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사는이야기

마을이 당신을 기다립니다

홍성군 마을 만들기 지원센터 직원 채용 설명회

2016.12.04(일) 07:32:01 | 홍순영 (이메일주소:ssoonyoung@hanmail.net
               	ssoonyoung@hanmail.net)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12월 3일 토요일 오전 10시부터 12시까지 홍주성 역사관 1층 체험학습실에서 홍성군 마을 만들기 지원센터 직원 채용 설명회가 진행되었다.  
주최 측은 많은 인원이 오지 않을 것 같아 걱정이라고 했지만 체험학습실은 취재기자부터 마을 만들기 지원센터에 관심 있는 사람까지 30여명이 자리를 꽉 채우고 있었다. 특이한 점은 연령대가 굉장히 다양했다. 20대부터 60대까지 다양한 연령대가 참여했다. 
 
크게 3가지 부분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는데 첫 번째는 ‘마을 만들기 지원센터의 역할과 상근자 인재상’에 대해서 충남마을만들기지원센터 구자인 센터장이 발표했다.

마을 만들기가 다양한 네트워크 안에서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 다소 복잡한 구조를 설명하기 시작했다. 그 안에서 중간지원조직이 소통하는 중심에서 어떤 어려움이 예상되는지도 솔직하게 이야기했다. 소통과정에서 각자의 이해관계와 다른 관점들을 어떻게 서로 이해시키고 설득시켜야 한다고 이해했다. 하지만 부딪히면 여전히 생소할 것만 같은 ‘소통’이란 단어가 두렵기도 하고 설레는 부분이기도 했다. 그리고 다른 지역에서 채용과정에서의 어려움도 들을 수 있었다. 일에는 관심 있지만 막상 지역에서 상주해야하는 조건이어서 채용을 망설이는 인근지역의 상황도 현실감 있게 다가왔다.
 
마을만들기 지원센터의 역할과 상근자 인재상 [구자인 센터장]
▲ 마을만들기 지원센터의 역할과 상근자 인재상 [구자인 센터장]
 
자기소개 시간이 진행되었다. 다양한 연령대만큼 다양한 경력의 소개로 많은 인재가 모였음을 직감했다. 그리고 홍성뿐만 아니라 타 지역에서 살고 있는 젊은 청년들이 채용에 관심 있어 적극적으로 의사를 개진하고 있었다.
 
두 번째는 홍성군 지원센터의 설립과정과 주요 사업계획에 대해 사단법인 홍성지역협력네트워크 이창신 사무국장이 발표했다. 홍성이 다른 지역과 다른 점을 설명하고 비교적 협력 네트워크가 잘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기도 했다. 구체적인 사업내용과 앞으로 채용될 사람들의 역할에 대해 구체적이고 세부적으로 알리는 시간이었다. 사무국장, 조사·연구, 교육·컨설팅, 홍보·디자인 총 4명을 신규 채용하는데 공개채용으로 여러 분야의 심사위원들이 평가를 한다고 한다. 사람들이 제일 궁금해 하는 전체사업비부터 인건비까지 세부적인 사항들을 가감 없이 알려주었다.

홍성군 지원센터의 설립과정과 주요 사업계획 [이창신 사무국장]
▲ 홍성군 지원센터의 설립과정과 주요 사업계획 [이창신 사무국장]
 
세 번째는 홍성군 지원센터의 상근자 세부 채용 계획에 대해 홍성군청 농정기획단 안현경 전문위원이 발표했다. 지원 자격부터 보수 및 근무조건, 전형 일정, 접수 방법 등이 안내되었다. 특히 서류전형에서 직무수행계획서를 PPT로 만들어서 제출해야 하고 면접 당일 발표가 이루어진다는 점을 강조했다. 앞으로 채용될 직원의 문서능력이 중요하게 생각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었다.

홍성군 지원센터의 상근자 세부 채용 계획 [안현경 전문위원]
▲ 홍성군 지원센터의 상근자 세부 채용 계획 [안현경 전문위원]
 
마지막으로 질의 및 응답이 진행되었는데 인상 깊었던 것은 타 지역에서 일자리를 보고 가족과 함께 이주를 해야 하는 상황에서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사람으로서 급여가 흡족하지 못하다는 부분을 이야기하고 있었다. 지역의 정서상 급여가 높을 수 없는 이유를 설명했다. 설명회를 통해서 일반적으로 가질 수 있는 궁금증은 대부분 해소되었다. 어떤 일자리든 구체적인 근무환경과 내용을 설명해주지 않아 주변 지인에게 묻고 개별적으로 알아봐야 하는 상황에서 채용설명회는 의미 있는 자리였다.  

 

홍순영님의 다른 기사 보기

[홍순영님의 SNS]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