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도정영상

도정영상

충남넷 미디어 > 생생뉴스 > 도정영상

[VCR] 秋사 김정희 秋녀 박현미

2019.11.11(월) 14:20:21인터넷방송(topcnitv@naver.com)

46회차 <추녀 박현미 추사 김정희/예산 추사고택>


(아름다운 가을 풍경을 붓으로 그리고 있는 박아나운서)
아니야
이건 예술이 아니야
아니야!

(어디선가 들리는 소리)
나는 평생에 벼루 열 개를 밑창 냈고
붓 일천 자루를 몽당붓으로 만들었다

이게 무슨 소리지?
누구세요?

나는 추사 김정희다

그 유명한 추사 김정희 선생님?


시, 서, 화, 전각 모두 능했던
조선 최고의 명필! 추사 김정희 선생을 만나봅니다.
자막 : 시, 서, 화, 전각 천재
조선 최고의 명필!
추사 김정희 선생을 만나다!

장소자막 : 추사고택 ? 충청남도 지정 유형문화재 제43호
오늘 제가 나와 있는 이곳은
충남 예산에 자리한 “추사고택”인데요.

장소자막 : 추사기념관/ 예산군 신암면
추사 선생님을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기념관부터 들어가 봤습니다.

추사기념관은 추사 김정희 선생님의 탄생과 출세 가도,
학문기와 유배기, 그리고 추사체를 완성하기까지의
학문과 예술적 경지에 대해 자세히 전시돼 있는데요.
자막 : 추사 선생의 일대기와 학문, 예술적 경지를
자세히 엿볼 수 있는 곳

추사 선생은 영조의 사위였던 월성위 김한신의 증손으로
조선 후기 실학자이자 대표적인 서예가였습니다.
정보자막 : 추사 김정희 선생
-영조의 사위였던 월성위 김한신의 증손
조선후기 실학자, 대표적인 서예가

김민섭 / 추사고택 학예연구사
연구사 : 안녕하세요?

아나운서 : 안녕하세요?

연구사 : 여기 구경하러 오셨나 봐요!

아나운서 : 여기에서 어떤 것들을 중점적으로 보면 좋을까요?

연구사 : 가장 대표적인 작품 중에 하나인데요
오른쪽에 보시면 계산무진이라는 작품입니다
안동김문 중에 계산 김수근이라는 사람이 있어요
그분에게 추사 김정희 선생님이 써주신 작품 중에 하나로
공간과 글자의 조형미를 느낄 수 있는
대표적인 작품 중의 하나입니다
정보자막 : 계산무진(溪山無盡) - 계곡과 산은 끝이 없구나
추사 선생이 계산 김수근에게 써준 것

추사 선생은 당쟁에 휩쓸려 10여 년간 유배 생활을 했는데요.
자막 : 당쟁에 휩쓸려 10여 년간 유배 생활

기나긴 유배 생활 속에서 완성된 추사체는
우리나라 서예사의 완결점이며
자유롭고 파격적인 조형미를 추구한 서체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정보자막 : 추사체 ? 추사가 평생에 걸쳐 완성한 서체,
우리나라 서예사의 완결점, 자유롭고 파격적인 조형미를
추구한 것으로 평가됨

선생의 글씨는 국내뿐 아니라
청나라의 문필가에게도 칭송을 받았는데요.
자막 : 청나라의 문필가들도 칭송한 추사체

마침 기념관 2층에는
추사고택 종가유물 특별기획전이 열리고 있었습니다.
정보자막 : 추사고택 종가유물 특별기획전

추사고택이 건립된 이후로 250년 만에
추사 김정희 선생 묘역 옆에서 열리는
추사고택 종가 유물 특별 기획전이기 때문에
아주 큰 의의가 있고요

이 전시회는 고택에서 발견된 추사 가문의
희귀 유물 20여 점을 선보이고 있었는데요.
자막 : 추사 가문의 희귀 유물 20여 점 선보여

추사고택의 변천사와 김정희 가문의 삶을 엿볼 수 있었습니다.
자막 : 추사고택의 변천사와 김정희 가문의 삶 엿보다

이제 특별기획전 명목으로는 2020년 3월부터 2020년 11월까지
(전시) 계획을 하고 있고요
정보자막 : 김정희 유물전시회 ? 2020년 국내 추사 관련 4개 지역(서울 예술의 전당, 과천 추사박물관, 제주 추사관, 예산 추사고택)에서 전시 계획 중

장소자막 : 추사고택
추사고택은 약 300년 전 추사 선생님의 증조부
월성위 김한신이 영조의 둘째 딸 화순옹주와 결혼하며
건립한 양반 대갓집입니다.
정보자막 : 추사고택 - 추사 선생의 증조부 월성위 김한신이
영조의 둘째 딸 화순옹주와 결혼하며 건립한 것으로 알려진
양반 대갓집

추사 선생이 태어나서 성장한 곳이라고 하는데요.

정황상으로는 추사 김정희 선생님께서
집안에 있는 제사나 아니면 독서를 하기 위해 낙향을 하셨을 때
이쪽(추사고택)에서 거주를 하셨고
관직이 있었기 때문에 아마 (평소에는) 서울에서 주로
거주하셨을 것으로 저희는 추정하고 있습니다

예산군은 예산이 낳은 위대한 예술가
추사 김정희 선생을 널리 알리기 위해
고택을 상시 개방하고 그 보존과 활용 가치를 높이고 있습니다.
자막 : 예산군, 추사고택 상시 개방
보존과 활용 가치 높여

고택 옆으로 오솔길을 올라가면
우리나라에 몇 그루밖에 없다는 백송이 자리하고 있는데요.

24세 때 아버지 유당 김노경을 따라서
청나라 연경으로 자제군관 역할을 하러 가세요
가면서 중국 북부지역이 원산지인 백송 씨앗을 가지고 오셔서
자신의 고조부의 묘역 앞에 심게 된 백송이
천연기념물 제106호로 지정된 예산 용궁리 백송입니다
정보자막 : 백송(천연기념물 제106호) - 추사 선생이 생부 김노경을 따라 청나라 연경에 다녀오면서 가져온 씨를 고조부 묘소 앞에 심은 것

고택 입구에는 추사체험관도 있는데요.
장소자막 : 추사체험관/ 예산군 신암면

방문객들을 위해 추사 선생의 대표작인 세한도 그리기,
추사체 쓰기 등 다양한 체험이 준비돼 있습니다.
자막 : 세한도 그리기, 추사체 쓰기 등 다양한 체험 제공

아이, 쑥스러운데 이렇게 됐습니다.
애초에 보물을 따라 그리는데 이상하게 나올 수가 없죠
정보자막 : 세한도/ 국보 제180호

고택 옆으로는 추사 선생과
초배인 한산이씨, 계배인 예안이씨의 합장묘가 자리하고 있는데요.
장소자막 : 추사 김정희의 묘 ? 추사 선생과 초배 한산이씨, 계배 예안이씨 합장묘

평생에 벼루 열 개를 밑창 냈고
붓 일천 자루를 몽당붓으로 만들었다는 추사 김정희 선생
그의 노력이 존경스럽습니다.

고즈넉한 추사 고택을 돌아보니까
가을 정취를 흠뻑 느껴볼 수 있었는데요

여러분도 올가을이 가기 전
추사고택에 오셔서
조선시대 대예술가의 예술혼도 느껴보시길 바랍니다.

지금까지 대한민국의 중심
여기는 충청남도입니다!

46회차 <추녀 박현미 추사 김정희/예산 추사고택>


(아름다운 가을 풍경을 붓으로 그리고 있는 박아나운서)
아니야
이건 예술이 아니야
아니야!

(어디선가 들리는 소리)
나는 평생에 벼루 열 개를 밑창 냈고
붓 일천 자루를 몽당붓으로 만들었다

이게 무슨 소리지?
누구세요?

나는 추사 김정희다

그 유명한 추사 김정희 선생님?


시, 서, 화, 전각 모두 능했던
조선 최고의 명필! 추사 김정희 선생을 만나봅니다.
자막 : 시, 서, 화, 전각 천재
      조선 최고의 명필!
      추사 김정희 선생을 만나다!

장소자막 : 추사고택 ? 충청남도 지정 유형문화재 제43호
오늘 제가 나와 있는 이곳은
충남 예산에 자리한 “추사고택”인데요.

장소자막 : 추사기념관/ 예산군 신암면
추사 선생님을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기념관부터 들어가 봤습니다.

추사기념관은 추사 김정희 선생님의 탄생과 출세 가도,
학문기와 유배기, 그리고 추사체를 완성하기까지의
학문과 예술적 경지에 대해 자세히 전시돼 있는데요.
자막 : 추사 선생의 일대기와 학문, 예술적 경지를
     자세히 엿볼 수 있는 곳

추사 선생은 영조의 사위였던 월성위 김한신의 증손으로
조선 후기 실학자이자 대표적인 서예가였습니다.
정보자막 : 추사 김정희 선생
          -영조의 사위였던 월성위 김한신의 증손
           조선후기 실학자, 대표적인 서예가

김민섭 / 추사고택 학예연구사
연구사 : 안녕하세요?

아나운서 : 안녕하세요?

연구사 : 여기 구경하러 오셨나 봐요!

아나운서 : 여기에서 어떤 것들을 중점적으로 보면 좋을까요?

연구사 : 가장 대표적인 작품 중에 하나인데요
       오른쪽에 보시면 계산무진이라는 작품입니다
       안동김문 중에 계산 김수근이라는 사람이 있어요
       그분에게 추사 김정희 선생님이 써주신 작품 중에 하나로
       공간과 글자의 조형미를 느낄 수 있는
       대표적인 작품 중의 하나입니다
정보자막 : 계산무진(溪山無盡)  - 계곡과 산은 끝이 없구나
       추사 선생이 계산 김수근에게 써준 것

추사 선생은 당쟁에 휩쓸려 10여 년간 유배 생활을 했는데요.
자막 : 당쟁에 휩쓸려 10여 년간 유배 생활

기나긴 유배 생활 속에서 완성된 추사체는
우리나라 서예사의 완결점이며
자유롭고 파격적인 조형미를 추구한 서체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정보자막 : 추사체 ? 추사가 평생에 걸쳐 완성한 서체,
 우리나라 서예사의 완결점, 자유롭고 파격적인 조형미를
 추구한 것으로 평가됨
        
선생의 글씨는 국내뿐 아니라
청나라의 문필가에게도 칭송을 받았는데요. 
자막 : 청나라의 문필가들도 칭송한 추사체

마침 기념관 2층에는
추사고택 종가유물 특별기획전이 열리고 있었습니다. 
정보자막 : 추사고택 종가유물 특별기획전

추사고택이 건립된 이후로 250년 만에
추사 김정희 선생 묘역 옆에서 열리는
추사고택 종가 유물 특별 기획전이기 때문에
아주 큰 의의가 있고요

이 전시회는 고택에서 발견된 추사 가문의
희귀 유물 20여 점을 선보이고 있었는데요.
자막 : 추사 가문의 희귀 유물 20여 점 선보여

추사고택의 변천사와 김정희 가문의 삶을 엿볼 수 있었습니다.
자막 : 추사고택의 변천사와 김정희 가문의 삶 엿보다

이제 특별기획전 명목으로는 2020년 3월부터 2020년 11월까지
(전시) 계획을 하고 있고요
정보자막 : 김정희 유물전시회 ? 2020년 국내 추사 관련 4개 지역(서울 예술의 전당, 과천 추사박물관, 제주 추사관, 예산 추사고택)에서 전시 계획 중

장소자막 : 추사고택
추사고택은 약 300년 전 추사 선생님의 증조부
월성위 김한신이 영조의 둘째 딸 화순옹주와 결혼하며
건립한 양반 대갓집입니다.
정보자막 : 추사고택 - 추사 선생의 증조부 월성위 김한신이
    영조의 둘째 딸 화순옹주와 결혼하며 건립한 것으로 알려진
    양반 대갓집

추사 선생이 태어나서 성장한 곳이라고 하는데요.

정황상으로는 추사 김정희 선생님께서
집안에 있는 제사나 아니면 독서를 하기 위해 낙향을 하셨을 때
이쪽(추사고택)에서 거주를 하셨고
관직이 있었기 때문에 아마 (평소에는) 서울에서 주로
거주하셨을 것으로 저희는 추정하고 있습니다

예산군은 예산이 낳은 위대한 예술가
추사 김정희 선생을 널리 알리기 위해
고택을 상시 개방하고 그 보존과 활용 가치를 높이고 있습니다. 
자막 : 예산군, 추사고택 상시 개방
      보존과 활용 가치 높여

고택 옆으로 오솔길을 올라가면
우리나라에 몇 그루밖에 없다는 백송이 자리하고 있는데요.

24세 때 아버지 유당 김노경을 따라서
청나라 연경으로 자제군관 역할을 하러 가세요
가면서 중국 북부지역이 원산지인 백송 씨앗을 가지고 오셔서
자신의 고조부의 묘역 앞에 심게 된 백송이
천연기념물 제106호로 지정된 예산 용궁리 백송입니다
정보자막 : 백송(천연기념물 제106호) - 추사 선생이 생부 김노경을 따라 청나라 연경에 다녀오면서 가져온 씨를 고조부 묘소 앞에 심은 것

고택 입구에는 추사체험관도 있는데요.
장소자막 : 추사체험관/ 예산군 신암면

방문객들을 위해 추사 선생의 대표작인 세한도 그리기,
추사체 쓰기 등 다양한 체험이 준비돼 있습니다.
자막 : 세한도 그리기, 추사체 쓰기 등 다양한 체험 제공

아이, 쑥스러운데 이렇게 됐습니다.
애초에 보물을 따라 그리는데 이상하게 나올 수가 없죠
정보자막 : 세한도/ 국보 제180호
          
고택 옆으로는 추사 선생과
초배인 한산이씨, 계배인 예안이씨의 합장묘가 자리하고 있는데요.
장소자막 : 추사 김정희의 묘 ? 추사 선생과 초배 한산이씨, 계배 예안이씨 합장묘

평생에 벼루 열 개를 밑창 냈고
붓 일천 자루를 몽당붓으로 만들었다는 추사 김정희 선생
그의 노력이 존경스럽습니다.

고즈넉한 추사 고택을 돌아보니까 
가을 정취를 흠뻑 느껴볼 수 있었는데요

여러분도 올가을이 가기 전
추사고택에 오셔서
조선시대 대예술가의 예술혼도 느껴보시길 바랍니다.

지금까지 대한민국의 중심
여기는 충청남도입니다!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