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여행

보령 오천 충청수영성과 오천항 풍경

충남 보령시 오천면 소성리

2024.05.22(수) 08:25:34 | 하늘나그네 (이메일주소:jtpark2014@daum.net
               	jtpark2014@daum.net)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보령시 오천은 경상수영, 전라수영과 함께 3대 수군절도사영의 하나인 충청수영이 있던 곳이다. 수영은 지금의 해군사령부와 비슷하다.

 

오천의 충청수영성(보령 9 )은 조선 초기부터 고종 33(1896)까지 운영되었고, 그 규모는 군선 142척과 수군은 총 8,414명에 이르렀다고 한다. 충청수영은 한양으로 가는 조운선을 보호하고 왜구침탈을 방지했으며, 근대에는 이양선을 감시하는 등의 역할을 했다. 길게 늘어선 충청수영성은 천수만 입구와 어우러져 경관이 수려하고, 서문 밖은 병인박해 때 천주교 신부 다섯 명이 순교한 곳이다.

 

충청수영성의 가장 메인이라고 할 수 있는 영보정은 고풍스러운 멋을 담은 천하절경이다. 영보정(永保亭)은 영원히 보전한다는 뜻으로 천험(天險)에 의지해 나라를 보존하고, 경관의 풍류 또한 지킨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다산 정약용이 세상에서 호수·바위·정자·누각의 뛰어난 경치를 논하는 사람들은 반드시 영보정을 으뜸으로 꼽는다라고 했을 정도로 극찬을 받아왔던 누각이다.

 

영보정 위에서 바라보는 오천항의 풍경은 이루 말할 수 없다. 호수 같은 바다, 활짝 트인 경치를 자랑하는 미항이다. 오천항은 만의 깊숙한 곳에 위치해서 방파제 등 별도의 피항시설이 필요 없을 만큼 자연적 조건이 좋은 곳이다. 보령 북부권의 삶과 생활의 중심지인 오천항은 천수만 일대 주요 어항으로 역할을 다하고 있으며 국내 최대 키조개 생산지이기도 하다.

 

하늘나그네님의 다른 기사 보기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하늘나그네님의 SNS]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