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사는이야기

공산성의 비밀통로

공산성 탐방(2)

2012.02.16(목) | 사람사는세상 (이메일주소:leehappyday@hanmail.net
               	leehappyday@hanmail.net)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성에는 보통 주 출입구인 4개의 성문이 있고, 또 용도에 따라 이보다 작은 보조 성문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또 하나...
암문(暗門)이라고 하는 비밀통로가 있습니다. 암문은 비밀통로답게 밖에서 잘 보이지 않는 곳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공산성에도 비밀통로가 있습니다.
1980년, 공산성 일대 유적 조사에 나선 안승준 교수가 금강변과 닿은 성곽을 조사하다가 조그마한 통로의 흔적을 발견합니다.
이것이 공산성의 암문입니다.

  공산성의비밀통로 1  
정말 비밀스럽게 만들어진 공산성 암문
공산성의 암문도 다른 성과 마찬가지로 평시에는 돌로 막고 안에서만 열 수 있는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게다가 이 곳은 바로 금강변에 위치에 적의 접근이 어렵고, 반면 수비군은 암문에서 나와 바로 뱃길을 이용해 은밀성도 높았을 것입니다.

암문으로 들어가봤습니다. 입구부터 비밀스럽습니다. 

  공산성의비밀통로 2  
비밀스런 암문 통로
  공산성의비밀통로 3  
 
성의 기본적인 개념은 방어, 즉 지키는 것입니다.  때문에 어떤 거점을 돌, 흙, 목책 등으로 빈틈없이 둘러쌓아 적이 절대 들어올 수 없게 만드는 것이 기본입니다. 그러나 완벽하게 둘러쌓으면 우리편도 드나들기가 힘듭니다. 그래서 통로를 만드는 데 이것이 성문입니다.

사방이 막힌 성을 공격하려면 성문을 열어야 합니다. 공성전의 성패는 성문을 누가 차지하느냐 입니다. 영화나 드라마에서 보는 공성전에서 병사들이 빗발치는 화살과 돌덩이를 맞아가며 그 험난한 성벽을 기어오르는 것도 성문을 열기 위해서입니다.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공성군의 적정 병력은 최소 수비군의 3배이며, 성곽의 완전 포위가 기본입니다. 특히 대규모 병력을 진입 시키는 통로인 성문 주변에서는 격전이 불가피합니다.
이 경우 수비측은 외부와의 연락이나 병력, 물자 보충을 위해 소통로를 가지고 있어야 하는데, 암문이 이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 다른 나라의 성에는 암문이 설치돼 있습니다. 남한산성의 경우 암문이 무려 12개, 수원 화성에는 4개 등 일반적으로 성에는 여러개의 암문이 있습니다.

공산성에서는 지금까지 하나의 암문이 발견됐습니다.
또 아직 발견 안된 어디가에도 암문이 있을지 모를일입니다.
공산성을 세우던 옛 사람들이 암문을 만들 때 외부 사람들이 잘 찾지 못하도록 노력했을테니까요.

  공산성의비밀통로 4  
바깥에서 바라본 암문

 

사람사는세상님의 다른 기사 보기

[사람사는세상님의 SNS]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