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도정뉴스

“80년 영욕 마감하고 새로운 역사 쓴다”

공주-대전-내포, 도청 이전 80년의 기록

2012.12.26(수) 14:49:46 | 충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이메일주소:https://www.ctia.kr/
               	https://www.ctia.kr/)

  도청 이전은 충남의 패러다임 바꾼 역사적 사건

강산이 8번이나 바뀔만한 세월이 흐른 지금, 충남도는 발자취를 뒤로 하고 새로운 100년을 시작하고 있다. 사실 대전의 역사는 충남도청의 이전으로부터 시작된다고 해도 과언일 만큼 충남의 역사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도청이 공주에서 대전으로 이전함으로써, 대전은 행정을 포함한 모든 충청인들의 삶의 중심지로 탈바꿈하게 된다. 단순히 도청건물이 옮겨온 것이 아니라 충남의 패러다임 자체를 바꾼 일대 역사적인 사건이었던 것이다.

이제 충남도청은 대전의 시대를 마감하고 내포시대를 새로이 연다. 이 역시 단순히 건물의 이전행위로 그치는 것이 아니다. 새로운 충남의 역사를 만들어 나가는 패러다임의 변화다. 이러한 중대한 변화의 고비에서 지난 80년간 충남도청사를 둘러싸고 어떠한 일들이 있었는가 재정리해본다.
<편집자주>

80년영욕마감하고새로운역사쓴다 1

▲ 2012년 내포신도시의 이전을 앞둔 충남도청사의 전경.
 

80년영욕마감하고새로운역사쓴다 2

▲ 1913년 공주에 있던 충남도청사의 모습. 도청의 정문에 해당하다는 포정사의 전경.

 

1930년대 초창기 충남도청사의 전경.

▲ 1930년대 초창기 충남도청사의 전경.

 

1960년대 3층으로 증축한 충남도청사의 모습.

▲ 1960년대 3층으로 증축한 충남도청사의 모습.


 

1960년 3층으로 증축공사를 하는 도청의 모습.

▲ 1960년 3층으로 증축공사를 하는 도청의 모습.


 

도청을 공주에서 대전으로 이전하는 예산안이 1931년 3월 13일 일본의 귀족원 본회의에서 가결되면서 도청사의 건축이 가시화되기 시작했다. 충남도는 당시 낮은 구릉지대였던 대전시 중구 선화동 일대 1만평을 매입해 청사신축을 준비했다.

건물은 연와조(煉瓦造) 지상 2층에 지하 1층 1개동이며 지하 42평, 1층 718평, 2층 690평에 연건평 1451평의 규모로 설계됐다. 정면 55칸, 측면 33칸의 E자 형으로 계획되었는데, 일제 강점기 당시 관공서의 전형적인 모형이 E자 형이거나 뫼산(山)자 형이었다. 지붕을 철근 콘크리트 평지붕 마감으로 했는데 아마도 증축을 내다본 설계로 보여진다.

그러나 아쉽게도 이 설계도는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 일제가 패망하면서 철수할 때 설계도를 가지고 갔다고 한다. 김수진 전 충남부지사는 “설계도가 없어 1960년에 증축할 때, 건물이 하중을 얼마나 견딜 수 있는지 알 수 없어 지붕을 양철로 씌웠다”고 말한다.

도청 상량식은 1931년 12월 12일 거행됐다. 공사를 시작한지 6개월만의 일이었다. 그리고 마침내 그해 9월 10일 드디어 청사의 준공을 보게 되었다.

당시 현대적 관공서의 모델

2002년 근대문화유산으로 등록된 충남도청의 구조는 중앙출입구를 중심으로 좌우대칭이다. 처마 난간대에 수평돌림대 장식이 있고 외관은 당시 유행한 스크래치 타일로 마감했다. 안으로 들어가면 양쪽이 아치형으로 되어 있고 중앙의 내부 계단 위에도 아치형으로 장식 돼 있다.

목원대 건축학과 김정동 교수는 “외장 타일은 속칭 ‘재봉선 타일’이라고도 불렀는데,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에 의해 1920년대 초 도쿄의 데이고쿠(帝國) 호텔에 쓰인 후 유행한 것으로 갈색 표면에 거친 질감의 줄무늬로 독특한 입면을 구성하고 있다.

향토사학자 김영한씨는 “비록 공기는 짧았지만 도청건물을 정성을 다해 지었다. 준공식에서도 완벽하다는 평을 들었다고 한다. 비슷한 시기에 지은 평안남도청보다 훨씬 나았다고 한다”고 말했다. 실제 1939년 말 평양에 지어진 평남도청이 충남도청과 외관이 유사했다.

충남도청은 당시 우리나라 관공서가 추구하던 ‘모던’건물의 모델이었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건물 외관에는 독특한 입체문양이 있는데, 일제의 조선총독부를 상징하는 문양이라는 시비가 있었다. 이 때문에 일부가 뜯겨 나가기도 했다. 충남도 청사관리계 박경구 계장은 “조선 총독부를 상징하는 오동나무 문양이라는 시비가 끊이지 않았지만 최근 학자들에 의해 당시 동서양을 망라해 유행하던 문양일 뿐 특별한 상징성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설명했다. 건물 안 천장과 바닥에도 비슷한 문양이 모자이크돼 있다.

야간에 집집마다 축하 등불

1932년 9월 중순부터 충남도청은 각 부서별로 이사를 시작했고 보름여의 이사가 완료되자 대전에서는 개청식과 이청식을 진행했다. 10월 1일 개청식을 조촐하게 치른 뒤 10월 3일부터 사무를 시작했으며 이청식은 10월 14일 오전 10시 신청사에서 치러졌다. 우가키 가즈시게(宇垣 一成) 조선총독을 비롯 500여명의 내빈이 참석했다. 대전역에서 도청까지 학생과 시민 7000여명이 모여 악대와 함께 축하행진을 벌이기도 했다. 오후에는 대전읍에서 도청이전 축하연이 열렸는데, 1000여명이 참석하는 대성황을 이뤘다.

야간에는 집집마다 수만개의 축하 등불을 내걸고 5000여명의 군중들이 가장행렬과 촌극, 사물놀이, 제등행렬을 벌여 거리마다 인산인해를 이뤘다고 한다.

지역 발전 촉진, 府로 승격

도청 이전후 대전은 외관상 많은 변화가 왔다. 김보성 전 대전시장은 “대전 발전의 시작은 철도의 가설이었지만 본격적인 발전 계기는 충남도청의 이전이었다”고 말한다.

무엇보다도 인구가 크게 늘었다. 도청이전설이 있었던 1929년부터 급격히 인구가 늘어나 매년 2000명 이상 유입됐다. 1930년에는 2662명, 1931년에는 2534명으로 증가율이 급격한 상승곡선을 그었다. 도청이 이전되던 1932년에는 3195명이 유입돼 1928년 2만4043명에 불과하던 대전인구는 1933년 3만4079명으로 늘었다. 불과 5년만에 1만명의 인구가 증가한 셈이다.

인구의 증가는 우편물 증가, 전화 수요, 자전거 보유의 증가를 가져왔다. 동아일보 1931년 4월 12일자를 보면 당시 전화 가설비가 200원이며 가입비가 10원에 이를 정도로 고가였지만 전화지급 신청을 기다리는 수요자가 많았다고 보도하고 있다.

도청이 이전해오자 대전천 서쪽도 발전하기 시작했다. 도청앞쪽으로 세무서와 금융조합, 대전군청과 대전경찰서가 서로 나란히 마주보고 자리 잡았다. 공주지방법원도 도청의 북쪽(현재의 대전세무서)에 자리잡았다. 1930년 대전 도립의원이 대흥동에서 개원했고 대전전기(주) 제3발전소 등도 들어섰다. 모두가 충남도청의 이전을 전후로 새롭게 자리잡은 기관들이다. 당시 대전 지역민의 염원중 하나가 가네보방적(鐘淵紡績)주식회사의 대전이전이었다. 김정동 교수(목원대)에 의하면 “현 한밭운동장 자리에 부지를 마련하고 이전을 추진했지만 결국 실현되지 못했다. 당시 대전지도에는 종연방적 회사의 위치가 나온다”고 말했다. 이 지도를 보면 대전지방법원에서 보문산 입구에 이르는 보문로와 중앙로에서 종연방적(현 한밭운동장)에 이르는 대종로가 이 시기 모습을 갖추었을 것으로 보여진다.

김갑순, 대전 땅 40% 소유

자연 땅값도 상승했다. 대전지역의 땅 소유자들은 도청이전을 계기로 일확천금을 노리며 무리하게 땅값을 인상했다. 거래가는 평당 30원에서 50원이었으며 비싼 곳은 100원 이상 거래됐다. 이는 도청이전이 거론되기 전 평당 1~2전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그야말로 엄청난 지가상승인 셈이었다.

1938년 대전의 토지는 몇몇 대지주와 토지회사에 의해 분할돼 있었다. 여기에서 두드러진 인물이 바로 김갑순이다. 당시 대전의 시가지 면적은 57만8000평이었는데, 조선흥업(朝鮮興業) 19만평, 일해흥업(日海興業) 3만5000평, 富士平 3만9000평, 小田原正 3700평 등이었다. 그렇지만 이들의 땅도 김갑순에 비하면 새발의 피. 김갑순의 토지는 22만평이었다. 무려 대전 땅의 40%가 그의 소유였다.

대전은 신흥도시로써 외관을 갖추기 위해 상수도 시설공사를 실시했다. 35만원의 예산으로 1931년 시작한 공사가 1933년 완공되었다. 수원지는 식장산 아래에 있는 세천유원지이다. 수량은 6만명의 대전시민이 먹을 수 있는 규모였으니 대단한 것이었다. 1980년 대청호가 완공되기 전까지 대전시민의 식수를 책임진 주요 상수원으로 세천 수원지는 약 40여년간 그 역할을 다해왔다.

1935년 부제(府制)의 실시로 대전읍은 대전부로 승격됐다. 17번째로 전주, 광주와 함께 승격됐다. 이후 대전은 줄곧 충남을 대표하는 중심도시가 됐다.

전쟁, 대전근대사 사라져

1945년 일제가 패망하고 물러갔지만 1950년 동족상잔의 비극인 한국전쟁이 발발하게 된다. 당시 이승만 대통령은 북진통일을 하겠다며 서울시민을 속이고 6월 27일 새벽 2시 경부선으로 서울역을 출발해 오후 4시경 대전에 도착했다. 이날부터 7월16일까지 대전은 대한민국의 임시수도가 됐고 충남도청사는 임시정부청사가 됐다. 도청 맞은편에는 후일 인민군 포로가 된 딘장군의 미 24사단 전방 CP가 설치돼 있었다.

전쟁 중 대전은 북한군에 의해 초토화됐다. 대전역에서 충남도청에 이르는 길 주변은 폭격의 대상이었다. 점령하려는 북한군과 이를 저지하려는 미군 사이의 전투가 치열했기 때문이다. 충남도청은 북한으로서도 중요한 건물이었기에 다행히도 무사할 수 있었다. 7월 20일 대전이 점령당하자 반대로 미군의 폭격이 시작됐다. 대전 도심은 철저히 파괴됐다.

그 와중에도 대전 시내에서는 상공회의소 건물과 도청 건물이 유일하게 남았다. 북한군이 미군 포로들을 옥상에 볼모로 묶어놓아 폭격이 불가능했다고 한다.

이승만이 머문 도지사 공관

도청 건물 말고도 대전시 중구 대흥동 326-67소재 도지사 공관도 건축사적으로 중요한 건물이다. 지난 2002년 대전시문화재자료 제49호로 지정되었는데, 1932년 충남도청의 준공과 함께 지어졌다. 당시 외지에서 부임해온 도지사가 거처하던 공관으로 80년의 역사를 자랑한다.

연건평 382㎡이며 2층으로 되어 있고 외장은 적벽돌 치장 쌓기를 했다. 전체적인 건물양식은 공업적 생산 방식을 미술과 결합시킨 기능적이고 고전적인 직선미를 추구한 아르 데코풍이다.

한국전쟁이 터지자 이승만 대통령은 6월27일부터 7월1일까지다. 이곳에서 머물며 UN군의 참전을 공식적으로 요청하기도 했다. 공관 정문 앞쪽으로 충청남도의 국장급들이 거주하는 국장 관사가 여러 동 도열해 있어 관사촌으로 불리고 있다. 1932년 당시에는 도지사 공관 양 옆으로 경무부장, 내무부장, 산업부장 등이 거주했다.
도청 바로 뒤에는 경찰의 계장급 관사가 있었고 충혼탑 아래쪽으로 도청의 계장급 관사가 있었다. 법원 주변에는 법원과 검찰의 간부들의 관사가, 대전역 주변에는 철도국 직원들의 관사가, 인동에는 헌병대 관사가 있었다고 한다.

이제 12월이 지나면 충남도청이 내포신도시로의 이전을 완료한다. 그와 동시에 충남도청사와 도지사공관은 대전시에 남겨진다. 이제 남겨진 청사건물과 공관건물을 어떤 용도로 사용할 것인가에 관심이 모아진다. 그간의 용도에 역할을 충실히 한 건물들의 한 역사가 마감되고 새로운 역사가 시작되는 셈이다.

우희창 센터장 


 

80년영욕마감하고새로운역사쓴다 3

▲ 대전시 문화재 자료 제49호인 충남도지사 공관의 모습.


 


 

충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님의 다른 기사 보기

[충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님의 SNS]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