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여행

서산의 개심사

2023.03.07(화) 19:48:05 | 캔디요기 (이메일주소:king2001kak@naver.com
               	king2001kak@naver.com)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서산의개심사 1


지역마다 개심사는 간혹 있습니다. 이곳을 가기 위해서는 서산의 광활한 목장을 지나왔는데요, 조금 늦게  오면 벚꽃의 향연도 함께 하실 수 있습니다. 오는 길에 벚꽃나무가 굉장히 많았습니다. 저는 너무나 일찍 왔나 봅니다. 청벚꽃은 고사하고 평범한 꽃들도 보기 힘들었습니다. 그래도 날씨는 쾌나 따뜻한 봄 내음새가 마음을 흔들어 놓습니다.

서산의개심사 2


서산의개심사 3


의자왕 654년 혜감이 창건하여 개원사라고 하였고, 충숙왕때 개심사라 불리워졌습니다.
무엇보다 개심사라하면 '영산회 괘불도'라는 대형 불화가 대표적으로 유명한데요, 사찰에서 야외 의식이 거행될 때 주불전 앞에 걸어 놓는 이 불화는 조선 후기에 본격적으로 조성이 되었습니다. 영산회 괘불탱은 족자형으로 비단 바탕에 채색을 하였고, 석가불이 표현되어있습니다.

출처 :  디지털서산문화대전

▲ 출처 : 디지털서산문화대전


소중한 유물이 오래도록 보존되었으면 하고 간절히 바랍니다.

서산의개심사 4


서산의개심사 5


조선시대 건축물로써 가야산 줄기의 상왕산 기슭에 있는 사찰로 조선시대  절도사가 사냥을 왔다가 산불을 내는  불타는 바람에 다시 중건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서산의개심사 6


서산의개심사 7

 

서산의개심사 8


서산의개심사 9


서산의개심사 10


서산의개심사 11


명부전으로 가는 길에는 왕벚꽃이 장관을 이룬다는 해설사님의 말로 위안을 받으며 우리는 추측으로 활짝 핀 벚꽃을 상상하였습니다. 벚꽃이 활짝 핀 사찰을 그려보니 웃음이 절로 나왔습니다. 그리고, 자연 그대로 나무의 휘어진 모양으로 아름다움을 살린 심검당을 빤히 바라보며 감탄을 보냈습니다. 건축물이라기보다는 보여 주기 위한 작품이랄까요?  심검당 안으로 들어가 볼 수 있다면 그 자체가 자연으로 빠져 들어가는 것입니다. 자연과 어우러진 아름다움은 이런 것을 이야기 하는 것입니다. 휘어진 나무를 그대로 이용하여 만들어진 심검당은 사실 제 소견으로는 맨 얼굴의 여인상 처럼 이뻤습니다.

해탈문에서는 작고 외소한 문으로 고개를 숙여야만 지나갈 수 있는  '자신을 낮출수록 바른 해탈의 경지에 다다름'을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물론, 우리는 그 해탈문을 고개 숙여 지나가면서 또 한번 배움을 채워갑니다.

서산의개심사 12


머지 않아서 벚꽃 중에 일등인 청벚꽃이 핀다고 지인이 말해주었습니다. 그 꽃을 보기 위해서는 새벽에 와야 한다는 말에 고개를 절래절래 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제 생애에 이 꽃을 볼 수나 있을까요?
청벚꽃을 보고 싶습니다. ^^

서산의개심사 13

 

 

캔디요기님의 다른 기사 보기

[캔디요기님의 SNS]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