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여행

놀랍고 흥미진진했던 행사, 〈2024 디지털 유산 페스타〉

우리의 역사·문화, 디지털 기술과 만나 축제가 되다!

충남 공주시 웅진동 347

2024.05.26(일) 23:59:08 | 나는 나답게 100% (이메일주소:yh1975@hanmail.net
               	yh1975@hanmail.net)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지난 5월 24일(금)~5월 26(일) 공주시 아트센터 '고마'에서는 '2024 디지털 유산 페스타'가 열렸습니다. '2024 디지털 유산 페스타'는 공주시가 개최하고, 국가유산청(옛 문화재청)과 충청남도, (재)백제세계유산센터가 후원했으며, 국립공주대학교 공주학연구회가 주관한 행사였습니다. 디지털 기술과 만난 우리의 역사와 문화를 한자리에서 즐길 수 있었습니다.

2024 디지털 유산 페스타가 개최된 아트센터'고마'
▲ 2024 디지털 유산 페스타가 개최된 아트센터'고마'

헤리티지상품마켓과 공주장터
▲ 헤리티지상품마켓과 공주장터

푸드트럭
▲ 푸드트럭

2024 디지털유산 페스타 행사는 전시회, 초청전, 미래교육, 콘퍼런스, AI 헤리티지 공모전, 헤리티지 EDM 등으로 구성되었습니다. 행사 첫날 아트센터고마에 도착해 보니, 야외 행사장은 10개소의 푸드트럭과 공주장터, 20개소의 헤리티지상품마켓이 자리 잡고 있어서 축제 분위기를 물씬 느낄 수 있었습니다.

행사 내용과 행사장을 둘러보기 위해 팸플릿을 받아서 읽다 보니, '헤리티지(Heritage)'라는 단어가 자주 보여서 검색해 보니, 국가·사회의 유산을 뜻하는 영어 단어였습니다. 그 외에 팸플릿에서 발견한 몇 개의 단어는 행사장을 둘러보기도 전에 다른 세상에 들어온 듯 생경함을 느끼게 했습니다.

캠핑존과 피크닉존
▲ 캠핑존과 피크닉존

아트센터고마 야외 주무대를 중심으로 30동의 캠핑존과 50개소의 피크닉존이 꾸며져 있었습니다. 나무 그늘에 자리 잡고 여유롭게 시간을 보내는 방문객들을 보니, 디지털 기술이 가져다주는 혜택의 일면을 보는 듯했습니다.

참여하지는 못했지만, 5월 25일(토) 19시부터 22시까지 이곳에서는 K-POP(한국 가요) 변천사를 EDM(일렉트로닉 댄스 뮤직)으로 만나는 행사를 했다고 합니다. 세계로 뻗어나가는 우리의 K-POP도 문화유산의 하나로 받아들여지는 순간이었겠지요?
 
1층 디지털유산 전시회: 산업페어&연구성과전

아트센터고마 1층 전경
▲ 아트센터고마 1층 전경

산업페어&연구성과전
▲ 산업페어&연구성과전

아트센터고마 1층과 3층에서는 디지털로 만나는 국가유산, 인공지능 시대의 디지털유산, 사진측량 전문가가 되는 길, AI를 활용한 문화유산 보존과 향유 등의 주제로 디지털유산과 관련한 심포지엄, 포럼, 세미나, 워크숍, 포럼 등이 열렸습니다. 18개의 기관과 단체에서 참여한 산업페어와 연구성과전도 열렸으나, 접근하기 쉬운 분야는 아니어서 적극적인 체험활동은 하지 못했습니다.

2층 디지털유산 처청전&AI 헤리티지 공모수상전

AI 헤리티지 공모수상전 행사장
▲ AI 헤리티지 공모수상전 전시장 1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AI헤리티지 공모수상전
▲ AI헤리티지 공모수상전 전시장 2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AI헤리티지 공모수상작
▲ AI 헤리티지 공모수상작 (왼쪽 위쪽부터 시계방향으로 금상, 동상, 입선, 동상 作)

2층 소규모 갤러리에서는 AI 헤리티지 공모 수상전도 열리고 있었습니다. 생성형 AI 기술로 우리의 국가유산을 재탄생·재해석하여 디지털유산으로서의 가치를 부여하고 새로운 콘텐츠를 창조해 낸 AI 헤리티지 공모수상전은 이미지 부문과 영상부문으로 나누어 전시 중이었습니다. 하루에 많은 것을 보고, 듣고, 배우고 가야해서 시간을 충분히 갖고 모든 작품을 볼 수는 없어 아쉬움이 컸습니다. 간단히 이미지 부문 수상 작품만 살펴보았는데요, 수상자명, 작품 이름 외에 '사용툴'이 소개돼 있었습니다. '인공지능 기반 이미지 생성 툴'을 검색을 해보니 포토샵과 일러스트를 다루지 못하지만, 시각화를 포기할 수 없을 때 사용하는 것으로 검색하는 시간을 단축하는 장점도 있다고 나옵니다.

수상자들은 'Midjourney'나 'ChatGPT-DELL', 'DALL-E 3', 'EVOTO' 툴을 사용했다고 하는데, 잘 기억해 두었다가 조금씩 접해보고 싶습니다. 언젠가는 충남도민리포터들도 이러한 툴을 활용해 더 수준 높은 기사를 작성하는 날이 올 듯합니다.

디지털유산 초청전 행사장
▲ 디지털유산 초청전 행사장 가는 길

디지털유산 처청전 행사장 전경
▲ 디지털유산 초청전 행사장 전경

맞은편 규모가 큰 갤러리에서는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레이징덕(주), 충남문화교육협동조합 잇다, (주)스쿱, 아이콩 스튜디오가 참여한 디지털유산 초청전이 열리고 있었습니다. 평일 낮 시간대라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은 거의 볼 수가 없어서 '교과 과정에서 배우겠지만, 행사 개최 타이밍이 잘 맞았더라면 더 좋았을 텐데.'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3층 디지털유산 미래교육

디지털유산 미래교육 행사장 풍경 1
▲ 디지털유산 미래교육 행사장 풍경 1

3층에서는 메타버스, 빅데이터, AI 등의 미래산업 분야와 관련된 다양한 디지털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고, 학생들에게 국가유산의 흥미를 북돋아 줄 수 있는 체험교육 전시가 진행 중이었습니다. 학부모님들의 관심이 높아질 수밖에 없는 공간이었어요.

충남 AI교사연구회를 비롯해 (주)라이프스킬즈&충남문화유산콘텐츠 협동조합, 부여진로직업체험지원센터, 엘리오로봇틱스, 다빈치창의융합연구소, 상명대학교, 아름누리아카데미 사회적협동조합, (주)코코드론 등 13개의 기관과 단체가 참여하고 있었습니다.

디지털유산 미래교육 행사장 풍경 2-1
▲ 디지털유산 미래교육 행사장 풍경 2-1

디지털유산 미래교육 행사장 풍경 2-2
▲ 디지털유산 미래교육 행사장 풍경 2-2

충남 AI 교사연구회에서는 핑퐁로봇을 AI음성인식으로 움직여 충청남도 지도를 따라 행정 구역별 문화유산을 찾고 퀴즈를 푸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습니다. 퀴즈를 풀고 나니 정답자에게는 작은 선물이 주어졌습니다.

디지털유산 미래교육 행사장 풍경 3-1
▲ 디지털유산 미래교육 행사장 풍경 3-1

디지털유산 미래교육 행사장 풍경 3-2
▲ 디지털유산 미래교육 행사장 풍경 3-2

옆 부스에서는 도민리포터 기사글에서 자주 접했던 예산향교와 석오 이동녕 선생을 '이미피케이션·실감형 콘텐츠로 즐기는 예산향교와 석오 이동녕 선생'으로 만나게 되었습니다. 애니메이션, 퀴즈, 360° VR이 결합된 콘텐츠였습니다. 어린이들에게는 잘 알려지지 않은 독립운동가 이동녕선생에 대해 쉽게 접근할 수 있을 듯했습니다.

디지털유산 미래교육 행사장 풍경 4▲ 웹 기반 실감형 콘텐츠, '예산향교'

웹 기반 실감형 콘텐츠인 '예산향교'도 관심을 두고 살펴봤습니다. 애니메이션, 퀴즈, 360° VR이 결합된 콘텐츠로 방문하기 전에 다양한 지식과 정보를 얻을 수 있을 듯했습니다. 홍살문에 관한 부분만 잠시 보다 살폈는데, 어른들도 금세 빠져들 만큼 풍성하고 재미난 구성이었습니다.

디지털유산 미래교육 행사장 풍경 5
▲ 4컷 만화 제작하기

그 밖에도 국가유산을 3D로 만들고 출력하기, 인공지능 레고블럭을 이용해 박물관을 제작하고 활용하는 방법 체험, 내 모습을 예술 작품으로 바꿔주는 인공지능 아트 트랜스퍼 활동 및 사진 출력, 인공지능 웹툰 플랫폼 투닝(TOONING)을 활용해 국가유산을 주제로 4컷 만화 제작하기 등 과정은 힘들지만, 결과물은 대만족을 한 체험 프로그램이 운영되었습니다.

'2024 디지털유산 페스타'를 통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콘텐츠들의 미래를 살짝 엿본 듯합니다. 개인적으로 새로운 것을 받아들일 때는 설렘과 두려움이 동반되던데요, 이번 행사에 참여하고 나니 두려움은 반감되고, 설렘은 배로 커진 것 같습니다. 귀중한 경험을 잘 살릴 수 있도록 앞으로도 이런 기회가 있으면 적극적으로 참여할 생각입니다.

 
아트센터고마
충남 공주시 고마나루길 90

 

나는 나답게 100%님의 다른 기사 보기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나는 나답게 100%님의 SNS]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