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문화·역사

아산 현충사는 지금 무한변신 중 : 새롭게 재개관한 충무공 이순신기념관

충남 아산시 염치읍 백암리 298-1

2024.06.12(수) 12:18:18 | 경명 (이메일주소:jsh_letter@naver.com
               	jsh_letter@naver.com)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충무공 이순신 기념관′은 충무공 이순신 장군 위업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전시 공간입니다. 2023년 연말에 ‘충무공 이순신 기념관’이 전시관 리모델링을 위해 전시를 중단한다는 소식을 접한 적이 있습니다. 어떤 새로운 전시관으로 변모할까 늘 궁금했었는데, 이제야 새롭게 변신을 마치고 다시 개관 중인 충무공 이순신 기념관을 방문할 기회를 맞이합니다. 이곳이 어떻게 새로 바뀌었는지 제 기억 속 이순신 기념관과 비교하는 시간을 시작합니다.   

예전에는 충무공 이순신 기념관에서 전시 이야기를 만날 수 있는 곳은 교육관, 전시관이었습니다. 방문객 이동 동선 상으로 교육관 로비에서 이순신 장군 생애에 관한 전시와 더불어 작은 독서 공간을 먼저 이용할 수 있었는데, 지금은 평범한 쉼터 공간으로 운영하는 중입니다. 그렇게 교육관 공간을 살짝 먼저 둘러본 후 본격적으로 전시관으로 이동합니다. 

아산현충사는지금무한변신중새롭게재개관한충무공이순신기념관 1 아산현충사는지금무한변신중새롭게재개관한충무공이순신기념관 2▲ 새로운 모습으로 다시 개관 중인 충무공 이순신 전시관
 
<상설 전시실 1>

먼저 충무공 이순신 전시관 지상 1층을 둘러봅니다. 먼저 상설 전시실 1 입구에 들어선 후 가장 먼저 만나볼 수 있는 이야기는 아산 현충사에 관한 역사 이야기입니다. 1700년대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아산 현충사에 얽힌 배경과 서사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2022년 충무공 이순신 전시관에서 특별 전시로 소개한 적 있는 일제 강점기 시절 아산 현충사 보존 기금에 관한 이야기도 이제 이곳에서 같이 둘러볼 수 있습니다. 
 
상설 전시실 1 : 아산 현충사 역사▲ 상설 전시실 1 : 아산 현충사 역사

상설 전시실 1에서 안내하는 주제는 ‘이순신의 기억과 기록’입니다. 제 1부 기억과 자취는 지금까지 종가에 전해 내려오는 이순신 유품인 '요대 및 요대함', '복숭아 모양 잔과 받침', 그리고 '옥로'를 소개합니다. 제 2부 성장과 역경은 이순신 장군이 살아온 생애를 소개하며, 제 3부 가족과 조력자, 전우는 이순신 장군과 인연을 나누었던 주변 인물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그리고 제 4부 난중일기는 이순신 장군이 남긴 내면의 기록이자 당시 동아시아 국제 정세와 7년 전쟁에 대한 중요한 기록 문화 유산 '난중일기'를 전시합니다. 

아산현충사는지금무한변신중새롭게재개관한충무공이순신기념관 3▲ 상설 전시실 1 주제 : 이순신의 기억과 기록

이전과 비교해 가장 큰 차이점은 충무공 이순신 기념관이 디지털 전시관으로 완벽하게 변신했다는 점입니다. 1707년 숙종이 내린 현충사 현판도 감각적인 디지털 영상을 배경 삼아 더욱 돋보입니다. 1974년 정조가 이순신 장군을 기리며 손수 글은 지은 비석인 정조 어제신도비(상충정무지비)와 1906년 을사늑약에 저항하는 차원에서 지역 유림이 건립한 현충사 유허비도 디지털 영상을 통해 입체적으로 만날 수 있습니다.

아산현충사는지금무한변신중새롭게재개관한충무공이순신기념관 4▲ 상설 전시실 1에서 만나는 다채로운 디지털 영상 전시

가장 인상 깊은 공간은 바로 난중일기 전시 공간입니다. 조선을 쳐들어온 일본 수군에 맞서 긴박한 전쟁을 치러야 했던 당시 이야기를 생생한 기록으로 남겼던 난중일기 공간이 몰입도 높은 디지털 전시 공간으로 새롭게 탄생했습니다. 기존에 있던 생생한 역사 사료를 감상하는 동시에 디지털 전시를 통해 난중일기를 더 쉽고 입체적으로 만날 수 있는 순간이 참 좋았습니다. 

아산현충사는지금무한변신중새롭게재개관한충무공이순신기념관 5▲ 상설 전시실 1 : 제 4부 난중일기 전시 공간

그 외에도 이순신 장군 일화에 대한 학습 게임을 비롯해 상설 전시실 1 공간 곳곳에서 상영하는 여러 디지털 영상 자료를 접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이곳에서 전하고자 하는 ‘이순신 장군의 기억과 기록’ 순간을 누구나 편하게 감상하고 배울 수 있습니다. 

상설 전시실 1 : 아산 현충사 역사▲ 상설 전시실 1 : 이순신 8개 일화를 만나는 시간

<상설 전시실 2>
 
상설 전시실 1과 상설 전시실 2를 연결하는 연결 통로가 있습니다. 발밑에는 파도가 넘실거리는 통로를 지나 건너편 조선 수군 함대가 보이는 이곳에 들어섭니다. 이곳은 상설 전시실 2 주제인 ‘통제사 : 전장으로의 길’을 상징적으로 구현해 낸 디지털 영상 전시 공간입니다.

상설 전시실 2 : 통제사 : 전자으로의 길▲ 상설 전시실 2 : 통제사 : 전장으로의 길

이순신 장군이 1594년 한산도에 머물고 있을 때 태귀련과 이무생이 만들어 바친 칼로 알려져 있는 국보 이순신 장검은 상설 전시실 2에서 만날 수 있는 주요 전시 중 하나 입니다. 이 역시 예전과 전혀 다른 방식으로 더 깊이 느끼고 체험할 수 있도록 바뀌었습니다. 예전에는 안내 문구가 너무 작아 가독성이 떨어져 아쉬웠는데 이제는 잠시 발걸음을 멈추고 디지털 영상 자료를 시청하면서 더 차분하고 깊이 있는 수준으로 이야기를 만날 수 있답니다. 

상설 전시실 2 : 이순신 장검▲ 상설 전시실 2 : 이순신 장검

상설 전시실 2에서는 7년에 걸쳐 벌어졌던 임진왜란·정유재란, 이순신 장군이 치렀던 중요 전투, 당시 조선 수군이 보여준 진법, 배, 무기 등에 관한 다양한 사료를 소개합니다. 그냥 눈으로 보는 전시에 그치지 않고 관심 있는 키워드에 대해 직접 조작을 하면서 생생한 디지털 전시로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도록 잘 구현되어 있습니다. 

상설 전시실 2 : 조선수군 진법▲ 상설 전시실 2 : 조선 수군 진법 훈련

<명조 팔사품도 디지털 영상 상영 공간>

예전에 지하 1층 기획 전시실과 4D체험 영상실을 만나러 가는 길에 있던 이순신 장군 디지털 참배 공간은 명조 팔사품도를 영상으로 관람할 수 있는 공간으로 바뀌어 있습니다. 명조 팔사품도는 명나라 만력제 신종이 임진왜란 때 뛰어난 무공을 보여준 이순신 장군에게 보낸 여덟 종류 선물을 말합니다. 전라좌수영과 통제영의 거북선 영상과 더불어 명나라 황제가 보낸 귀도, 참도, 호두령패, 도독인, 독전기, 곡나팔, 청소령기, 홍소령기 이야기를 영상으로 관람할 수 있습니다.  

복도 전시 공간 : 명조 팔사품도 영상 관람 ▲ 복도 전시 공간 : 명조 팔사품도 영상 관람

<지하 1층:  기획 전시실과 실감 영상실>

지하 1층 기획 전시실과 4D체험 영상실은 이제 기획 전시실과 실감 영상실이란 이름으로 불리는 공간으로 바뀌었습니다. 기획 전시는 이순신 장군의 생과 업적에 관련한 이야기를 회화로 표현 한 작품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곳에서 전시하는 대형 벽화와 맞은편에 있는 여러 그림 작품 속 이야기를 만나며 쭉 걸어 내려가면 됩니다. 

기획 전시실▲ 기획 전시실 공간

실감 영상실은 이순신 장군 인생을 10분 동안 영상으로 소개하는 몰입형 전시 공간입니다. 의자나 바닥에 자유롭게 앉아서 관람할 수 있도록 설계된 이 공간에서 최근 기술로 선보이는 디지털 영상을 실감나게 체험할 수 있습니다.  

실감영상실▲ 실감 영상실

마지막으로 실감 영상실 바깥 공간은 방문객이 이순신 장군에 관한 책을 만나고 읽을 수 있는 작은 도서관이자 쉼터 공간입니다. 예전에 교육관 로비에서 이용했던 공간과 서비스였는데 이제는 바로 여기에서 이 공간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잠시 이곳에 앉아 쉬는 시간을 가지면서 새롭게 변신을 꾀한 충무공 이순신 기념관 이야기를 갈무리하는 시간을 갖습니다. 

작은 도서관 겸 쉼터 공간▲ 작은 도서관 겸 쉼터 공간


이순신기념관
충남 아산시 현충사길 126

 

경명님의 다른 기사 보기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경명님의 SNS]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