진 기후를 반영하듯 인류의 활동 범위가 다시 확산되고 초원에는 순록이, 산악지대에는 말, 들소, 사슴, 산양, 털코뿔소, 곰 등 다양한 동물들이 서식합니다.

충남 아이들과 함께하기 좋은 공주 석장리박물관 사진

막달레니안 예술가들은 창던지개를 포함한 무기 외에도 많은 일상적인 물건들을 조각이나 새김으로 장식했으며, 들소, 순록, 말 동굴곰, 염소, 사슴, 꿩 등 다양한 동물들을 매우 정교하게 표현하였고, 일상 속 장면이나 소소한 모습들을 시기기도 하였습니다.

충남 아이들과 함께하기 좋은 공주 석장리박물관 사진

10월 10일부터 리모델링 공사로 2024년 1월 31일까지 임시 휴관하는 상설전시실입니다.

충남 아이들과 함께하기 좋은 공주 석장리박물관 사진

구석기인들에 대한 전시가 되어 있는데요.
아이들은 키도 재보고 구석기인들의 모습이 신기하고 재미있다며 열심히 보고 있어요.

충남 아이들과 함께하기 좋은 공주 석장리박물관 사진

밑그림을 선택해서 색칠을 하고 ‘내보내기’를 하면 앞의 화면에 내가 그린 그림이 나와서 움직여요. 요즈음 이런 곳이 많이 있는데요. 여기에도 있어서 아이들이 신기하고 재미있어 했어요.

충남 아이들과 함께하기 좋은 공주 석장리박물관 사진

상설전시실 마지막 부분에 시민참여 그림작품 전시회를 하는 작은 전시실이에요.
* 기획전시-선사시대와 미래의 연결 그리고 소통
- 전시기간 : 2023, 03, 29, ~ 2023, 12, 31.

충남 아이들과 함께하기 좋은 공주 석장리박물관 사진

전시관에서 나와 왼쪽에 있는 계단을 올라가면 옥상 전망대와 테마동산을 갈 수 있어요.

충남 아이들과 함께하기 좋은 공주 석장리박물관 사진

테마동산에는 구석기인들의 사냥하는 모습이 있어요.
두 사람이 사냥터에서 잡은 사슴을 통째로 나무 작대기에 묶어 어깨에 메고 옮기고 있어요.
풍성한 저녁 거리를 잡았으니 행복한 표정을 지으며 집으로 돌아가는 발걸음이 아주 가벼웠을 것입니다.

충남 아이들과 함께하기 좋은 공주 석장리박물관 사진

테마동산 안쪽으로 롤라이더 타는 곳이 있어요.
신발의 흙을 털고 아무 기구없이 앉아서 타면 되는데요. 아이들이 너무 재미있다고 내려오면 부리나케 올라가서 그만 가자고 달래느라 애썼어요.

충남 아이들과 함께하기 좋은 공주 석장리박물관 사진

테마동산에서 아래로 내려오면 10시부터 16시까지 체험을 할 수 있는 체험학습장이 있어요.
유료(2,000원, 1,000원) 및 무료로 체험을 할 수 있으며, 개인체험은 현장접수이고, 단체체험은 예약을 해야 합니다.
우리가 방문한 날은 체험학습장이 문을 닫아서 아쉽게도 체험을 못 했어요.

충남 아이들과 함께하기 좋은 공주 석장리박물관 사진

구석기시대 사람들의 주거생활을 이해하기 위해 들판유적의 막집을 재현해 본 막집으로 석장리, 노붕 유적에서 발굴된 집자리 흔적을 바탕으로 3채의 막집을 복원한 모습입니다.
짐승의 가죽을 정리하고, 잡아 온 짐승을 자르고 고기를 바르는 남자들, 석기를 만들고 있는 사람 등 구석기인들의 일상적인 살림살이를 보여줍니다.

충남 아이들과 함께하기 좋은 공주 석장리박물관 사진

신기한 동굴도 들어가 봤어요. 모형 동굴인데요. 동굴을 나가면 테마공원과 연결이 되어 있어요.

충남 아이들과 함께하기 좋은 공주 석장리박물관 사진

석장리박물관의 잔디밭에서 연도 날려보고 잠자리, 나비를 잡는 체험도 했어요. 연(9,000원)과 잠자리채(5,000원)는 매점에서 파는데요. 잠자리와 나비는 잡아서 잠깐 관찰하고 날려주었지만, 아이들이 얼마나 신나 하였는지요.

충남 아이들과 함께하기 좋은 공주 석장리박물관 사진

이곳 금강변은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구석기문화의 존재가 입증된 첫 발굴지점입니다.
석장리 유적을 처음 찾은 것은 1964년 봄 미국인 대학원 학생인 엘버드 모어 부부였는데요. 그들은 당시 연세대학교 객원교수(초빙교수)로 있으면서 금강 유역을 조사하던 중 큰물이 나서 무너진 흙 속에서 뗀석기를 찾아냈습니다.
여러 절차를 거치고 그 해 11월 11일부터 연세대학교 사학과 손보기교수와 더불어 발굴을 시작하여 우리나라 구석기시대 연구의 시발점이 되었습니다.

충남 아이들과 함께하기 좋은 공주 석장리박물관 사진

구석기문화의 첫 발굴지점 옆으로는 가을을 느낄 수 있는 코스모스와 억새가 있었어요.

충남 아이들과 함께하기 좋은 공주 석장리박물관 사진

석장리박물관은 전시관뿐만 아니라, 테마공원, 롤라이더, 체험학습관이 있어서 좋아요.
특히, 금강이 흐르고 잔디밭이 넓게 펼쳐져 있어서 아이들과 함께 아름다운 추억을 만들기에 참 좋은 곳이에요.
2023. 9. 23 ~ 2024. 1. 31.까지 구석기 시대의 유적, 공주석장리박물관이 무료개방을 하고 있으니 꼭 방문하여 즐겨보시기를 추천 드립니다.


공주 석장리박물관
충남 공주시 금벽로 990
- 관람시간 : 하절기(3월~10월) 09:00~18:00, 동절기(11월~2월) 09:00~17:00
- 휴관일 : 1월 1일, 설날과 추석 당일
- 입장료 : 어른 3,000원, 청소년 2,000원, 어린이 1,000원,
               65세이상 무료, 매월 마지막 수요일(문화가 있는 날) 무료
- 무료입장 : 23. 9. 23 ~ 23. 1. 31.
- 문의 : 044-840-8924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