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전체기사

전체기사

충남넷 미디어 > 소통 > 전체기사

공주교육을 위해 헌신한 공주 교육인물 이야기

공주의 인물-2 교육자편 발간

2016.02.16(화) 15:27:48금강뉴스(swh1104@hanmail.net)

공주문화원 향토문화연구소(소장 이일주)는 역사와 자연 그리고 문화가 출중한 공주의 산하가 배출한 ‘공주의 인물-1’ 발간에 이어 ‘공주의 인물-2 교육자편’을 새롭게 발간했다.
 

공주교육을 위해 헌신한 공주 교육인물 이야기 사진


이 책에는 개화기 이전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교육도시라는 공주의 명성에 걸맞게 우리가 기억하고 기려야할 교육인물 11명을 선정하여 그들이 공주교육을 위해 헌신한 이야기들을 수록했다.

‘공주의 인물-2 교육자편’에 수록된 인물에는 △전재(全齋) 임헌회(任憲晦) 선생의 생애와 학문(백원철 공주대 명예교수) △운산서숙과 노이형(盧以亨)(이해준 공주대 교수) △화산 정규한(鄭奎漢)과 화산사(이해준 공주대 교수) △충청유학을 꽃 피운 고청 서기(홍제연 충남역사문화연구원 선임연구원) △개화기 공주의 초등교육 선구자 심기섭 선생(이일주 공주대 교수) △공주 근대 중등교육의 대부 우리암(禹利岩)(장길수 향토연구가) △공주 근대 여성 교육의 선구자 사애리시(장길수 향토연구가) △잊힌 독립운동가 김관회(윤용권 공주영명중학교 교사) △인재 양성의 길 황인식 교장(박철희 충남향토연구회원) △애국지사, 장로, 교육자로서의 삶 류제경 선생(노일선 공주향교 청년유도회원) △좋은 선생님은 한 분도 많다-연남(燕南) 김기평(金基平) 선생(나태주 공주문화원장)이 소개 되어 있다.

공주는 백제시대의 왕도였고 조선시대에는 충청지역의 행정중심지였기 때문에 훌륭한 교육자가 많았을 것으로 추정, 공주 사람들 중 공주의 교육인물을 선정하는 과정은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일이었다.

이에 공주문화원 향토문화연구소는 1차적으로 개화기 이전, 개화기, 민족항일기, 해방 후로 시기를 나눈 다음 ‘공주의 교육인물 선정' 기준으로 △공주에서 태어났거나 공주에서 거주하면서 오랜 기간 교육계에 헌신했던 인물 △각 시기별로 중요한 여러 교육 분야(유아·초등·중등·고등·민족·사범·여성·특수·실업교육 등)의 대표적 인물 △이미 작고했거나 현저히 나이가 많아(만 90세 이상) 세인들의 객관적인 평이 가능한 인물로 선정하되 만일 친일 등 반민족, 반국가적 기록이 있는 경우는 최종선정에서 제외했다고 공주의 교육 인물 선정 경위를 설명했다.

특히 “해방직전·후 공주의 여성교육에 크게 기여한 엄대섭 선생은 자료부족으로 최종편집에 포함 되지 못해 아쉬움으로 남았다”고 밝혔다.

이일주 소장은 “공주가 교육도시라는 점에 착안하여 ‘공주의 인물-2 교육자편’을 발간하게 됐다”며 “이번에 공주의 교육 인물을 선정하고 조명함에 있어 공주는 교육도시라는 지역정체성에 걸맞게 많은 교육인물이 있음을 재확인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이 소장은 “제한된 지면 등의 사유로 인하여 더 많은 인물들을 소개하지 못해 아쉽다”며 “차후 기회가 주어진다면 ‘공주의 교육인물 사전(가창)’ 발간을 시도해 보고 싶다”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해 발간한 ‘공주의 인물-1’에는 공주의 산하가 배출한 인물들의 생애와 업적 그리고 공주와의 깊은 인연들이 소개 되어 있다.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