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농업정책

‘3농’은 ‘평화’다

3농포럼 의미와 희망

2015.10.02(금) 15:53:31 | 도정신문 (이메일주소:deun127@korea.kr
               	deun127@korea.kr)

평화는 곡식을 나눠 먹는 의미
농업은 인류 생명과 삶의 조건
아시아 평화공동 매개체 ‘3농’

 
우리 모두는 오곡이 풍성하게 영그는 가을하늘의 대지처럼 평화를 추구한다. 그런데 따지고 보면 우리가 추구하는‘평화(平和)’의 뜻도 곡식(禾)을 모든 사람(口)이 골고루(平) 나눠 먹는 것을 의미한다. 풍족한 곡식을 모든 사람들이 함께 즐겁게 나눠 먹는 것이 평화의 출발이자 끝이다.

본래 아시아국가, 특히 한국과 중국과 일본은 운명적 평화공동체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지난 세기 근대화과정을 거치면서 많은 상처와 아픔을 겪었다. 이러한 비극의  원인은 동아시아적 평화공동체의 정체성을 상실한 결과다.

농업과 농촌은 오랜 전쟁과 급격한 산업화로 인해 폐허나 다름없이 방치됐다. 그 과정에서 농민은 소외되고 내부‘식민화’됐다.

그런데 더욱 중요한 사실은 현대 자본주의 물질문명이 극단으로 치달을수록 불안한 먹거리, 환경과 생태 파괴, 에너지의 고갈, 공동체의 해체 등으로 우리 사회와 인류는 더 이상 지속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깨닫게 됐다.  

충남도가 도정의 제일 목표로 삼은 3농혁신은 이러한 배경에서 시작됐다. 충남도의 전체 인구 가운데 농업인 인구는 얼마 안 되지만 농업과 농촌의 발전 없이는 어떠한 성장과 발전도 한계가 있음을 명확히 했다. 이에 그 동안 농정에서 소외되어 왔던 농어업인이 농정의 주인으로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일본과 중국도 함께 겪고 있다. 일본 정부는 패전 이후부터 현재까지 농업과 농촌발전을 위해 다양한 지역정책 사업을 펼쳤다. 하지만 현재 일본 농촌지역도 극심한 고령화와 과소화로 어려움에 직면했고 식량자급률도 지속해서 하락하고 있다.

중국 또한 연해안지역과 내륙지역, 도시와 농촌지역, 부자와 빈자 간의 소득 격차는 점점 심화되어 국가적 문제로 부상했다. 이 때문에 후진타오(胡錦濤) 전 주석은 ‘3농문제’ 해결을 중국에서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로 설정했다.

물론 한·중·일 3국에서 말하는 3농의 구체적 내용은 다르나  농업은 인류의 생명을 책임지는 식량창고이고 농촌은 유구한 역사와 삶의 터전이며 농민은 대지를 지키는 파수꾼이라는 인식은 같다. 그래서 ‘3농’은 곧 ‘평화’다.

안희정 지사는 지난 광복절 70주년 행사에서 21세기 새로운 ‘아시아 평화 공동체’ 구성을 비전으로 제안했다. 이러한 아시아 평화공동체를 구성하는 데 가장 좋은 매개체는 바로 ‘3농’이다. 오늘날의 유럽공동체가 태어난 것도 농업문제에서 비롯됐듯 동아시아 국가들도 ‘3농’을 통해 공존과 번영을 추구한다면 반드시 아시아 평화 공동체는 실현될 것이다.
 
 
 

도정신문님의 다른 기사 보기

[도정신문님의 SNS]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