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사는이야기

아산 현충사, 충무공이순신기념관

2015.04.20(월) 09:16:55 | 쟈스민 (이메일주소:mee0102@naver.com
               	mee0102@naver.com)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아산현충사충무공이순신기념관 1

봄이면 매화와 산수유, 개나리, 목련, 수양벚꽃이 반기고 가을이면 노오란 은행나무가 반기는 현충사.

그래서 알록달록 꽃대궐을 이루는 봄에는 나들이를 나온 친구나 가족단위들이 참 많았다. 작년 한 해 영화 '명량'으로 충무공 이순신의 삶이 재조명되기도 했는데 이순신만큼 우리에게 친근한 역사적인물도 없지 않나 싶다.

지금은 사라진 500원짜리 지폐에는 그의 얼굴과 거북선이 있으며 우표와 담배에도 치열했던 임진왜란의 모습과 거북선이 담겨있다.

나들이를 떠나기 좋은 계절에 충무공탄신일(4.28)을 즈음하여 아이들과 함께 사당 바깥에서는 봄나들이를 즐기고 충무공이순신기념관에서는 이순신과 임진왜란을 통해 애국심을 배우면 좋을 듯 싶다.

 

아산현충사충무공이순신기념관 2
현충사의 봄꽃들이 궁금해서 간 곳이었는데 이곳의 너른 잔디나 오색 다양한 봄꽃들도 좋았지만 진입로부터 현충사 사당까지 터널을 이루는 소나무가 참 멋스럽고 좋았다. 그 소나무들은 한결같던 충무공의 충정과 기개를 닮았다고 해야할까?
 

아산현충사충무공이순신기념관 3
현충사는 충무궁 이순신장군의 정신과 위업을 선양하기 위한 곳으로 1706년 아산 지역의 유생들이 조정에 청하여 허락을 받아 세운 사당이라 한다. 현충사라는 현판은 1707년 숙종임금이 내렸다.
 

아산현충사충무공이순신기념관 4
1868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헐렸고 일제강점기때 충무공의 묘소와 위토가 또 한 번의 위기에 처해진 것이 동아일보에 보도되면서 성금을 모아 묘소와 위토를 되찾았고 1932년 현충사를 세우게 되었다고 한다. 그 이후 충무공탄신일인 4월 28일에 다례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아산현충사충무공이순신기념관 5
현충사에서 내려오면 충무공이 21세 때 혼인하고 32세 때 무과에 급제할 때까지 살았던 옛집이 있다. 일부는 개수를 하였고 뒤편에는 충무공의 위패를 모신 가묘가 있으며 해마다 이곳에서 기제사를 모신다고 한다.
 

아산현충사충무공이순신기념관 6
▲ 충무공이순신기념관, 임진장초(국보 제76호)
충무공이 임진왜란 중  주요 전투의 출전 경과와 전과 보고 등에 대해 조정에 보고한 문서인 장계를 다른 사람이 옮겨 적은 것이다.

 

아산현충사충무공이순신기념관 7
▲ 충무공이순신기념관, 난중일기(국보 제76호)
충무공이 임진왜란이 일어난 해인 1592년1월1일부터 전사하기 이틀 전인 1598년 11월 17일까지 7년간의 생활을 기록한 일기이다.

 

아산현충사충무공이순신기념관 8
▲ 충무공이순신기념관, 이충무공전서 전라좌수영 귀선도
임진왜란을 승리로 이끈데 크게 기여한 거북선의 첫 기록은 [태종실록]에 나와 있고 거북선이 다시 역사에 등장한 것은 임진왜란을 앞두고 전라좌수사로 있던 이순신장군이 만들면서부터라고 한다.

 

아산현충사충무공이순신기념관 9
▲ 충무공이순신기념관, 과거 500원 지폐에 사용된 이순신의 얼굴과 거북선
 

아산현충사충무공이순신기념관 10
▲호국의 꽃이라 불리는 수양벚꽃
난중일기에는 활을 만드는데 사용되었던 "화피(벚나무 껍질)" 에 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아산 현충사, 충무공이순신기념관
충남 아산시 염치읍 현충사길 126

 

 

쟈스민님의 다른 기사 보기

[쟈스민님의 SNS]
  • 페이스북 : http://facebook.com/mee0102
  • 트위터 : http://twitter.com/mee0102
  • 미투 : http://me2day.net/mee0102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