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도정뉴스

도내 버스이용 활성화 교통정보체계 구축해야

충남연구원,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제안

2016.05.12(목) 17:16:04 | 충청남도 (이메일주소:chungnamdo@korea.kr
               	chungnamdo@korea.kr)

도민의 편리한 버스이용과 대중교통 활성화를 위한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충남 버스교통정보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전문가의 제안이 나왔다.
 
현재 시?군 지자체에서는 버스교통정보체계(Bus Information & Management Systems, 이하 ‘BIMS’)를 구축하고 싶어도 열악한 재정현황 때문에 부담을 가질 수밖에 없다. 더구나 중앙정부 지원은 총사업비의 20~30% 수준에 그치기 때문이다.
 
12일 충남연구원 지역도시연구부 김원철 책임연구원 등 연구진은 충남리포트 221호에서 “클라우드 컴퓨팅은 수집되는 정보를 인터넷 상의 가상서버에 저장하고 이를 각 IT 기기를 통해 이용하는 개념”이라며 “시?군별 버스정보센터를 구축하지 않고 도내 1개의 가상센터만 두어 모든 시?군의 버스운행정보를 직접 연결되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김 연구원 등 연구진은 “이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BIMS는 기존 시?군별 단독 운영센터와 비교해 △시스템 구축?유지?관리, △서버 구매?설치, △운영?관리 등 전반적인 사업비 절감 효과가 클 것”이라고 내다봤다.
 
현재 충남의 BIMS는 천안, 아산, 보령 등 3개 지역에만 일부 구축되어 있는 수준이며, 타 시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상황이다.
2014년 8월 기준으로 이 3개 지역을 운행하는 버스 1119대의 43.9%인 491대에 운행단말기가, 정류장 8319곳의 3.3%인 271곳에만 운행단말기가 설치되어 있다.
 
김 연구원 등은 “이는 버스를 이용하는 도민에게 제공할 버스 운행정보 뿐만 아니라 연계정보 활용이 부족하다는 의미”라며 “궁극적으로 대중교통 활성화의 저해요인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충남 BIMS는 각종 버스운행정보 등을 바탕으로 합리적인 대중교통정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해 준다”며 “무엇보다 버스이용자는 버스노선?목적지?경유지 정보 등을 제공받음으로써 버스이용의 편의성이 증진되고, 실시간 버스운행정보 제공으로 대기시간 감소 등 시간 활용이 좋아지게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또한, “버스업체는 노선 배차 간격, 노선 조정 등 버스 운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도민의 버스 이용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제공부서
기획조정연구실
041-840-1123
 

 

충청남도님의 다른 기사 보기

[충청남도님의 SNS]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