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정책/칼럼

두꺼비이야기

2021년 3월 짝짓기와 5월에 태어난 새끼두커비. 촬영지 충남 논산시 양촌면 반곡리

2021.05.24(월) 21:33:47 | 松山 (이메일주소:5songsan@hanmail.net
               	5songsan@hanmail.net)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전설이 무궁한 두꺼비 이야기

두꺼비에 관한 기록은 비교적 일찍부터 나타난다. 『삼국사기』 신라본기에는 애장왕 10년 6월에 개구리와 두꺼비가 뱀을 먹는 사건이 기록되어 있고, 백제본기에는 의자왕 20년 4월에 개구리와 두꺼비 수만 마리가 나무 위에 모였다는 기록이 있다. 『삼국유사』 권3의 전후소장사리조(前後所將舍利條)에도 지장법사가 가져온 사리와 가사를 지키는 동물로 기록되어 있다.

두꺼비이야기 1
▲ 3월3일 : 두꺼비 짝짓기

두꺼비이야기 2

이처럼 두꺼비는 나라의 흥망을 나타내는 조짐으로, 또는 불보(佛寶)를 보호하는 신령스러운 동물로 기록에 나타나고 있다. 민간에서는 두꺼비가 나오면 장마가 든다고 하고, 두꺼비를 잡으면 죄가 된다고도 한다.

영남지방에서는 두꺼비가 허물을 벗는 것을 보면 길하다고 여긴다. 또한, 두꺼비는 의뭉스럽고 지혜 있는 동물로 인식되었다. 두꺼비의 지혜를 다룬 설화는 매우 많다. 떡 한 시루를 쪄놓고, 내기를 해서 이기는 쪽이 혼자 먹기로 했는데, 두꺼비가 승리한다는 내용 <여우·너구리·두꺼비의 떡다툼>이 유명하다.

너구리가 자기의 키가 하늘에 닿았다고 하면, 여우는 하늘 밖에까지 올라갔다고 하고, 두꺼비는 여우에게 그때 너의 머리에 뭉실한 것이 있지 않더냐고 묻고 여우가 과연 그런 것이 있었다고 하면, 그것이 내 불알이라고 한다.

두꺼비이야기 3▲ 짝을찾는 두꺼비 

또, 너구리가 태고적에 났다고 하면 여우는 당고적에 났다고 하고, 두꺼비는 큰 자식은 태고적에 죽고 작은 자식은 당고적에 죽었다고 한다. 술 먼저 취하는 내기에서도 너구리가 밀밭 근처에만 가도 취한다고 하면, 두꺼비는 벌써 취한 듯 몸을 흔들거리며, "나는 너의 말을 듣고 취했다"라고 한다.

이렇게 두꺼비가 이겨서 떡을 혼자 먹었기 때문에 배가 불룩해졌으며, 떡고물만 받은 여우와 너구리가 화가 나서 이를 두꺼비의 등에 뿌리고 밟았기 때문에 두꺼비의 껍질이 우툴두툴하다는 것이다.

두꺼비이야기 4

이 밖에 두꺼비는 은혜를 갚을 줄 아는 동물이고 신비한 능력을 갖춘 동물로도 나타난다. 전국에서 조사된 <두꺼비 보은>이라는 설화는 두꺼비에게 밥을 나누어주던 처녀가 마을 당신(堂神)의 제물로 바쳐지게 되었을 때, 따라가서 사람을 잡아먹던 지네를 죽이고 자기도 죽었다는 이야기이다. 여기에 등장하는 두꺼비는 은혜를 갚을 뿐 아니라 한 마을의 화근을 제거하는 영웅적 행위를 한 동물이기도 하다.

두꺼비이야기 5▲  짝짓기 경쟁 : 암컷 1마리에 달라붙은 수컷들

한편, 시가에도 두꺼비는 많이 등장하여 두꺼비의 행태를 묘사한 작품이 여러 수 전한다. 민요에도 두꺼비 노래가 많은데, 대전광역시 대덕구에서 조사된 <두꺼비 노래>는 두꺼비의 외모를 두꺼비와의 대화체로 설명한 것이다. “두껍아 두껍아 네 몸뚱이는 왜 그렇게 울퉁불퉁하느냐 세천오입을 갔더니 봉놋방에서 자서루 옴이란 놈이 올라서 울퉁불퉁하지요.”또한, 아이들은 흙 속에 주먹을 묻고 집을 짓는다고 하며 두꺼비에게 헌집 줄게 새집 달라는 내용의 노래를 부르거나, <두꺼비 집이 여문가>라는 동요를 부르기도 한다.이처럼 두꺼비는 많은 우화·민담·민요 등의 주인공이 되어서 의뭉하고 둔하면서도 슬기롭고 의리 있는 동물로 형상화되고 있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두꺼비이야기 6
▲ 짝짓기가 끝나고 알을 낳기위해 인근 저수지로 이동중이다.

짝짓기가 끝나고 산란을 하려고 둠벙으로 향하는 두꺼비 암컷 ~ 여기까지가 3월에 모습이다.

두꺼비이야기 7
▲ 5월16일 촬영 : 두꺼비 아가 탄생

두꺼비는 3월에 둠벙에 알을 낳고 그알이 물속에서 올챙이로 살다가 이렇게 아기 두꺼비로 성장해 육지로 올라와 숲 속으로 이동 한다. 두꺼비 새끼몸통의 크기는 약 1cm 정도다.

두꺼비이야기 8
▲ 물속에서 올챙이로 살다가 두꺼비 개구리가 되어 육지로 올라와 산으로 이동하는 새끼두꺼비 

두꺼비이야기 9
▲ 한마리는 장애물을 오르려 하고 한마리는 오르려다 지쳐 다른 길을 찾으려는 모습

두꺼비이야기 10
▲ 둠벙에서 나온 새끼두꺼비가 숲으로 가기위해 장애물(콩크리트벽)을 넘으려 한다.

두꺼비이야기 11
▲ 땅 바닥에 종이를 깔아놓고 새끼가 오른뒤 촬영. 몸통은 약 1cm 정도다.

두꺼비이야기 12
▲ 새끼두꺼비들이 둠벙에서 올라와 도로(차도)가에 콩크리트 장벽을 넘어 인근 숲으로 이동중
 
두꺼비이야기 13

두꺼비이야기 14

지난 3월에 오른쪽 산쪽에서 짝짓기를 하고 도로를 건너 왼쪽 둠범에서 산란을하고 다시 산란한 어미두꺼비는 이 도로를 건너 산으로 올라갔다. 그리고 5월중순 비오는날이면 새끼두꺼비들 수천마리가 이 도로를 건너 산으로 가는거다.

두꺼비이야기 15
▲자연보호논산시협의회에서는 두꺼비 보호를 위해 도로 상,하에 이같이 현수막을 설치하고 홍보를 하였다.
 
두꺼비이야기 16
▲ 이때 갑작이 나타난 참개구리들 몇마리가 관측되었다. 새끼두꺼비를 잡아먹기 위해선가?

두꺼비이야기 17
▲ 한마리는 웅크리고 앉아있고 두마리는 죽은듯 뒤집어졌다.

두꺼비새끼를 잡아먹고 중독되어 죽은건가?
 

松山님의 다른 기사 보기

[松山님의 SNS]
  • 페이스북 : https://www.facebook.com/jeongkeun.oh.1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