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문화·역사

한국 구석기를 깨우다 - 공주 석장리박물관

공주 석장리에서 발굴한 유적이 이야기하는 우리나라 구석기시대

충남 공주시 석장리동 475

2024.05.26(일) 22:56:51 | 하늘하늘 (이메일주소:sjycsm@naver.com
               	sjycsm@naver.com)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유유히 흘러가는 금강이 공주 공산성을 휘감아 돌고, 금강가 석장리에 우리나라 구석기시대 유적 발굴터에서 발굴된 유물과 유적 발굴이야기를 담아 놓은 박물관이 있습니다.

 " 공주 석장리박물관"

지난해에 석장리박물관과 입구의 전면적인 정비 작업 후 새롭게 문을 열어 우리들에게 우리나라 구석기시대 이야기를 전해주는 박물관을 돌아봅니다. 

석장리 박물관

▲ 석장리박물관 앞마당


석장리 구석기 이야기를 찾아 금강이 흐르는 공주시 석장리를 찾아갔습니다. 봄이 깊어가는 시간에 석장리박물관 앞마당에는 "석 - ㅅ, 장 - ㅈ, 리 - ㄹ" 붉은 이니셜이 서 있습니다.

석장리

▲ 석장리박물관 - 전시실 


이곳은 최근 리모델링하여 새롭게 오픈한 석장리 구석기 유적 전시관 - 박물관입니다. 외형은 옛 모습 그대로이나 내부 전시실은 새롭게 확 바뀌었답니다.

석장리

▲ 석장리박물관의 구석기인 동상 


석장리 유적의 발굴은 반만년으로 여겨왔던 이 땅의 역사가 구석기시대부터 시작되었음을 뚜렸하게 밝혀주는 역사적인 사건이었습니다.

석장리

▲ 석장리 유적 전시관 입구


새롭게 단장한 석장리박물관 입구에는 하얀 구석기인 조형물이 방문객을 반기고 있습니다.
석장리 유적 발굴은 우리나라 구석기시대를 처음으로 밝혀서 역사를 이어주는 쾌거였답니다.

석장리

▲ 석장리 구석기 유적 전시관


공주 석장리박물관은 2005년 5월에 전시관에서 박물관으로 승격하여 2006년 9월 26일 개관하였답니다. 현재 박물관은 1. 1964년 한국 구석기 연구의 시작, 2. 석장리 유적 발굴 이야기, 3. 구석기 뗀석기의 이해, 4. 실감영상실 - 구석기로의 초대, 5. 1964년 세계의 구석기 - 우리의 시작은... , 6. 한국의 구석기 - 한데유적과 동굴유적, 7. 파른 손보기 기념실. 이렇게 7개 주제로 전시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제1 전시실부터 석장리박물관을 돌아봅니다.

석장리

▲ 석장리박물관


1964년 한국 구석기 연구의 시작 전시실은 석장리 유적 발굴 연표와 디지털 아카이브 자료가 전시되어 있습니다. 어린 자녀와 함께 박물관을 방문한 부부가 아이에게 설명을 해주고 있네요.

석장리

▲ 석장리 유적 발굴 이야기


석장리 유적 발굴 이야기 전시실은 발굴의 의의와 성과, 유적 발굴 디오라마, 우리나라에서 처음 발견된 구석기시대의 뗀석기들이 잘 정리되어 전시되고 있습니다.

석장리

▲ 석장리 유적 발굴 도구


1964년부터 시작된 공주 석장리 유적 발굴에는 다양한 형태의 흙손과 흙칼을 사용하였답니다.

석장리

▲ 석장리 유적 발굴이야기 전시관


넓은 공간의 중앙에는 구석기 유적 발굴 당시의 여러 모습을 재현하여 놓았고, 벽쪽에는 발굴 유적과 발굴당시 사진을 잘 정리해 놓았습니다.

석장리

▲ 석장리 구석기유적 발굴현장


열악한 상황에도 연세대학교박물관 발굴요원들이 10차에 걸쳐 발굴을 진행할 때 현장 모습을 재현해 놓았습니다.

석장리

▲ 석장리 구석기 유적 박물관


석장리 구석기 유적 발굴에는 지질학, 물리학, 고식물학 등의 자연과학적인 방법이 적용되었답니다. 유적의 절대연대값을 얻을 수 있는 방사선탄소연대측정법과 자연환경 복원을 위한 꽃가루 및 식물 유체 분석 등이 시도되었답니다.

석장리

▲ 석장리 구석기 유적 박물관


석장리 유적이 발견되기 전까지 우리말 구석기 명칭이 없었습니다. 그러나 구석기 유적이 발굴되면서 '주먹도끼', '긁개' 등 한글 명칭이 부여되었답니다.

석장리

▲ 석장리 구석기유적 - 뗀석기 


석장리 유적 전시관에는 많은 종류의 구석기시대 유적인 뗀석기가 전시되어 있습니다.

석장리

▲ 석장리 구석기유적 발굴 현장 디오라마


파른 손보기 선생을 비롯한 연세대학교 박물관 발굴팀과 당시 공주 석장리 주민들이 힘을 합쳐 우리나라 구석기시대 유적 발굴하는 모습을 재현한 디오라마 입니다.

석장리

▲ 석장리 구석기박물관


구석기 뗀석기의 이해 전시관은 지층과 문화층의 이해, 석장리 유적 출토 뗀석기, 석기 제작 방법의 변화 과정, 뗀석기 체험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석장리

▲ 석장리박물관 전시실


구석기 시대 연구자들은 석기의 재료가 되는 돌감에서 떼어낸 조각을 격지, 격지를 떼고 남은 부분을 몸돌이라고 불렀으며, 찍개, 주먹도끼 등 몸돌 자체를 날카롭게 손질한 것을 몸돌석기라 부른답니다.

석장리

▲ 석장리박물관 - 창을 던지는 구석기인


구석기인들은 도구를 제작하는 데 끊임없는 기술 혁신을 시도하였고, 창은 그것을 가장 잘 보여주는 도구였습니다. 구석기인의 사냥은 필수적이지만 위험을 최대한 줄이기 위한 시도였답니다.

석장리

▲ 석장리박물관 - 후기 구석기인의 사냥 도구 창


안전한 사냥을 위해 원거리에서 던지는 나무창을 만들었으며, 창끝에 돌촉을 매달아 정확도와 살상력을 높였답니다. 그리고 더 멀리 던지기 위해 창던지개를 고안해 장착하기에 이르렀답니다.

석장리

▲ 석장리 구석 기유적 박물관 - 또 다른 세상으로, 매장


죽음을 관념적으로 인식하고 매장 의식을 치르는 것은 인류만의 특성입니다. 구석기시대에도 죽음은 슬픈 일이었으며, 네안데르타인들은 시신에 붉은 흙이나 꽃을 뿌렸답니다.

5, 6 전시실에는 문명을 밝히는 빛 - 등잔, 빙하기 생존 비밀 - 귀바늘, 멀리 던지는 기술 - 창, 한국의 구석기 유적발굴과 유적분포도 등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석장리

▲ 석장리 구석기시대 유적 박물관 - 파른 손보기 기념실


마지막 전시실은 파른 손보기 기념실로, 해방  이후 1940년대 말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폭넓은 분야에 걸쳐 주목받는 수많은 업적과 자취를 남긴 손보기 기념실입니다.

석

▲ 석장리 구석기시대 유적 박물관 - 유적 발굴 관련 발간물


파른 손보기 선생은 우리나라 구석기시대의 존재를 증명, 식민사학의 주장을 과학적이며 합리적으로 뒤집었습니다. "일본인의 식민사관에 의한 선사 편년은 근본적으로 재검토되어야 한다."라고 석장리 구석기시대 유적 1차 발굴 후 연세춘추 1964년 12월 7일자 기고문에서 주장하였답니다.

석장리

▲ 석장리 구석기시대 유적 박물관 - 파른 손보기 선생 물품


1922년 7월 7일 일제강점기에 태어난 손보기 선생은 연희전문학교 시설 스승인 손진태, 이인영 선생의 영향으로 우리 역사를 연구하기로 결심했으며, 식민사관을 극복하는 일을 평생의 목표로 삼았고, 1964년 유학을 마치고 연세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부임한 첫해, 선생은 공주 석장리 유적과의 운명적인 만남을 통해 우리나라 구석기시대의 존재를 증명하였습니다.

석장리

▲ 석장리 구석기시대 유적 박물관 - 석장리 발굴 유적을 연구하는 손보기 선생


파른, 한국 구석기고고학의 역사를 열다 - "스스로의 역사를 알아야 삶의 뜻을 찾을 수 있지요." ...
아주 옛날은 기록이 자연 속에 숨겨져 있지요. 여기서 선사학 - 고고학의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지요.
                   - 손보기, 2002 『 역사학에서 선사학으로』-

석장리

▲ 석장리 구석기시대 유적 박물관 - 출구 포토존


공주 석장리 유적 발굴은 이 땅의 역사가 구석기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는 사실을 뚜렷이 밝혀 주었으며, 석장리 연구는 계속되고 우리에게 많은 역사 이야기를 들려줄것입니다. 새롭게 단장하여 오픈한 석장리 구석기시대 유적 박물관 출구에서 포토존을 잡으며 박물관 관람을 마무리합니다.

석장리

▲ 석장리박물관 주요 시설 안내도 


공주 석장리박물관 주요시설은 방문자센터, 파른 손보기 기념관, 상설전시장(박물관), 체험학습관, 야외선사공원, 첫발굴지 등이 있습니다.


"공주 석장리박물관"
충남 공주시 금벽로 990

- 관람시간
3월 ~ 10월 : 09시부터 18시까지
11월 ~ 2월 : 09시부터 17시까지
(입장은 마감시간 30분 전까지)

- 관람료
일반 성인 : 3,000원 / 청소년 : 2,000원 / 어린이 : 1,000원
(매월 마지막 수요일 무료 관람)

- 휴관일

1월 1일, 설날, 추석날 

 

하늘하늘님의 다른 기사 보기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하늘하늘님의 SNS]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