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지역신문뉴스

귀농정책은 많은데 정착 어려워 떠나

[귀농귀촌시대] 당진시, 서울특별시 구로구청과 연계해 귀농귀촌에 관심 있는 도시민 대상으로 귀농귀촌 농촌체험 진행

2024.06.14(금) 10:35:11 | 충남포커스 (이메일주소:csy0875@hanmail.net 
               	csy0875@hanmail.net )

귀농정책은많은데정착어려워떠나 1

귀농정책은많은데정착어려워떠나 2

귀농정책은많은데정착어려워떠나 3

귀농정책은많은데정착어려워떠나 4



충남지역 자치단체마다 귀농과 귀어 인구를 유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큰 성과를 내지 못해 걱정이 크다.

금액 지원과 시설 지원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있지만 초기 지원이 끝난 후 지역을 다시 떠나는 사례가 늘어나면서 사후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실제로 당진시(시장 오성환)는 서울특별시 구로구청과 연계해 귀농귀촌에 관심 있는 도시민을 대상으로 최근 귀농귀촌 농촌체험을 진행했다.

이번 체험에는 구로구청 귀농귀촌 교육생 45명이 참여했으며 △당진시 귀농귀촌 정책 안내 △당진시농업기술센터 소개 △스마트팜 원예 단지 현장 견학 △딸기맨드류 귀농 성공 사례 발표 △딸기 수확 및 딸기잼 만들기 체험 △순성브루어리 수제 맥주 시음 및 공장 견학 등의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특히 귀농 성공 사례 발표 시간에는 귀농 선배의 경험을 듣고 질의응답 하는 시간을 가졌다.

센터관계자는 "귀농귀촌을 꿈꾸는 도시민들이 많지만, 농업농촌 현장을 경험해 볼 기회가 많지 않다"라며, "앞으로도 이러한 프로그램을 통해 귀농귀촌 정책과 정보를 제공해 당진시로 귀농귀촌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 2019년 청년 귀농인 유입을 위해 조성된 당진시 청년 임대형 스마트팜의 경우 당진시는 지난 2020년 1기 참가자로 청년 농업인 9명을 선발하고, 3년 동안 시설 임대와 컨설팅 등을 지원했다.

그런데 지난해 7월 1기 참가자들의 실습이 끝났는데 9명 중 3명만 당진에 정착했다. 이마저도 2명은 당진 출신이고 1명은 부인이 스마트팜 2기로 선정돼 당진에 남기로 한 것이다.

스마트팜 구축에 100억 원, 운영에 연간 약 1억 원을 투입했지만, 프로그램에 참여한 청년 농업인의 당진 정착률이 1/3에 불과하자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예산 낭비와 함께 사후 관리 부족이라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데 청년들이 떠난 이유 중 하나는 수입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이다. 떠난 6명 가운데 3명은 비료와 관리비 등 투입되는 예산에 비해 수입이 적어 농사를 포기했고, 다른 3명은 농사 대신 다른 진로를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진시는 작년부터 귀농 청년을 대상으로 농사 관련 시설 비용의 70%를 지원하고, 농지 구매 시 일부 금액을 지급하고 있다. 하지만 이마저도 단순한 금액 지원에 불과하고, 여전히 사후 관리 대책은 부족한 상황이다.
 

충남포커스님의 다른 기사 보기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충남포커스님의 SNS]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