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지역신문뉴스

황해경제자유구역 악몽 잊혀질까..희망 싹 틔운 송산면

송산지구 개발계획(안) 주민설명회

2024.06.14(금) 18:29:58 | 당진신문 (이메일주소:djnews@hanmail.net
               	djnews@hanmail.net)

12일 동곡리 마을회관에서 열린 주민설명회에서 주민들은 경제자유구역 송산지구 대상지 선정을 환영하며, 충남도에 적극적인 행정을 요청했다

▲ 12일 동곡리 마을회관에서 열린 주민설명회에서 주민들은 경제자유구역 송산지구 대상지 선정을 환영하며, 충남도에 적극적인 행정을 요청했다


송산면이 수소경제·탄소중립을 선도하는 경제자유구역이 될 수 있을까.

경제자유구역은 외국인 투자기업의 경영환경과 외국인 생활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조성된 지역으로, 자유무역지역(수출) 및 외국인투자지역, 산업단지 등 단일특구와 다르게 산업은 물론 상업, 주거, 관광 등을 복합적으로 개발할 수 있다.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될 경우 가장 큰 이점은 외국인 투자에 대해 조세를 감면하고, 규제특례 등의 인센티브가 제공된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노동·경영 관련 특례 및 공장총량제 등의 수도권 규제 적용이 배제되며, 외국 교육기관과 의료기관의 설립을 허용할 수 있다. 

그리고 개발부담금의 감면 및 진입도로 등의 개발사업에서 국비 50%를 지원하며, 외국인투자지역 업종별로 조세를 감면하는 등의 혜택이 주어진다.

이처럼 경제자유구역에서 기업들의 비즈니스 기회가 늘어나는 만큼 국제 경쟁력은 향상된다. 대표적인 사례는 인천경제자유구역, 송도를 꼽을 수 있다. 송도는 비즈니스를 비롯한 IT·BT의 기능을 맡으며 국제 비즈니스의 중심지로 부상했다.

이 외에도 △부산 진해(50.69㎢) △광양만권(57.03㎢) △대구·경북(18.44㎢) △경기(5.24㎢) △동해안(4.33㎢) △충북(4.96㎢) △광주(4.37㎢) △울산(4.75㎢) 등 11개 시도에 총 9개 구역, 99개 지구가 선정돼 경제발전과 무역의 중심지로 발전되고 있다. 다만, 새만금경제자유구역은 2018년 새만금청으로 관리 일원화로 지정 해제됐다.

반면, 충남은 2008년 아산 인주지구를 비롯한 서산 지곡지구, 당진 송악지구 등 황해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됐었지만, 글로벌 경제 위기에 따른 투자유치의 어려움으로 2014년 해제됐다. 사실상 충남의 경제특구 개발 동력을 잃어버린 셈이다.

이후 세계 경제환경은 4차 산업혁명으로 제조업 혁신과 미래산업이 성장했고, 안정적 생산확보를 위한 국제분업의 공급망이 전환됐으며 보호무역주의가 확대됐다. 그리고 충남도는 GRDP 전국 3위(114조원)를 기록했고, 특히 충남 북부도시(천안, 아산, 서산, 당진)는 충남의 96.8%의 수출을 담당하게 됐다.

경제자유구역 TF팀 서윤석 팀장이 주민들에게 사업에 대해 설명했다.

▲ 경제자유구역 TF팀 서윤석 팀장이 주민들에게 사업에 대해 설명했다.


이에 충남도는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국내외 유망기업의 투자유치를 통해 미래 신성장동력 확보와 지역산업 고도화를 견인하기 위해 경제자유구역을 복원해 국가전략기술 육성을 통한 국가 경쟁력을 제고하고, 탄소중립 산업 생태계 구축 및 국가 첨단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해 차별화를 도모할 예정이다. 

충청남도와 당진시에 따르면 지난해 주관부서인 경제자유구역 TF팀을 구성한 충남도는 경제자유구역 타당성 조사 및 개발계획 수립 연구용역을 통해 경제자유구역 대상지로 당진시 송산면 동곡리를 비롯한 △천안시 수신면 해정리 △아산시 인주면 해암리 △아산시 둔포면 염작리 △서산시 지곡면 무장리 등 5개 지구를 선정했다. 면적 규모는 17.79㎢(539평)이며, 투입되는 사업비는 3조 4575억원에 달하고, 사업 기간은 2030년까지다. 

이 가운데 경제자유구역 당진시 송산지구는 ‘수소융복합’에 중점을 두고 수소생산 플랜트를 구축해, 수소연계 특화단지로 조성된다. 특히, 송산지구는 현대제철과 LNG5기지와 인접해 수소융복합산업 육성에 유리하고, 당진항 배후부지로 가공산업단지 조성 시 반도체 전공정 집적으로 성장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고 있다.

주요 기업은 현대제철, LG화학, 휴스틸 등이며 부지면적은 약 1.91㎢ 규모에 산업시설용지는 1.14㎢이며, 약 6095억원 투입된다. 기반시설로는 주거시설, 교육 및 의료 등이 조성될 계획이다. 주거시설 계획인구는 8321명, 유발인구는 1만 2171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됐으며, 교육 시설은 외국인 교육을 위한 학교별 외국어반을 설립할 계획이다. 그리고 의료시설은 인근 종합병원을 활용하고, 부족한 의료 시설은 지구내 상업·근린생활용지를 활용할 예정이다.

이 외에 천안 수신지구는 1.59㎢로 미래모빌리티를 중점 산업으로, 아산 인주지구는 5.71㎢ 면적에 디스플레이를, 둔포지구는 4.09㎢에 AI·반도체를 중점 산업으로 설정했다. 그리고 서산 지곡지구는 1.84㎢의 면적에 2차전지 소재·부품과 자동차 부품산업으로 개발된다.

“주민들은 환영하지만..또 해제 될라” 우려

12일 동곡리 마을회관에서 열린 주민설명회에서 주민들은 경제자유구역 송산지구 대상지 선정을 환영하며, 충남도에 적극적인 행정을 요청했다.

▲ 12일 동곡리 마을회관에서 열린 주민설명회에서 주민들은 경제자유구역 송산지구 대상지 선정을 환영하며, 충남도에 적극적인 행정을 요청했다.


이렇듯 경제자유구역의 골격이 드러난 가운데 지난 12일 충남도는 동곡리 마을회관에서 경제자유구역 송산지구 개발계획(안) 주민설명회를 열었다.

이날 주민들은 경제자유구역 대상지 선정과 향후 지역 경제발전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내는 한편, 황해경제자유구역처럼 사업 지정이 해제될 것을 우려했다.

송산면 동곡리의 한 주민은 “충남에 5곳이 대상지로 선정됐는데, 모두 지정될 수 있나”라고 질의했고, 충남도 경제자유구역TF팀 서윤석 팀장은 “산업통상자원부의 심의를 거쳐서 지정을 받아야 한다. 모두 지정될 수도, 아닐 수도 있지만, 모두 지정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답했다.

이에 송산면개발위 이선군 위원장은 “동곡리는 황해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됐다가, 이후에 해제되면서 많이 낙후돼 있다”며 “주민들은 경제자유구역으로 개발된다면 반가운 소식인 만큼 무조건 찬성이다. 우리도 좋은 환경에서 살고 싶은데, 지정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해달라”고 요청했다.

또한, 절대농지가 포함되어 사업 지정에 차질이 생길 것을 우려하는 의견에 서윤석 팀장은 “농림식품부와 협의를 하는 과정이 있다. 대상지 주변은 이미 산단으로 개발된 땅이라 충분히 풀 수 있지 않나 생각한다”고 답했다.

서윤석 팀장은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당진은 한 차례 경제자유구역이 안됐던 사례가 있으나, 당진항 주변에 수소융복합 산업이 발달해서 기업이 유치될 수 있고, 충분히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그래서 당진을 수소 특화 산업으로 정했다”며 “충남에만 경제자유구역이 없는 상황인데, 북부지역은 산업이 모두 발달됐고, 저희도 다시 시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서 “병원 신설을 담고 있지 않지만, 다른 부서에서 인근 지역에 산재병원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면 정주 여건이 좋아질 것이라고 보고 함께 사업을 이어가고 있다”며 “첫 단계인 만큼 좋은 시선으로 바라봐주시길 바라며, 도에서도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당진신문님의 다른 기사 보기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당진신문님의 SNS]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